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 금융과 산업 下
양모 거래가 급성장하고 고수익을 얻는 동안 피렌체 은행업망은 유럽 전역으로 팽창했다. 1338년 피렌체에는 120만 골드플로린 이상 값어치의 직포를 7~8만 점이나 생산하는 작업장이 200개 이상 있었다. 30년 뒤인 1360년대 말에도 품질은 조야하고 값어치가 절반으로 떨어지긴 했지만 10만 점 이상을 생산하는 작업장이 300개가량 있었다.그러나 성장률이 둔화하고 수익이 하락하자 양상이 달라졌다. 전반적으로 피렌체 상인과 제조업자들은 고급화 쪽에 집중했다. 1338년 훨씬 이전부터 직포 생산량을 줄이고 고품질·고가치 품목에 집중하는 현상이 나타났다. 1338~1378년에는 이런 경향이 급속히 심화됐다. 생산은 거의 전적으로 이전 제품의 두 배 가격인 고품질 직포에만 집중됐다. 그 대신 생산 수량은 2만4000점으로 하락했고, 15세기 전 연간 생산량인 3만 점 이상으로 올라간 적이 없었다. 에드워드 3세 모라토리엄 선언으로 모직값 폭락피렌체에서의 산업 생산이 이처럼 극적으로 줄어든 것은 어느 누가 폭력적으로 강제한 것이 아니었다. 오히려 피렌체의 사업을 이끈 것은 엄격한 자본주의적 행동논리였다. 경쟁이 격화되면서 수익률을 높이려는 노력이 이어졌고 상품의 구매와 가공, 판매에서 더욱 유연한 투자 형태가 등장했다. 하지만 이 같은 경제적 변화상은 1340년대 초 ‘대폭락’이란 충격으로 이어졌다. 이 경제적 충격은 에드워드 3세가 잉글랜드의 프랑스 침공에 돈을 댄 피렌체은행 가문인 바르디와 페루치에서 빌린 136만5000플로린을 갚지 못하겠다고 1339년 선언하면서 일어난 것이었다. 당시 에드워드 3세의 모라토리엄 규모는 1338년 피렌체 직포 생산 총액보다 많았던 만큼 피렌체 금융가가 입은 타격은 컸다.
엎친 데 덮친 격으로 바르디와 페루치가 파산한 직후인 1348년부터 엄습한 흑사병과 뒤이은 각종 전염병으로 위기가 증폭됐다. 대폭락 전인 1338년에는 피렌체 인구의 3분의 1인 3만 명 이상이 직포 제조업이 지급하는 임금에 의존해 살았는데, 이후 40년간 직포 생산이 바닥으로 떨어지자 하위층의 불만이 쌓여갔고, 이는 결국 ‘치옴피(양모손질공)의 반란’ 같은 정치적 불안으로 이어졌다.
바르디와 페루치가 쓰러진 자리는 메디치 가문이 메웠다. 바르디와 페루치 실패의 교훈을 연구한 메디치가는 사업을 벌일 대상(정부)을 매우 신중하게 선택했다. 1435~1450년 메디치가는 28만9000플로린의 이윤을 거뒀고, 이 중 90%는 은행업의 성과였다. 나머지는 피렌체 기업이 운영하는 두 개의 양모 상점과 한 개의 비단 상점의 결과였다. 메디치가 최대 수익처는 로마 교황청메디치가의 해외지사 중 최대 수익처는 로마로, 1434년까지 여기서 회사 수익의 절반을 거둬들였다. ‘로마와 함께, 로마를 위해’ 벌이는 사업은 메디치 금융제국의 주춧돌이었다. 로마 교황청과 손을 잡는 것은 현금 유입량이 크게 느는 것을 의미했다.
게다가 당시에는 흑사병 때문에 교회의 유산과 교회가 받은 기부금이 몇 배로 늘면서 교회가 다루는 돈의 규모도 커졌다. 이뿐만 아니라 교황청이 만성적으로 메디치 가문에 부채를 지고 있었던 만큼, 메디치가가 교황청의 영적·조직적 권력을 동원해 유럽 전역의 하급 성직자들에게 제공한 대출금의 상환을 보장받을 수 있었던 점도 큰 매력이었다.
1460년엔 교황령인 톨파 지방 화산에서 나오는 증기로 생성된 수천 돈의 명반(황산알루미늄칼륨)이 비축된 소금광산이 발견됐는데, 1466년 메디치가는 교황청과 계약을 맺고 염광 작업권과 생산물 수출권을 얻었다. 당시 유럽은 명반을 거의 전량 소아시아에서 수입했던 만큼 이는 메디치가의 주요 캐시카우 역할도 했다.
대외 여건도 메디치가에 유리했다. 1378~1417년 교황청이 로마와 아비뇽 둘로 나뉘어 분열했던 점도 금융거래를 복잡하게 했고, 메디치가가 교황청을 장악하는 데 도움을 줬다는 분석이다. NIE 포인트 1. 산업과 금융의 상관관계를 알아보자.
2. 박리다매 제품과 고급화 제품의 차이점을 조사해보자.
3. 세계적 금융기업의 발전사를 학습해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