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진로 길잡이 기타

    '블라인드 채용'··· 직무능력·직업기초능력 중요해져

    제6회 한경금융NCS 시험이 11월18일(토) 치러진다. 홈페이지( www.금융NCS.com )에서 응시원서접수가 이뤄지고 있다. 금융 분야에서 국내 처음으로 개발된 한경금융NCS에는 금융권 취업을 준비중인 전국 특성화고교생들이 많이 응시한다. 정부가 블라인드 채용을 확대하면서 국가직무능력표준(NCS)에 따라 인재를 선발할 것을 강하게 요구함에 따라 한경금융NCS는 더욱 주목을 받고 있다. 이번 시험에 대비하는 수험생들은 그동안 출제된 기출...

  • 학습 길잡이 기타

    조금 높은(?) 영어… If I ain't got you

    supermarket 은 말 그대로 엄청나게 큰 매장을 말하는 것이다. 또 '대형 백화점'을 hypermarke t이라고도 하는데, hyper 역시 '~을 초월한'이란 뜻이라 고혈압( high blood pressure ) 역시 hypertension 이라고 한다. Some people live for the fortune 어떤 사람들은 돈을 위해 살고 Some people live just f...

  • 진로 길잡이 기타

    환율을 알아야 금융상품 세일즈가 쉬워진다

    오늘은 금융상품의 이해 중 환율에 대해서 살펴보고자 한다. 은행 내부 상품판매의 시각에서 보면 환율이 중요하지 않을 수 있다. 하지만 외부상품을 판매하는 경우 환율을 제외하고 이야기할 수 없다. 그만큼 환율은 은행의 업무 혹은 금융상품 세일즈에서 중요한 의미가 있다. 창구텔러와 일반직 신입 행원이 바로 환업무를 하는 것은 아니지만 실무업무에 기본이 되므로 반드시 알아둬야 한다. 환율이란? 환율은 한 나라의 통화를 다른 나라의 통화와 교환할 ...

  • 학습 길잡이 기타

    온 세상이 다 그르다 해도 원한도 분노도 없다. -미수기언-

    擧 世 非 之 而 無 怨 慍 거 세 비 지 이 무 원 온 온 세상이 다 그르다 해도 원한도 분노도 없다. - 미수기언 - ▶ 허목(許穆)이 정온(鄭蘊, 1569~1641, 조선 중기 문신)의 행장에서 그의 인품을 다음과 같이 기술했다. 덕이 성하던 하나라 때에 우(禹)는 홍수를 막고, 익(益)은 숲과 늪을 태워 짐승들을 몰아냈고, 직(稷)은 곡식을 심었으나 모두 공으로 여기지 않았다. 은나라가 망할 때 기자는 머리를 풀고 미친 척했고,...

  • 진학 길잡이 기타

    수리논술은 제시문 독해가 핵심… 수능수학과 직결

    『“군자는 5가지 덕을 갖추어야 한다. 배려, 지도력, 성취력, 자유, 위엄이다. 더 중요한 것은 이것들의 균형이다. 공자 군자오미의 진의다(굿바이논리야 p.283)』수시면접, 수시논술을 치르면서 수능을 공부하느라 바쁘고 스트레스가 많을 것이다. 힘들수록 자신의 균형이 무엇인지 반문해보는 것도 좋다. 자연계 수리논술 실전대비 5대 포인트를 소개한다. 1. 수리논술 특유의 논리적 서술의 힘을 길러라. 수리논술은 논술이다. 글쓰기라는...

  • 진학 길잡이 기타

    면접고사는 대학·전형·유형 맞춰 철저히 대비해야

    수능시험이 이제 한 달도 채 남지 않았다. 수능은 정시모집에서 가장 중요한 전형요소로 반영되며, 수시모집에서도 최저학력기준으로 적용돼 당락의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 따라서 수험생들은 수시 지원 대학의 최저학력기준과 정시 지망 대학의 수능반영 영역에 초점을 맞춰 수능 준비에 만전을 기해야 한다. 아울러 학생부종합전형을 지원한 수험생들은 면접고사 준비도 소홀히 해서는 안 된다. 서울 주요 대학을 포함한 대다수 대학 면접고사가 10월 말에서 12월 ...

  •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기부'와 '채납'은 주체가 다르니 가려 써야죠

    기부와 채납은 주체가 각각 다른 말이므로 가려서 써야 한다. 넘기는 쪽은 ' 기부 '하는 것이고, 국가나 지자체 등 받는 쪽이 주어가 될 때 비로소 ' 기부채납 '하는 것이다. 2018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이 채 한 달도 남지 않았다. 수능이 끝나면 곧바로 대학 입시의 마무리 단계로 들어간다. 이때 제일 많이 쓰면서도 자주 틀리는 말이 ‘접수(接受)’다. 가령 이 말을 “학생...

  •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60돌 맞은 '큰사전'의 역사를 돌아보면 …

    올해 한글날은 최초의 우리말 대사전 격인 ‘ 조선말 큰사전 ’ 완간 60돌이기도 했다. 1947년 제1권을 펴낸 뒤 순차적으로 1957년 10월9일 마지막 제6권이 세상에 모습을 드러냈다. 지난 9일은 571돌을 맞은 한글날이었다. 세종대왕이 1443년 훈민정음을 창제하고 1446년 음력 9월 상한에 이를 반포했는데, 그것을 기념하는 날이 지금의 한글날이다. 10월은 우리말 역사에서 기억해야 할 일이 많은 달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