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영신 회장, 숱한 위기 뒤 애경을 반석에 올려
대학강사 한무경, 7000억 매출 효림그룹 키워
한국에서 여성이 기업가로 성공하기는 쉽지 않다. 성공은 고사하고 기업을 하겠다고 나서는 일 그 자체가 금기처럼 여겨져 왔다. 옛날엔 ‘여자가 집에서 밥이나 하지 무슨 사업을 하느냐’며 남자들에게 따돌림 당하기 십상이었다. 대한민국 여성기업인 1호 인 장영신 애경그룹 회장의 성공도 그런 서러움을 극복해낸 후에 가능했다.대학강사 한무경, 7000억 매출 효림그룹 키워
한국에서 여성기업가란
애경그룹은 1954년 채몽인이 세운 애경유지공업에서 출발했다. 비누 제조 기업이었다. 사업은 잘됐다. 1970년에는 울산에 석유화학 공장도 세웠다.
생각지 못한 불행이 닥쳤다. 채몽인 사장이 갑자기 숨을 거둔 것이다. 막내 아들을 출산한 지 사흘째 되던 날이었다. 기업주가 사라지자 애경유지는 표류하기 시작했다. 부인인 장영신은 남편의 회사가 망해가는 것을 앉아서 보고만 있을 수 없었다. 남편의 주식을 상속받은 그는 1972년 7월1일 무작정 회사로 출근했고 8월 사장에 취임했다. 남편의 형제들이 말렸다. 회사 임원들도 여자 사장을 보려 하지 않았다. 여자 밑에서는 회사를 다닐 수 없다며 아예 사표를 던지고 나간 사람도 있었다. 그래도 어쩔 수 없었다. 학원을 다니면서 회계장부 공부부터 시작했다. 하나둘 직원들이 여자 사장을 인정하기 시작했다.
1973년 7월 석유위기가 찾아왔다. 애경 계열사인 삼공화성도 생사의 기로에 섰다. 원료인 석유를 구할 수 없게 된 것이다. 장영신 사장은 걸프사 한국법인 대표를 찾아가서 자기를 믿고 일본 미쓰비시가스에 원료 공급 요청을 해달라고 부탁했다. 무례하게 보일 수 있는 부탁이었지만 자신감 넘치는 그의 태도에 감동한 걸프사 대표는 장영신 사장의 청을 들어줬고 원료를 확보해서 생산을 재개할 수 있었다. 덤으로 거기서 생산한 제품의 수출길도 열렸다.
그 무렵 우리나라 가정에도 세탁기가 보급되기 시작했다. 합성세제가 필요할 터였다. 장영신 사장은 과감히 합성세제 공장 건설을 감행했다. 장영신 사장의 예상대로 합성세제 판매가 급증하기 시작했고 애경그룹도 반석 위에 올라섰다. 1990년대에는 애경백화점을 창업하면서 유통업에 진출했고 2005년에는 제주항공으로 항공업도 시작했다. 81세를 맞은 장영신 회장은 이제 모든 경영을 2세들에게 맡기고 편안한 여생을 보내고 있다.
아버지 반대에도 사업
아직 장영신 회장만큼 성공을 거두진 못했지만 미래사이언스(전 한경희생활과학)의 한경희 대표 역시 대단한 여성기업가다. 대학을 졸업하고 한동안 직장생활을 했다. 국제기구 직원에 이어 공무원 생활도 해봤지만 사업을 하고 싶다는 생각이 머리를 떠나지 않았다. 1999년 아버지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사업을 시작했다. 잘될 것 같던 스팀청소기에 사소한 문제가 계속 생겼다. 시간이 흘러가는 만큼 빚도 쌓여갔다. 결국 아버지의 집까지 담보로 넣는 지경이 됐다. 고진감래라고 했던가. 2003년부터 매출이 늘기 시작했고 2005년에는 본격적으로 이익도 발생했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아버지는 세상을 떠난 후였다. 그 후 한때 연매출이 1000억원대까지 올랐으나 지금은 다시 어려운 상황에 처했다. 한경희 대표를 응원한다. 17년 전에도 지독한 어려움을 극복했듯이 이번의 어려움도 극복하기 바란다.
40세에 기업가의 길
여성경제인연합회 회장을 맡고 있는 효림그룹의 한무경 회장도 주목할 만한 여성기업가다. 원래 대학강사였던 그가 기업가로 뛰어든 것은 40세가 되던 1999년이었다. 부도난 쌍용차동차의 부품사업부를 1억원에 인수했다. 하지만 누구도 여자 사장을 인정하려 하지 않았다. 회사는 더욱 엉망이 되어 갔다. 한무경은 본인이 직접 걸레와 솔을 들고 악취가 진동하는 화장실 청소부터 시작해 나갔다. 차츰 직원들의 마음이 돌아왔고 회사도 정상적으로 돌아가기 시작했다. 이제 효림그룹은 연간 매출이 7000억원에 달하는 대기업으로 확고히 자리를 잡았다.
감성과 보살핌, 세심함 등 여성은 남성이 가지지 않은 많은 능력을 가지고 있다. 기존 한국 기업 문화에 이런 특성들이 가미된다면 더 부드럽고 따뜻한 기업이 태어날 수 있을 것이다. 여성기업인들의 손으로 엄마와 연인 같은 기업들이 만들어지길 기원한다.
김정호 < 연세대 경제대학원 특임교수 kim.chungho@gmail.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