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0일 서울 연세대 신촌캠퍼스 알렌관에 서울대와 연세대 교수 20여명이 모였다. 작년에 시작한 서울대와 연세대의 협력연구 진행 상황을 점검하고 결과를 공유하기 위한 자리였다. 김은경 연세대 연구처장은 “이번 협력연구는 매우 역사적인 사건”이라며 “학교·학문 간 장벽을 허무는 융합 연구의 효시가 되도록 앞으로 자주 만나 좋은 결과를 내자”고 말했다.
서울대와 연세대가 통일에 대비해 국가전략·노화·기후변화 등 미래 한국사회에 닥칠 다섯 가지 난제 해결을 위한 연구에 손을 맞잡았다. 협력보다는 경쟁이 지배하는 대학가의 연구 풍토에서 한국을 대표하는 명문대학들이 학교 차원에서 공동 연구에 나선 건 이례적이다.
두 대학의 협력연구는 오연천 전 서울대 총장(현 울산대 총장)과 정갑영 연세대 총장의 ‘의기투합’으로 성사됐다. 평소 친분이 두터운 두 총장은 “미래 한국이 마주할 난제에 도전해 국가경쟁력을 높이는 데 기여하자”며 양교를 오가며 두 차례 논의한 끝에 지난해 6월 ‘협력연구에 관한 협약(MOU)’을 체결했다. 두 학교는 매년 5억원씩 5년간 총 50억원의 연구비를 투입한다.
다섯 가지 과제는 공모를 통해 선정했다. 현재 서울대에서 22명, 연세대에서 20명의 교수가 연구에 참여하고 있다. 성낙인 현 서울대 총장도 이 연구를 전폭적으로 지원하고 있다.
그동안 대학가에서는 여러 대학 교수들이 개별적으로 참여한 연구 프로젝트는 종종 있었지만 대학 차원의 공동 연구는 거의 없었다. 대학들이 연구 실적 위주의 국내외 대학평가 등을 의식해 학교 간 협력보다는 경쟁에 급급했기 때문이다.
국가전략·행복사회·노화·기후변화 등 최근 한국 대학에서 찾아보기 힘든 미래지향적인 거대담론이 연구주제로 선정된 것도 눈에 띈다. 한 교수는 “요즘 대부분 대학교수들은 정부나 기업 등으로부터 재정적 지원을 받을 수 있는 단기적 성격의 연구과제를 따내는 데 혈안이 돼 있다”며 “이번 연구는 외부 지원 없이 양교의 자체 예산으로 장기 연구과제를 수행한다는 점에서 기존의 연구 관행을 극복하는 의미가 있다”고 평가했다.
분야별 연구는 학문 간 경계를 뛰어넘는 융합과 통섭의 원리를 기반으로 하고 있다. 한반도를 둘러싼 지정학(地政學)과 해륙복합국가 건설전략 등을 연구하는 ‘통일대비 국가전략’ 분야에는 양교 정치외교학과 교수들뿐만 아니라 경제학과 지리학 전공 교수들도 참여하고 있다.
진영재 연세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이번 연구를 통해 한국사회에 통일에 대한 집단지성을 조성하는 게 목적”이라고 말했다. ‘기후변화’를 맡고 있는 김광열 서울대 지구환경과학부 교수는 “기후변화의 영향과 대응전략 등을 다루기 위해 기상학뿐만 아니라 사회학, 경제학, 정치학, 법학 등 다양한 전공자를 망라했다”고 설명했다.
뇌질환 치료를 위한 나노 소자를 개발하고 있는 ‘나노기술’ 연구팀은 미래창조과학부의 ‘나노 소재 원천기술 개발사업’(5년간 총 35억원)을 따내는 등 이미 상당한 성과를 거뒀다. 최헌진 연세대 신소재공학과 교수는 “지난 1년간 연구를 통해 이미 논문이 여러 편 작성됐고, 특허 출원도 진행 중”이라고 말했다.
양교 교수들의 교류는 연구주제에 따라 차이가 컸다. ‘지속가능한 행복사회’를 연구하는 김성호 연세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한국미래학회와 공동으로 매달 ‘덕산포럼’을 열어 두 대학 교수들이 연구 방향에 대해 의견을 나누고 있다”고 말했다. 하지만 10일 연세대 모임에서 “처음 뵙겠습니다”며 같은 연구주제를 맡은 교수들이 서로 명함을 주고받는 등 교류가 아직 원활하지 않은 분야도 눈에 띄었다.
오형주/마지혜 기자 ohj@hankyung.com
서울대와 연세대가 통일에 대비해 국가전략·노화·기후변화 등 미래 한국사회에 닥칠 다섯 가지 난제 해결을 위한 연구에 손을 맞잡았다. 협력보다는 경쟁이 지배하는 대학가의 연구 풍토에서 한국을 대표하는 명문대학들이 학교 차원에서 공동 연구에 나선 건 이례적이다.
두 대학의 협력연구는 오연천 전 서울대 총장(현 울산대 총장)과 정갑영 연세대 총장의 ‘의기투합’으로 성사됐다. 평소 친분이 두터운 두 총장은 “미래 한국이 마주할 난제에 도전해 국가경쟁력을 높이는 데 기여하자”며 양교를 오가며 두 차례 논의한 끝에 지난해 6월 ‘협력연구에 관한 협약(MOU)’을 체결했다. 두 학교는 매년 5억원씩 5년간 총 50억원의 연구비를 투입한다.
다섯 가지 과제는 공모를 통해 선정했다. 현재 서울대에서 22명, 연세대에서 20명의 교수가 연구에 참여하고 있다. 성낙인 현 서울대 총장도 이 연구를 전폭적으로 지원하고 있다.
그동안 대학가에서는 여러 대학 교수들이 개별적으로 참여한 연구 프로젝트는 종종 있었지만 대학 차원의 공동 연구는 거의 없었다. 대학들이 연구 실적 위주의 국내외 대학평가 등을 의식해 학교 간 협력보다는 경쟁에 급급했기 때문이다.
국가전략·행복사회·노화·기후변화 등 최근 한국 대학에서 찾아보기 힘든 미래지향적인 거대담론이 연구주제로 선정된 것도 눈에 띈다. 한 교수는 “요즘 대부분 대학교수들은 정부나 기업 등으로부터 재정적 지원을 받을 수 있는 단기적 성격의 연구과제를 따내는 데 혈안이 돼 있다”며 “이번 연구는 외부 지원 없이 양교의 자체 예산으로 장기 연구과제를 수행한다는 점에서 기존의 연구 관행을 극복하는 의미가 있다”고 평가했다.
분야별 연구는 학문 간 경계를 뛰어넘는 융합과 통섭의 원리를 기반으로 하고 있다. 한반도를 둘러싼 지정학(地政學)과 해륙복합국가 건설전략 등을 연구하는 ‘통일대비 국가전략’ 분야에는 양교 정치외교학과 교수들뿐만 아니라 경제학과 지리학 전공 교수들도 참여하고 있다.
진영재 연세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이번 연구를 통해 한국사회에 통일에 대한 집단지성을 조성하는 게 목적”이라고 말했다. ‘기후변화’를 맡고 있는 김광열 서울대 지구환경과학부 교수는 “기후변화의 영향과 대응전략 등을 다루기 위해 기상학뿐만 아니라 사회학, 경제학, 정치학, 법학 등 다양한 전공자를 망라했다”고 설명했다.
뇌질환 치료를 위한 나노 소자를 개발하고 있는 ‘나노기술’ 연구팀은 미래창조과학부의 ‘나노 소재 원천기술 개발사업’(5년간 총 35억원)을 따내는 등 이미 상당한 성과를 거뒀다. 최헌진 연세대 신소재공학과 교수는 “지난 1년간 연구를 통해 이미 논문이 여러 편 작성됐고, 특허 출원도 진행 중”이라고 말했다.
양교 교수들의 교류는 연구주제에 따라 차이가 컸다. ‘지속가능한 행복사회’를 연구하는 김성호 연세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한국미래학회와 공동으로 매달 ‘덕산포럼’을 열어 두 대학 교수들이 연구 방향에 대해 의견을 나누고 있다”고 말했다. 하지만 10일 연세대 모임에서 “처음 뵙겠습니다”며 같은 연구주제를 맡은 교수들이 서로 명함을 주고받는 등 교류가 아직 원활하지 않은 분야도 눈에 띄었다.
오형주/마지혜 기자 ohj@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