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 러다이트 운동(上)
출처:네이버 나무위키
출처:네이버 나무위키
1811년 영국에선 ‘러다이트 운동’이라고 불린 폭력적인 소요가 발생했다. 랭커셔에선 역직기가 파괴됐다. 요크셔에선 전단기가 부서졌다. 미들랜즈에선 편직기가 박살났다.

1811~1817년 발생했던 일련의 기계파괴운동은 영국 내 세 지역, 세 가지 직종에 한정된 운동이기도 했다. 구체적으로 1811년 11월 노팅엄셔에서 시작돼 이듬해 요크셔의 웨스트라이딩 지역으로 번졌다. 1813년 3월엔 랭커셔까지 기계파괴운동에 동참했다. 영국 정부는 러다이트 운동을 진압하기 위해 나폴레옹 전쟁 기간 웰링턴 장군이 이베리아반도에 파견했던 것보다 더 많은 1만2000명의 군대 병력을 투입했다. 또 강력한 법적 처벌로 재발의 싹을 잘랐다.

1810년대 러다이트 운동 첫 신호탄은 편직기 편물공들이 쐈지만 사실 기계를 때려 부수는 것은 오랜 역사가 있었다. 출처가 명확하진 않지만 ‘러다이트’라는 명칭도 1799년 두 대의 양말 짜는 기계를 부쉈던 네드 러드라는 노동자의 이름을 훗날 전모공들이 차용한 데서 비롯됐다. 그보다 앞선 1785년 에버레트가 영국 최초의 전모기를 만들자 실업자들은 그 기계를 불태웠고, 5만 명의 노동자가 아크라이트의 방적기계 사용을 금지하는 것을 골자로 하는 진정서를 의회에 제출하기도 했다.

유럽 대륙에서도 기계파괴운동의 전사라 불릴 만한 일이 적지 않았다. 1630년대 독일 단치히에서는 직물 짜는 기계의 사용을 금지하고 기계 발명가를 몰래 교살하거나 물에 던져 죽여도 시장이 이를 묵인한다는 말이 돌았다. 기계의 발명으로 다수의 노동자가 거지가 될 것을 두려워한 조치였다. 네덜란드 레이덴에서도 레이스 직공들의 폭동으로 시의회가 1629년까지 직물 짜는 기계의 사용을 금지했다. 1685년 함부르크 시의회는 대중 앞에서 직기를 소각하는 퍼포먼스를 벌였고, 작센 지방에서는 1765년이 돼서야 직기 사용이 가능해졌다.

영국에서 본격적으로 기계 도입을 반대하고, 기계를 부수는 문화를 먼저 조성한 것은 전모공이었다. 전모공, 전단공은 모직물 노동자 사이에선 귀족노동자로 불리던 특권적인 숙련노동자들이었다. 반면 면직공과 편직기 편물공은 속절없이 신분상의 하락을 먼저 경험하고 있던 선대제 노동자들이었다. 산업혁명 초창기엔 노동력 부족으로 ‘1780~1790년대 모든 방직공은 금시계를 차고, 매일 고기를 먹었다’는 식으로 영화를 누렸지만, 기계가 도입되면서 이들의 짧은 전성기는 곧 끝났다.

때마침 잉글랜드 산업의 대형화·기계화는 빠른 속도로 진행됐다. 면공업의 대표 도시인 맨체스터의 경우 1773년엔 인구 2만7000명에 방적공장이 하나도 없었지만 1812년이 되면 9만5000명의 인구에 52개의 면방직공장을 갖추게 된다. 그리고 1850년에는 인구 45만 명의 대도시가 된다.

잉글랜드 전체에서 동력직기는 1813년에 2400개에 불과했지만 1829년에는 5만5000개로 늘었다. 1833년에는 다시 8만5000개로 급증한다. 1850년대가 되면 22만4000개에 이른다. 반면 손으로 짜는 베틀 방직공은 1820년대에 50만 명에서 1840년대에는 10만 명으로, 1850년대엔 5만 명으로 계속 쪼그라든다.

무엇보다 기계는 동력을 필요로 했기 때문에 선대제에서처럼 노동자가 집에서 일할 수 없었다. 노동이 노동자 기분에 따른 속도로, 자율적으로 진행되는 것도 불가능해졌다. 하지만 상대적으로 전모공은 이처럼 급변하는 환경에 ‘조금’ 여유가 있었다. 전모공은 직물 표면에 나와 있는 잔털을 깎아 올을 뚜렷하게 하는 모직물 공정을 담당했다. 그들은 천을 자르고, 천에 흠집이 있는지 검사하고, 솔질하고, 압착한 뒤 다시 털을 자르는 일을 수행했다.

전모공은 또 천의 보풀을 세우는 일을 했고, 초대형 가위를 이용해 전단 작업을 했다. 그리고 이 두 공정은 경험과 기술이 필요한 작업이었다. 전모공의 임금은 관례상 완제품 직물 가격의 5% 정도로 규정됐지만, 전모공들이 얼마나 신경써서 일하느냐에 따라 제품 가격이 20% 정도까지 왔다갔다 했다.

당연히 전모공들은 임금 협상에서 유리한 위치에 있었다. 18세기까지 뉴캐슬 광산 같은 곳에선 빈민 노숙인 범죄자가 끌려와 쇠로 된 항쇄를 목에 끼고 노동을 했다지만 이 같은 부자유 노동 대신 노동계약에 따라 고용이 이뤄졌고, 전모공은 그중에서 가장 우월한 위치의 협상 테이블에 앉았다. NIE 포인트
김동욱 한국경제신문 기자
김동욱 한국경제신문 기자
1. 러다이트 운동은 왜 일어났을까.

2. 러다이트 운동의 역사를 본문에서 찾아보자.

3. 러다이트란 말의 어원을 알아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