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3) 이탈리아 파멸의 씨앗
게티이미지뱅크
게티이미지뱅크
사치는 정말로 망국의 과정에서 빠지지 않고 등장하는 불변의 요인일까?

베네치아나 제노바, 밀라노, 피렌체 같은 16세기 이탈리아 도시국가들의 쇠퇴 원인으로 저명한 경제사가 킨들버거를 비롯해 대부분의 역사가는 여러 복합적인 요인(무역 및 생산의 약화, 스페인 및 포르투갈과의 경쟁에 따른 몰락, 해외시장 독점체제 붕괴, 목재 부족, 흉작, 기상악화 등)과 함께 ‘사치’를 빼놓지 않는다.

15세기 피렌체에선 사업으로 부를 축적한 지배층이 고대 전성기 아테네 시민계급처럼 그들의 부와 권력을 과시하려고 했다. 덕분에 이때는 르네상스기 예술가들의 호황기가 됐다. 로렌초 기베르티는 1425년부터 피렌체 세례당의 화려한 동쪽 현관문을 만드는 작업을 했다. 필리포 브루넬레스키는 피렌체가 10만 굴덴을 주고 수출항인 리보르노 항구를 사들이던 해에 피렌체 대성당의 돔을 계획해 완수하도록 위촉받았다. 피렌체 시민들은 그들의 도시를 ‘제2의 아테네’로 만들고자 했다.

베네치아에선 15세기 갤리선에서 노를 저을 노수를 확보하는 게 힘들어지기 시작했다. 몰타섬 같은 식민지 출신 사람과 죄수들까지 동원해 갤리선 근무를 시켜야 할 정도로 경제 환경이 급변했다. 오스만투르크에서 노예가 수입된 반면, 탁월한 항해 관련 기술을 보유하고 있던 베네치아 뱃사람들은 더 좋은 대우를 해주는 피사 등 다른 이탈리아 도시는 물론 멀리 영국 함대로까지 일자리를 옮겼다.

이 같은 상황에서 베네치아에서 이미 한자리를 차지한 선원들은 흰담비 가죽으로 안을 댄 금색 옷과 같은 정교한 제복을 입기 시작했고, 점점 부패했다. 선원의 임금은 1550년대부터 1590년대까지 두 배로 올랐지만, 임금이 오른다고 선원난이 해소되는 것은 아니었다. 힘든 무역보다는 안전한 돈놀이여기에 당시 최첨단을 달리던 금융산업과 그에 따른 부의 창출이 결과적으로 베네치아나 피렌체 경제 발전의 발목을 잡았다. 무역이라는 힘들고 위험한 일보다 안전한 돈놀이가 더 많은 이익을 창출하면서 굳이 모험적인 사업을 할 필요성이 적어진 것이다. 위험을 회피하는 성향이 강해진 상인들은 해운업에서 자금을 빼 주택과 점포, 공채로 돈을 돌렸다. 그 결과 베네치아의 부자들은 세금 납부액을 크게 웃도는 단기 자산운용 소득을 올렸다.

이런 상황에서 과시성 소비는 필연적으로 등장했다. 한번 자리잡은 사치성 소비는 멈출 줄 몰랐다. 베네치아 상류층에겐 의상과 시골 토지, 교외 별장, 공공건물, 예술품 등이 모두 자신의 부를 과시하는 수단이자 대상이 돼버렸다. 16세기 베네치아는 향락의 본산으로 불렸다. 무엇보다 베네치아는 축제와 여자로 유명한 도시가 됐다.

사치 풍조는 사회 전반적인 기강에도 영향을 미쳤다. 사회의 근무 기강도 해이해졌다. 16세기 후반으로 가면 베네치아 경쟁력의 근간이던 조선산업에서 배를 만드는 인부들의 작업은 늦어졌고, 작업 수준도 형편없어졌다. 여기에 이탈리아 배들은 항해 기간이 얼마나 걸리든 매일 선원들에게 급료를 주는데, 이 때문에 굳이 힘들고 위험하게 일할 필요 없이 가급적 폭풍을 피하고 항구에 머무는 일이 많았다. 한마디로 베네치아 등 이탈리아 배들은 바람이 적게 불 때만 항구를 나서기 시작했다. 해외 자본 유출로 금융파산 불러돈맛을 본 은행가와 이자소득자들은 국내 산업에는 거의 돈을 투자하지 않고 더 큰 이익을 얻겠다는 한탕주의에 빠져 외국에 점점 더 많은 돈을 빌려줬다. 하지만 이는 이탈리아 금융파산의 결정타로 돌아왔다. 베네치아 등 이탈리아 경제는 1619~1622년 금융위기를 기점으로 쇠퇴하기 시작한 뒤 회복되지 못했다. 앞서 바르디와 페루치, 알베르티 가문의 파산과 브뤼주와 리옹, 런던에 거액을 무절제하게 대출한 메디치 은행이 1494년 파산한 데서 교훈을 얻지 못한 채 또다시 실책이 반복된 것이다.

도시국가 번영의 그늘에는 주변 농촌의 쇠퇴도 함께했다. 마이클 헤처와 윌리엄 부르스틴의 분석에 따르면 15세기 이후 유럽 대륙에서 ‘농민 반란’이 발생한 지역은 여지없이 베네치아, 제노바 인근 지역과 파리 인근 농촌 지대, 브뤼셀과 연계된 라인 강 연안 지대, 런던 주변 지역 등 상업도시 근처였다. 부가 일부 도시로 집중되면서 봉건적 토지귀족 전통 엘리트들이 앞장서는 독특한 형태의 농민 반란이 빈발했다는 설명이다. NIE 포인트
김동욱 한국경제신문 기자
김동욱 한국경제신문 기자
1. 르네상스기 예술이 부흥한 이유를 알아보자.

2. 본문에서 부의 창출이 오히려 피렌체 경제 발전의 발목을 잡은 이유를 찾아보자.

3.도시국가 인근 농촌에서 농민 반란이 자주 일어난 이유를 알아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