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경제 기타

    스냅의 이색적 기업공개

    지난 2일 미국 뉴욕증시에 상장한 모바일 메신저 회사 스냅(Snap)의 주식을 놓고 논란이 가열되고 있다. 스냅은 기업공개(IPO)를 하면서 의결권이 없는 주식만 투자자에게 발행했다. 이에 기관투자가들이 스냅을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다우존스지수나 모건스탠리캐피털인터내셔널(MSCI) 지수에 포함시키지 말 것을 요구하고 나섰다. 의결권 없어도 10배 수요 몰려 스냅이 IPO를 하면서 발행한 2억주의 신주(新株)는 모두 의결권이 없는 ...

  • 스도쿠 여행

    스도쿠 여행 (428)

    문제에 표시된 ⓐ~ⓘ에 들어갈 숫자를 생글생글i 홈페이지( sgsg.hankyung.com )에 올려주세요. 정답을 올려준 분들 중 추첨해 상품을 드립니다.

  • 커버스토리

    자유무역은 교역국 양쪽 모두에 혜택…세계경제가 자유무역으로 가야 상생

    자유무역은 상호이익, 즉 윈윈(win-win)이 근본 원리다. 무역의 자유를 최대한 보장해 서로의 이익을 최대화하는 게 자유무역이다. 비교우위론은 자유무역의 원리를 뒷받침한다. 비교우위에 있는 재화나 서비스를 수출하고 비교열위의 재화나 서비스를 수입하면 서로에게 이익이 된다는 것이다. 최근 보호무역으로의 회귀 조짐이 자유무역정신을 훼손하고 결과적으로 세계 경제에도 부담을 줄 거라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외국과의 무역에 국가 간섭 최소화 자...

  • (33) 의사결정에서의 인지적 편향성

    겸손과 소통, 두 단어가 경영자의 마음에 각인돼야 한다. 경영자가 의사결정의 성공확률을 높이는 방법은 무엇일까? 겸손과 소통하는 게 최선 왜 훌륭한 경영자들이 간혹 누가 보더라도 이해가 가지 않는 의사결정을 내리는가? 문제는 의사결정에 이르는 경영자의 인지적 과정에 본질적인 오류 가능성이 있다는 점이다. 아무리 뛰어난 경영자라고 하더라도 인간적인 한계에서 기인하는 일련의 편향성을 완전히 극복할 수 없다. 우리는 흔히 인간을 합리적인 존재라고 ...

  • 교양 기타

    (53) 중국 문명 이야기

    ■기억해 주세요^^ 明나라는 淸나라보다 영토는 작았지만, 관습, 언어, 인종 등이 훨씬 더 ‘중국적’이었다. 오늘날 중국 영토의 많은 부분은 청나라 때 비로소 중국의 영역으로 들어온 지역이다. 중국은 문명이다. 국가로 보기에는 지나치게 인구가 많고 영역도 넓다. 서쪽 신장지구의 터키계 이슬람 신도들과 불교 및 내세를 믿는 티베트 주민들, 농경문화와는 거의 접점이 없는 유목민들이 모두 ‘중국인’이라는...

  • 경제 기타

    통계청이 지니계수 산정방식 바꾼다는데…

    정확한 통계는 모든 정책의 기본이다. 그렇지만 통계업무도 시대 변화에 따라 신축성 있게, 발 빠르게 대응해 나가야 한다는 주장이 있는가 하면 정치권력이나 여론에 떼밀리면 오히려 실상이 왜곡될 우려가 있는 만큼 엄정한 중립하에 신중하게 움직여야 한다는 반론도 강하다. 통계청이 올해 중에 지니계수 산정 방식을 바꿀 것으로 알려졌다. 지니계수는 소득분배의 구조, 즉 부의 불평등 정도를 나타내는 대표적인 지표다. 논란의 소지도 따를 수 있는 통계 항목...

  • 진학 길잡이 기타

    (1) 서울대학교

    √체크 포인트 서울대 의과대학은 인적성면접을 통하여 결격여부를 판단하고, 사범대학은 교직 적성과 인성평가를 통해 가산점을 부여할 방침이랍니다. 서울대 2018학년도 입학전형계획이 지난해 4월말 입학처 홈페이지를 통해 공지되었다. 보통 서울대 입시전형이 확정되면 서울 주요대학을 포함한 다른 대학들도 순차적으로 입시전형안과 모집요강을 발표하고 일정부분 타대학들의 전형에도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서울대를 지망하지 않는 수험생들도 지원자격...

  • 테샛 공부합시다

    40회 테샛 기출문제 소개

    [문] 동일한 제품을 생산하는 기업이 완전경쟁시장과 독점시장에 속했을 때의 공통점과 차이점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시장수요곡선이 다르다. ② 기업의 한계수입곡선의 기울기가 다르다. ③ 독점시장에 속한 기업의 생산량이 더 적다. ④ 독점시장에 속한 기업의 생산자잉여가 더 크다. ⑤ 기업이 한계비용과 한계수입이 같아지는 점에서 생산량을 결정한다는 조건은 같다. [문] 정부가 기업이 생산한 상품에 조세(물품세)를 부과할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