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철현의 인문학 산책 - 소포클레스와 민주주의 (31) 헤아림
실수하는 사람은 모른다. 자신이 그 일을 잘못했는지. 그는 자신의 습관대로, 혹은 자신이 이해한 사회의 관습대로 일을 저질렀을 뿐이다. 그러나 시간이 지나 자신을 돌아볼 기회가 있다면 깨닫는다. 그가 양식이 있다면, 후에 그 일을 돌이켜보거나 혹은 그 실수가 더 큰 실수로 이어질 때, 실수였다는 사실을 인정한다.실수를 다시는 반복하지 않겠다고 다짐하고, 실수하는 자신을 객관적으로 관찰하려는 안목이 있다면, 그는 행복하다. 매일매일 자신이 원하는 삶으로 한 걸음씩 전진하기 때문이다. 만일 자신을 돌아볼 마음의 여유가 없거나, 실수를 인정하지 않는 사람에겐 더 큰 실수가 엄습한다. 그 실수는 돌이킬 수 없어 치명적인 상처를 남긴다.
하마르티아
아리스토텔레스는 그리스 비극을 비롯한 문학 및 예술작품의 내용과 기준을 정의한 《시학》에서 비극의 주인공이 더 이상 회복할 수 없는 치명적인 파국으로 치닫게 하는 성격을 하나의 그리스 단어로 표현했다. 바로 ‘하마르티아(hamartia)’다. 비극의 주인공은 하마르티아를 통해 자신과 자신의 친지를 해친다. 이 감정은 비극을 관람하는 모든 사람들의 마음속에 존재하는 성격이며, 더 나아가 모든 인간의 마음속에 도사리고 있어 언제든지 그의 생각과 말, 행동을 지배해 멸망의 길로 인도한다.
하마르티아는 그리스 비극의 주인공이 지닌 성격이며 마음가짐이다. 하마르티아는 비(非)도덕적이거나 비윤리적이지는 않다. 그렇다고 반(反)사회적이거나 반가족적도 아니다. 이 단어는 그리스어 동사 ‘하마르타노’의 명사형으로, 그 원래 의미는 ‘(궁수가 활시위를 당겨 날아가는 화살이) 과녁으로부터 빗나가다’ ‘자신이 원하는 목표에 도달하지 못하다’는 의미다.
고대 히브리 동사에 ‘하타’라는 동사가 있다. 거의 모든 히브리어 단어는 일상을 표현하는 구체적인 의미와 그 예가 상징하는 은유적인 의미가 있다. 하타는 그리스어 하마르티아와 비슷하게 ‘(화살이) 과녁으로부터 빗나가다’다. 은유적인 의미는 ‘죄를 짓다’다. 고대 히브리인들은 신의 형상을 지닌 인간은 짧은 인생을 살면서 자신이 가야 할 길이 있다고 생각했다. 그 길이 바로 ‘토라(Torah)’다. 토라는 유대인들에게 구약성서의 첫 다섯 권을 지칭하는 단어이기도 하다. 바로 이 길로부터 벗어나는 행위가 ‘죄’다. 4세기 그리스도교 신학을 체계화한 어거스틴은 인간을 ‘본성적으로 그 길에서 벗어나려는 육체적 욕망의 노예’라고 정의하고, 이 죄를 ‘원죄’라고 불렀다.
오만과 아둔
《안티고네》에서 크레온은 치명적인 결함인 하마르티아의 소유자다. 그는 테베를 공격한 폴리네이케스의 시신을 매장하지 않고 방치하도록 칙령을 내렸다. 그것이 자신과 자신이 속한 공동체에 최선이라고 생각했다. 또 폴리네이케스의 시신을 매장하는 자는 도시 밖에서 돌로 사형당할 것이라고 말했다. 크레온은 조카 안티고네가 시신을 매장하자 깊은 석굴에 감금해 아사시키려 한다. 아들 하이몬이 “안티고네를 동굴 안에서 죽도록 방치하는 것은 테베 시민들이 생각하기에 옳지 않다”고 말하지만 크레온은 오히려 그를 꾸짖고는 안티고네를 당장 살해하겠다고 위협한다. 하이몬은 안티고네가 있는 석굴로 찾아간다. 연인 안티고네가 목이 매달린 채 죽어 있는 것을 보고는 자신도 자살한다.
하마르티아의 원인은 ‘무지(無知)’다. 하마르티아의 첫 번째 자식은 ‘오만(傲慢)’이다. 오만은 고대 그리스어로 ‘휘브리스(hybris)’라고 부른다. 휘브리스는 자신이 현재 누리는 혜택을 혼자 힘으로 이뤘다고 여기는 착각이다. 오만한 자는 타인의 말을 듣지 않는다. 크레온은 다른 사람들의 마음을 헤아리려는 자비가 없었고, 그들의 말을 경청하려는 겸손이 없었다.
하마르티아의 두 번째 자식은 ‘아둔’이다. 아둔은 그리스어로 ‘아테(ate)’라고 부른다. 아테를 지닌 자는 자신이 남보다 똑똑하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자신의 눈과 귀를 막는다. 눈에는 시커먼 안경을 끼고 아무것도 보려 하지 않고, 귀에는 누구의 조언도 들을 수 없도록 진공 귀마개를 장착한다. 하마르티아의 세 번째 자식이자 결말은 ‘복수(復讐)’다. 복수를 의미하는 그리스 단어는 ‘네메시스(nemesis)’다. 치명적인 실수를 저지른 크레온은 오만하고 아둔하다. 그는 그 대가로 스스로에게 복수한다.
헤아림
소포클레스는 《안티고네》의 핵심을 합창대의 마지막 노래로 우리에게 알려준다. “헤아림이야말로 으뜸가는 행복입니다. 신들에 대한 경의는 모독해서는 안 됩니다. 오만한 자들의 큰소리는 그 벌로 큰 타격을 받게 돼, 늘그막에 헤아림이 무엇인지 알게 해줍니다.”(1348~1353행) 합창대의 마지막 노래에 ‘헤아림’으로 번역된 그리스 단어 ‘프로네인(pronein)’이 두 번이나 등장한다. 프로네인은 ‘다른 사람을 위해(pro), 그 사람의 처지를 깊이 헤아리는 마음(nein)’이다. 비극 《안티고네》 공연을 숨죽여 보고 있던 아테네 시민들 마음속에는 헤아림의 씨가 자라나고 있었다.
기억해주세요
실수를 다시는 반복하지 않겠다고 다짐하고, 실수하는 자신을 객관적으로 관찰하려는 안목이 있다면, 그는 행복하다. 매일매일 자신이 원하는 삶으로 한 걸음씩 전진하기 때문이다. 만일 자신을 돌아볼 마음의 여유가 없거나, 실수를 인정하지 않는 사람에겐 더 큰 실수가 엄습한다. 그 실수는 돌이킬 수 없어 치명적인 상처를 남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