슬기로운 국어 학습
(28) 고전 소설 속의 달과 꿈
이때는 추구월(秋九月) 보름 때라. 월색은 명랑하여 남창에 비치었고, 공중에 외기러기 옹옹한 긴 소리로 짝을 찾아 날아가고, 동산의 송림 간에 두견이 슬피 울어 불여귀를 화답하니, 무심한 사람도 마음이 상하거든 독수공방에 눈물로 세월을 보내는 송이야 오죽할까. 송이가 모든 심사 잊어버리고 책상머리에 의지하여 잠깐 졸다가 기러기 소리에 놀라 눈을 뜨고 보니, 남창 밝은 달 발허리에 가득하고 쓸쓸한 낙엽성은 심회를 돕는지라. 잊었던 심사가 다시 가슴에 가득하여지며 눈물이 무심히 떨어진다. 송이가 남창을 가만히 열고 달빛을 내다보며 위연탄식하는데, “달아, 너는 내 심사를 알리라. 작년 이때 뒷동산 명월 아래 우리 님을 만났더니, 달은 다시 보건마는 님은 어찌 못 보는고. 그 옛날 심양강 거문고 뜯던 여인은 만고문장 백낙천(萬古文章白樂天)을 달 아래 만날 적에 마음속에 맺힌 말을 세세히 풀었건만, 나는 어찌 박명하여 명랑한 저 달 아래서 부득설진심중사(不得說盡心中事)하니 가련하지 아니할까.” (중략)(28) 고전 소설 속의 달과 꿈
아득한 정신은 기러기 소리를 따라 멀어지고 몸은 책상머리에 엎드렸더니, 잠시간에 잠이 들어 주사야몽(晝思夜夢) 꿈이 되어 장주(莊周)의 나비같이 두 날개를 떨치고 바람 좇아 중천에 떠다니며 사면을 살피니, 오매불망하던 장필성이 적막 공방에 혼자 몸이 전일의 답시(答詩)를 내놓고 보며 울고 울고 보며 전전반측 누웠거늘, 송이가 달려들어 마주 붙들고 울다가 꿈 가운데 우는 소리가 잠꼬대가 되어 아주 내처 울음이 되었더라.
- 작자 미상, ‘채봉감별곡’ - 남창 밝은 달…심회를 돕는지라…달아, 너는 내 심사를 알리라…명월 아래 우리 님을 만났더니, 달은 다시 보건마는 님은 어찌 못 보는고…명랑한 저 달 아래서 부득설진심중사(不得說盡心中事)문학 작품에 자주 등장하는 소재 중 하나가 달이다. 깜깜한 밤중에 자연적인 빛은 별 말고는 달밖에 없어 사람들에게 특별한 존재이기 때문이다. 그럼 우리 조상에게 달은 어떤 존재였을까?
이 작품에서 ‘달’은 어떤 마음을 불러일으킨다. ‘송이’는 ‘심회(心懷, 마음속에 품고 있는 생각이나 느낌)’를 갖고 있는데, 창밖의 달을 보는 순간 그것이 더욱 깊어진다. 그녀가 ‘독수공방(獨守空房, 혼자서 지내는 것)에 눈물로 세월을 보내’는 것으로 보아, 그 마음이란 임을 그리워하며 슬퍼하는 것일 게다. 결국 그녀는 ‘달빛을 내다보며 위연탄식(然歎息, 한숨을 쉬며 크게 탄식하다)하’기에 이르는데, 달은 그녀로 하여금 슬픔의 정서를 느끼게 했던 것이다.
그리고 ‘송이’는 ‘달아, 너는 내 심사를 알리라’라고 하면서, 달을 부르며 달에게 말을 건넨다. 불교와 무속 신앙에서는 마음을 가진 살아 있는 존재를 ‘유정(有情)’한 존재라 하는데, 그녀는 달을 그렇게 생각했던 것이다. 아니 한술 더 떠, 그녀는 달을 무엇이든 다 아는 존재라고 생각했는지도 모른다. 열 길 물속은 알아도 한 길 사람 마음은 모른다 하지 않는가? 그런 사람의 마음을 안다는 것은 초인간적인 존재만이 할 수 있다. 그렇다면 ‘송이’에게 달은 초월적인 힘을 갖고 있는 존재일 수도 있다.
신윤복은 ‘월하정인(月下情人)’이라는 그림에서 달빛 비치는 한밤중에 남녀가 은밀히 만나는 정경을 묘사했다. 이 작품에서도 ‘송이’와 ‘장필성’이 만났던 것은 ‘명월 아래’였다. 그때의 마음이 어떠했을지는 그 두 사람만이 알 것이나(‘월하정인’(사진)에는 ‘月沈沈夜三更 兩人心事兩人知’라는 글귀가 있는데, 이는 ‘달빛 비치는 한밤중, 두 사람의 마음은 두 사람만이 안다’는 뜻이다.) 상상컨대 대놓고 남녀가 만날 수 없는 조선 사회에서 마음 놓고 사랑을 나누려는 연인들에게 달밤은 안성맞춤인 시간이었을 것이다. ‘여인은 … 백낙천…을 달 아래 만날 적에 마음속에 맺힌 말을 세세히 풀었’다는 것을 보면 연인들의 솔직한 마음을 드러내는 데 달밤만한 것은 없었을지도 모른다.
그러나 달밤의 낭만은 어디까지나 임과 함께 있었을 때나 가능하다. ‘달은 다시 보건마는 님은 어찌 못 보’는 바와 같이 임과 대조되는 달은 임의 부재만을 확인시킬 뿐이다. 또한 ‘명랑한 저 달 아래서 부득설진심중사(不得說盡心中事, 마음을 다 얘기하지 못함)하’는 ‘송이’에게 달밤은 임에 대한 그리움으로 인한 슬픔을 더욱 돋울 뿐, ‘여인’과 ‘백낙천’에게 안겨준 낭만적인 달밤과는 거리가 먼 것이다.
현대인들은 달을 보며 연인을 그리워하며 슬픔을 느낄까? 달이 어떤 생각이나 마음을 갖고 있고, 모든 것을 아는 존재라고 생각할까? 사랑을 나누기에 달밤만 한 것이 없다고 생각할까? 과학으로 무장하고 마음을 아무 때, 아무 곳에서나 표현할 수 있는 현대인들에게 달은 천체의 하나에 지나지 않고 달밤은 노동의 피로나 푸는 시간밖에 되지 않을지도 모른다. 현대인들에게는 낯설지만 우리 조상들은 달을 그렇게 생각했고 작품 속에서 그렇게 이용했다. 따라서 이런 마음을 알고 조상들의 작품을 읽으면 좀더 이해하기 쉬울 것이다. 꿈이 되어 장주(莊周)의 나비같이…오매불망하던 장필성이…전전반측 누웠거늘, 송이가 달려들어 마주 붙들고 울다가예부터 꿈은 인간의 욕망을 충족하는 수단으로 생각되어 왔다. 현실 속에서 실현되는 욕망은 그리 많지 않다. 한(恨)은 욕망을 실현하지 못한 것이 쌓여 생긴 응어리진 마음인데, 그것을 품게 되면 인간은 거의 살 수 없을 지경이 된다. 이때 그것을 해결할 수 있는 유일한 수단쯤으로 이용되는 것이 꿈이다.
이 작품에서 ‘송이’는 ‘잠이 … 꿈이 되어 장주(莊周, 중국 전국시대 도가 사상의 중심인물로, 흔히 ‘장자’라 불린다)의 나비’가 된다. 이는 장자가 꿈에 호랑나비가 되어 훨훨 날아다니다가 깨서는, 자기가 꿈에 호랑나비가 되었던 것인지 호랑나비가 꿈에 장자가 되었는지 모르겠다고 한 이야기에서 유래한 호접지몽(胡蝶之夢)을 차용한 것인데, 그녀는 꿈속에서 ‘장필성이 적막 공방에 혼자’인 채로, ‘울고 울고 보며 전전반측(輾轉反側, 몸을 이리저리 뒤척이며 잠을 이루지 못함) 누’워 있는 것을 본다. 꿈을 통해 ‘오매불망(寤寐不忘, 자나 깨나 잊지 못함)하던’ 그를 보았을 뿐만 아니라, 그가 그녀처럼 자신을 잊지 못하고 있음을 확인한 것이다. 이루지 못한 현실 속의 욕망을 꿈에서나마 이룬 것인데, 이때 그녀의 벅찬 감정은 이루 말할 수 없을 것이다. 그래서 두 사람은 ‘마주 붙들고 울’게 된다. 그러나 호접지몽은 인생의 덧없음을 이르는 말이기도 하다. 두 사람의 만남은 꿈속에서 이루어진 것이므로 안타깝게도 결코 지속될 수가 없다. 그래서 ‘꿈 가운데 우는 소리가 잠꼬대가 되’고 만다. ‘송이’는 꿈속뿐만 아니라 현실 속에서도 우는 것이다. 따라서 ‘아주 내처 울음이 되’었다고 했는데, 그 울음은 꿈속에서 임과 만나 기뻐 우는 울음이기도 하지만 현실에서 만나지 못해 안타까워 우는 울음이기도 하다.
《꿈의 해석》의 저자인 프로이트는 꿈은 인간 욕망 실현의 수단이라고 했는데, 이는 과학을 신봉하는 현대인들도 꿈에 대해 옛사람들과 같은 생각을 가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문학에서 꿈을 이용하는 방법은 매우 다양하다. 이 작품처럼 ‘욕망 실현의 덧없는 공간’으로 꿈을 이용하는 방법이 그중 하나임을 알고 있으면 소설 내용을 이해하는 데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 포인트① 달이 임에 대한 그리움과 독수공방의 슬픔을 촉발하는 소재로 쓰일 수 있음을 알아 두자.
② 우리 조상들은 달이 어떤 생각이나 마음을 갖고 있는 유정(有情)한 존재고, 모든 것을 아는 초월적인 존재라고 생각했음을 알아 두자.
③ 남녀가 대놓고 만날 수 없었던 조선 사회에서 달밤에 사랑을 나누는 장면이 문학이나 그림에 많았음을 알아 두자.
④ 욕망을 실현하지 못한 것이 쌓여 생긴 응어리진 마음이 한(恨)이며 그것을 실현하는 수단으로 꿈이 이용됨을 알아 두자.ㅐ/
⑤ 호접지몽(胡蝶之夢)을 차용해 상황의 덧없음을 드러내는 작품이 있음을 알아 두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