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7) 백의민족
‘한민족은 역사 이래 흰옷을 즐겨 입었다’는 백의민족 신화는 어느 정도 진실일까. 오늘날 많은 한국인은 한민족이 흰옷을 숭상하고, 즐겨 입었다는 점을 의심하지 않는다. 그렇지만 정말로 흰옷을 좋아하고 흰옷만 고집했는지를 냉정히 따져본 적은 거의 없다.최공호 박사에 따르면 일반적으로 백의민족에 대한 관념은 최남선의 <불함문화론>을 포함한 일제 강점기의 여러 학자에 의해 본격적으로 등장했다. 이처럼 일제강점기 ‘백의민족’ 개념이 부각된 것은 당시 야나기 무네요시가 한국 미술에 대해 ‘색채 결핍론’과 ‘비애미’를 들고나온 데 대한 반론의 성격도 적지 않았다.
하지만 정말로 흰옷 착용이 한민족을 다른 민족과 구별하는 특질이었을까. 역사 기록을 살펴보면 “한국인이 흰옷을 즐겨 입었다”는 기록은 삼국시대 이후 빈번하게 발견된다. <삼국지> 위지동이전 ‘부여’에 “부여인은 흰색 옷을 숭상해 흰옷에 소매가 넓은 포와 바지를 입는다”는 기록이 있다. <수서(隋書)>에는 “신라의 복색은 흰색”이라는 묘사가 나온다. 이후 1487년 조선에 명나라 사신으로 온 동월의 저술인 조선부에 이르기까지 흰옷은 외국인의 시선에 한민족의 두드러진 특징으로 포착됐다.
이 같은 기록에도 불구하고 한민족이 백색 패션을 선호해서 의도적으로 추구했는지는 또 다른 문제다. 우선 고구려 고분벽화 등 현재까지 전하는 전근대 시기 시각자료에선 흰옷에 대한 숭상을 확인하기 어렵다.
더 주목할 만한 것은 조선시대의 적지 않은 문헌에서 “한민족이 흰옷을 피하려고 했다”는 기록을 전하는 점이다. 19세기 충청 지방의 문인 이옥은 그의 문집에서 “우리나라는 푸른색을 숭상해 백성이 대부분 푸른 옷을 입는다. 남자는 겹옷과 장삼이 아니면 일찍이 이유없이 흰옷을 입지 않았고, 여자는 치마를 소중히 여기는데 더욱 흰색을 꺼려 붉은색과 남색 외에는 모두 푸른 치마를 둘렀다”고 주장했다. 정조가 사도세자 묘소를 다녀오는 ‘수원능행도’에 등장하는 백성 중 상당수도 흰옷이 아니라 쪽염으로 보이는 청색치마를 입었다. 여기에 덧붙여 조선시대 내내 지배층들의 글에선 흰옷을 상찬하기보다는 통제하고, 비판하는 경우가 허다했다. 유교의 음양오행설에 따라 동방에 있는 조선인은 백의가 아니라 청의를 입어야 한다는 명분론 때문이었다. 흰옷이 상복과 구분되지 않는다는 점도 배척의 근거가 됐다.
19세기 후반 이유원이 쓴 <임하일기>에선 “명종 을축 이후 누차의 국가규범을 거쳐 소의(색과 무늬가 없는 흰옷)를 입으니 중국인들이 이를 비웃었다”고 전한다. “영조 2년 교지에 이르길 우리나라는 동쪽에 있으니 의당 청색을 숭상해야 하니 위로는 공경부터 아래로는 사서에 이르기까지 모두 청의를 입으라 했다”는 기록도 있다. <세종실록>(1429년 2월 5일)에도 “사헌부에서 관직을 가진 사람들은 백색 옷을 입는 것을 금지하는 계를 올리자고 가납한 바 있다”고 전한다. 인조도 <소학>을 인용하면서 “흰옷을 입는 것은 불길한 징조이니 의당 금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결국 백성들은 흰옷을 좋아해서 입었다기보다 선택의 여지가 없어 흰옷을 택했을 가능성이 크다. 왕명을 거스를 만큼 흰옷을 좋아해서가 아니라 절대 빈곤 때문에 어쩔 수 없이 흰옷을 입었고, 지배층은 이를 묵인할 수밖에 없었던 것이다.
실제 낙성대경제연구소가 추산한 1710~1909년 의류품 가격지수는 꾸준히 상승했다. 직물 가격은 18세기 초 하락하다가 중엽에 상승을 거친 뒤 후반 정체하다 다시 19세기 상승한 것으로 추정된다. 19세기 후반 상대적인 의복 가격 하락은 외국산 면직물 수입 영향과 벼 가격 급등에 따른 효과로 여겨진다. 당시 의복은 전업으로 생산되기보다 자가 소비를 목적으로 여성 노동을 이용해 만들어진 것이 대부분이었다. 흰옷이 국민 유니폼으로 정착된 데는 한계에 달한 생산력이란 슬픔이 배어 있는 셈이다. NIE포인트 1. 한민족은 언제부터 흰 옷을 입었을까.
2. 고구려 고분벽화 등에 컬러풀한 옷이 등장하는 이유는.
3. 조선시대 여러 문헌에 청의를 입어야 한다는 주장이 실린 이유는 뭘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