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각하기와 글쓰기
서울 성수동의 주얼리 제조업체 코아쥬얼리는 지난해 매출이 두 배 이상 뛰었다. 코로나 팬데믹으로 억눌렸던 글로벌 시장이 빠르게 회복되면서 수출 실적이 늘어난 덕이다. 지금도 3개월치 주문량이 밀려 있어 직원 20여 명이 납기를 맞추기 위해 구슬땀을 흘리며 세공 작업에 열중하고 있다. 귀금속과 패션 액세서리 등을 아우르는 주얼리 시장이 수출 회복세에 힘입어 활기를 띠고 있다. 코로나 사태로 억눌렸던 미국에서 ‘보복 소비’로 인한 수요가 늘어나고 있는 것이 주된 요인으로 분석된다.관세청에 따르면 지난해 주얼리 수출액은 3억5375만달러(약 4235억원)로 집계됐다. 2020년(2억388만달러) 대비 73.5% 급증했다. 주얼리 수출액은 2017년 2억4219만달러에서 이듬해 1억6862만달러로 감소했지만 이후 3년째 증가하고 있다. 지난해는 주요 수출국인 미국 주얼리 시장이 코로나 팬데믹 이후 회복세에 접어들면서 역대급 수출 호조로 이어졌다. 지난해 대미(對美) 주얼리 수출액은 1억1150만달러로 전체 수출액의 32.5%를 차지했다. 전년 대비 약 110%(6022만달러) 증가한 수준이다. 백경학 코아쥬얼리 대표는 “작년 8월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2년 만에 열린 주얼리 박람회에서 우리 업체 앞에 바이어들이 긴 줄을 섰을 정도로 열기가 뜨거웠다”며 “세계적인 귀금속 디자인 역량을 보유한 게 팬데믹 이후 급성장한 시장에 안착한 비결”이라고 밝혔다.
주얼리 제조업은 귀금속을 다룬다는 특성상 대량생산이 어려운 중소기업형 노동집약 산업으로 분류된다. 세공 기술을 보유한 근로자 10~20명 규모의 중소업체가 대부분이다. 국내 주얼리 제조업체는 1600여 개로 추산되는데, 이 중 코아쥬얼리 등 약 40개 업체가 주얼리 수출을 주도하고 있다.
주로 다이아몬드를 부착하지 않은 반지 등 반제품을 미국, 홍콩, 호주, 스위스 등에 수출한다.
한 주얼리업계 관계자는 “미·중 무역분쟁에 따른 관세 부과 등으로 가격경쟁력을 잃은 중국산 주얼리 제품이 팬데믹 이후 맥을 못 추면서 국산 제품들이 그 자리를 꿰차고 있다”고 설명했다.
국내 주얼리 수출은 1997년 외환위기 이후 본격적으로 시작됐다. 2001년 수출액이 3억9000만달러에 이를 정도로 전성기를 구가했다. 하지만 인력 부족 및 인건비 상승 등으로 2007년부터 성장세가 정체됐다. 가격경쟁력을 앞세운 중국, 인도 등에 글로벌 시장 점유율을 조금씩 빼앗긴 탓이다. 하지만 코로나 팬데믹 이후 글로벌 공급망이 재편되면서 아시아에선 독보적인 세공 기술을 보유한 국내 주얼리업체 제품들이 다시 주목받고 있다.
국내 주얼리 시장도 호조세다. 코스닥시장 상장 토종 주얼리업체 제이에스티나는 5년간 이어졌던 영업손실을 지난해 끝내고 흑자로 돌아설 것으로 증권가에선 예상하고 있다. 이 업체의 작년 3분기 누적 매출은 483억원으로 2020년 같은 기간보다 9%가량 늘었다. 같은 기간 영업이익은 94억원 적자에서 3억원 흑자로 개선됐다.
다만 해외 명품 브랜드가 부상하면서 토종 업체들이 설 자리를 잃을 것이란 우려도 나온다. 지난해 주얼리 수입액은 9억4283만달러로 1조1000억원에 육박해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전년과 비교해선 62%나 증가했다. 명품 브랜드를 다수 보유한 이탈리아, 프랑스 제품이 전체 주얼리 수입의 절반을 차지했다.
온현성 월곡주얼리산업연구소 소장은 “국내 고가 주얼리 시장의 3분의 2 이상은 수입 명품 브랜드들이 점유한 상황”이라며 “국내 업체들은 브랜드 파워를 한층 강화해 비대면 온라인 쇼핑 등에서 활로를 모색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민경진 한국경제신문 기자 NIE 포인트1. 주얼리 시장에서 한국 제품이 중국 제품보다 더 잘 팔리는 이유를 본문에서 찾아보자.
2. 주얼리 산업이 온라인 비대면 거래를 활성화 해야 하는 이유를 찾아보자.
3. 2000년대 초반 주얼리 시장이 위축된 이유를 알아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