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이슈 찬반토론] 대학등록금 통제, 계속해야 하나](https://img.hankyung.com/photo/202501/AA.39218287.1.jpg)
대학등록금이 자율화되면 그 혜택이 수도권 대학에 쏠릴 가능성이 큰 점도 문제다. 수험생이 몰리는 ‘인서울’ 대학은 등록금을 올리더라도 학생을 모을 수 있지만, 지금도 학생 구하기가 어려운 지방대는 등록금을 올리기가 쉽지 않을 것이다. 수도권 대학과 지방 대학 간에 ‘부익부 빈익빈’ 현상이 나타날 수 있는 것이다. 대학 재정난을 해소하기 위해 등록금 규제를 풀어야 한다는 지적이 있지만 이 문제를 등록금 인상에만 의존하는 게 바람직한지도 따져봐야 한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교육 지표 2023’에 따르면 고등교육(대학·대학원) 지출액 중 한국의 정부 부담은 국내총생산(GDP) 대비 0.91%로 관련 통계가 있는 28개국 중 19위에 그쳤다. 반면 학부모 등 민간 부담 몫은 GDP 대비 0.64%로 OECD 평균 0.33%보다 두 배가량 높다. 다른 선진국과 비교할 때 한국은 학부모의 고등교육비 부담이 크고 정부 부담은 상대적으로 적다. 지금보다 국가 지원을 늘릴 여지가 있는 것이다. [반대] "등록금 통제로 대학 경쟁력 저하"…"교육 질 하락은 결국 학생 손해"정부의 대학등록금 동결 기조가 시작된 2009년 이후 지난해까지 소비자물가는 33% 올랐다. 그 사이 대부분 대학의 등록금은 사실상 제자리걸음을 하면서 국립대든, 사립대든 가리지 않고 대학 재정이 열악해졌다. 교수 채용은 물론 노후 시설 교체조차 제대로 못 하는 대학이 부지기수다. 인공지능(AI) 등 첨단 산업 분야에선 낮은 연봉 때문에 교수 초빙도 쉽지 않다. 해외 석학 초빙은 꿈도 못 꾼다.
대학이 교수 월급을 올려줄 형편도 안 되니, 교수들도 해외 유명 대학 교수나 대기업 연구원에 비해 ‘박봉’에 시달린다. 그러다 보니 돈 되는 프로젝트나 정부 예산 따내기에 매달리게 되고 교육과 연구에 전념하기 어려운 여건이다. 정부 지원이 많은 일부 국립대는 그나마 형편이 낫지만 사립대는 사정이 더 나쁘다.
대학 경쟁력 추락도 심각하다. 스위스 국제경영개발대학원(IMD) 조사에서 한국의 대학 경쟁력은 조사 대상 64개국 중 49위에 그쳤다. 2013년 41위보다 더 떨어졌다. 영국 대학 평가기관 QS 조사에선 아시아 최상위 10개 대학 중 한국 대학이 1개에 그쳤고, 타임스고등교육(THE) 평가에선 10위권에 든 한국 대학이 한 곳도 없다. 세계 10위권 경제대국에 어울리지 않는 초라한 성적이다. 대학 경쟁력 저하의 피해자는 결국 학생들이다. 국가 경쟁력 측면에서도 손해다. 등록금 인상만이 해법은 아닐지 몰라도 등록금 인상 없이는 이 문제를 해결하기 어렵다. 교육계에선 대학등록금이 초·중·고 교육비나 영어 유치원비보다 못하다는 말이 나온 지 한참 됐다. 한국사립대총장협의회에 따르면 지난해 4년제 사립대의 등록금은 연평균 732만6000원으로 월 61만1000원 정도다. 월평균 교육비가 유아 대상 영어학원(174만4000원), 사립 초등학교(76만5000원), 사립 국제중(106만7000원), 국제고(237만2000원)보다 훨씬 적다. 한국의 의무교육은 고등학교까지다. 의무교육이 아닌 대학까지 등록금을 이처럼 과도하게 통제하는 건 바람직하지 않다. √ 생각하기 - 단계적·차등적으로 푸는 것도 방법
![[시사이슈 찬반토론] 대학등록금 통제, 계속해야 하나](https://img.hankyung.com/photo/202501/AA.39229646.1.jpg)
주용석 논설위원 hohobo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