생글생글
-
경제 기타
한경 고교 경제 리더스캠프에 초대합니다
겨울방학은 집중적인 학습이 가능해 자신의 학습 실력을 상승시키고 진로탐색의 시간을 가질 수 있는 최적의 기회다. 특히 연초 계획 중 하나로 자신의 경제 실력을 업그레이드하기로 결심한 학생들이라면 한경 경제캠프에 참가하는 것이 좋다. 한경 고교 경제캠프는 평소 경제에 관심이 있으며 상경계 진학을 목표로 하는 전국 고등학생들이 참여한다. 학기 중에는 당일로, 여름/겨울방학에는 2박 3일로 진행된다. 현재 국내에서 지속적으로 경제캠프를 시행하는 단...
-
커버스토리
4차 산업혁명은 '창의적 인재'가 이끈다
대한민국이 짧은 기간에 이룬 경제 성장을 외국인은 흔히 ‘한강의 기적’이라고 부른다. 그리고 그 기적의 배경으로 대부분 한국 국민의 근면성과 교육열을 꼽는다.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도 수차례 “한국의 교육을 본받으라”고 했다. 그의 ‘한국 교육 예찬’에는 부러움과 질투가 섞여 있다. 굳이 외국인의 시선을 빌리지 않더라도 자원이 턱없이 부족하고 영토도 작은 나라가 전쟁의 폐허에서 ...
-
커버스토리
트럼프 45대 미국 대통령 당선…'미국 우선주의' 전세계가 관심
도널드 트럼프 공화당 후보(70)가 ‘제45대 미국 대통령 선거’에서 힐러리 클린턴 민주당 후보를 이기고 당선됐다. ‘다시 한번 위대한 미국’을 내세웠던 트럼프가 당선되면서 그 파장에 세계가 주목하고 있다. 트럼프는 선거 기간 동안 ‘미국우선주의’를 강하게 표방했다. 세계를 지키기 위해 많은 돈을 쓰는 미국의 기존 정책에 그는 반대했다. 보호무역주의와 고립주의를 강조하는 공약도 많...
-
교양 기타
(43) 하인리히 뵐 - '카타리나 블룸의 잃어버린 명예'
4일 만에 살인자가 되다 1974년 2월 20일 저녁 6시 45분 경, 카타리나 블룸은 무도회에 참석하기 위해 집을 나선다. 4일 후 그녀는 거의 같은 시각에 형사 주임 발터 뫼딩의 아파트를 찾아가서 “신문기자 퇴트게스를 사살했으니 나를 체포하라”고 말한다. 7시간 동안 시내를 방황했으나 어떠한 뉘우침도 떠오르지 않았다면서. 27세의 젊고 아름다운 여성이 왜 단 며칠 만에 살인자가 되었을까. 가정경제학교를 졸업한 카타리...
-
경제 기타
기업들이 세금 외에 내는 준조세가 연간 20조원
◆ 준조세와 기업 경영 최순실 국정농단 의혹 사건의 불똥이 재계로 튀면서 관련 기업들이 냉가슴을 앓고 있다. 미르·K스포츠재단에 774억원을 출연한 53개 기업 관계자의 검찰 줄소환이 시작됐기 때문이다. 이들 기업은 청와대 요청에 마지못해 거액을 헌납하고도 마치 범죄자인 양 수사를 받게 됐다. “돈 뺏기고, 검찰수사 당하고, 정경유착 의심까지 받는데도 억울하다는 말 한마디 하기 어려운 상황”이라는 게 재계 고...
-
경제 기타
서울메트로와 도시철도공사는 통합해야 하나
서울과 수도권 주민들의 최대 교통 방편인 서울메트로(지하철 1-4호선)와 서울도시철도공사(5-8호선)의 통합 논의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서울시를 중심으로 두 지하철공사의 노사가 함께 참여하는 통합기구인 노사정협의회도 가동에 들어갔다. 이전에 서울메트로 노조가 통합에 반대했으나 반년여만에 분위기가 완전히 달라졌다. 고속철도가 코레일의 기존 KTX외에 서울 수서발의 별도 고속철 회사인 SR이 영업에 들어가면서 2사 경쟁체제로 들어가는 것과는 반...
-
경제 기타
최선의 선택이 반드시 최선인 것은 아니다
인구 대국이자 떠오르는 경제 강국인 인도는 수많은 여성 지도자를 배출한 나라로 유명하다. 1980년대 이미 여성(인디라 간디) 총리가 탄생했고 2007년에는 프라티바 파틸이 사상 첫 여성 대통령으로 당선됐다. 이 외에도 정치 사회 각 분야에서 역량을 펼치고 있는 여성의 수는 세계적인 수준에 이른다. 하지만 아이러니하게도 국가 전반에 깔려 있는 여성에 대한 인식과 사회적 지위가 상당히 열악한 나라가 인도이기도 하다. 이는 역사적 문화적으로 인도를...
-
교양 기타
(41) 상식과 진실
우리가 아는 ‘상식’이 ‘진실’과 다르다면? 우리 판단의 상당 부분은 ‘당대’가 기준이다. 그래서 현대의 기준으로 과거 인물이나 사건을 평가한다. 문제는 과거의 관습이나 실상을 알기 어렵다는 점이다. 우리가 아는 과거에 대한 지식은 모두 간접적인 것이다. 직접 ‘체험’할 기회는 없다. 그래서 문제가 생긴다. 우리는 지나간 역사적 사건의 결과를 알고 있다. 그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