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lobal Issue] 중국산 초저가 UHD TV· 스마트폰 AP…진격의 'IT 차이나'…위협받는 'IT 코리아'](https://img.hankyung.com/photo/201410/01.9143028.1.jpg)
‘K폰’ 가고 ‘C폰’이 온다
![[Global Issue] 중국산 초저가 UHD TV· 스마트폰 AP…진격의 'IT 차이나'…위협받는 'IT 코리아'](https://img.hankyung.com/photo/201410/AA.9142152.1.jpg)
또 다른 시장조사기관인 카운터포인트의 조사 결과는 더 충격적이다. 지난달 삼성전자의 중국 내 점유율은 10%로 레노버(17%) 화웨이(16%) 샤오미(14%) 등 중국 업체에 이어 4위로 밀려났다. 중국 업체는 스마트폰 시장에서 빠르게 성장하면서도 마케팅 비용은 거의 쓰지 않는다. 페이류 샤오미 대외협력총감은 “입소문 효과를 기대하지 삼성전자나 애플처럼 광고를 하지 않아 재무 장부에 광고비용 지출란 자체가 없다”고 말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올 상반기 샤오미의 신제품 미3는 2611만대 판매되며 중국 내 최대 출고량을 기록했다.
‘원스톱’ 제조에 영역 확대까지
중국 스마트폰 제조사의 핵심 경쟁력은 저비용 인력과 대량 생산을 통한 원가 절감,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한 중저가 전략이다. 여기에 다양한 라인업과 핵심 부품의 경쟁력까지 갖췄다. 춘추전국시대인 중국 스마트폰 시장에는 여성과 노인만을 겨냥한 전용 브랜드도 있다. 여성전용 스마트폰 브랜드 ‘두브(DOOV)’는 스마트폰 후면 마감재와 색상을 다양화해 여심(女心)을 집중 공략한다. ‘역백년(易百年)’은 노인 전용 휴대폰이다. 키즈폰도 화웨이 제품을 비롯해 다양하게 쏟아져 나오고 있다. 국내 브랜드인 삼성전자와 LG전자가 뛰어들기 힘든 ‘틈새 시장’까지 촘촘히 파고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스마트폰 제조사는 단순히 부품을 조립해 완제품을 만들어내는 데 그치지 않고 ‘원스톱’ 제조를 통한 경쟁력 강화를 꾀하고 있다.
지금까지 스마트폰의 두뇌에 해당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를 자체 개발하는 제조사는 삼성전자뿐이었다. 하지만 화웨이는 최근 자회사인 팹리스(반도체설계) 기업 ‘하이실리콘’을 통해 AP를 자체 생산하고 있다. 프리미엄 휴대폰인 어센드메이트7에도 하이실리콘의 옥타코어 칩셋이 탑재됐다. 중국 가전업체 TCL의 디스플레이 패널 자회사 ‘차이나스타’는 TV 패널을 생산하는 1, 2공장에 이어 모바일 패널 전용 3공장을 증설해 샤오미 등 중국 내 스마트폰 제조사와도 긴밀히 협력할 계획이다. 관련 분야로의 진출도 서슴지 않는다. 샤오미는 인도 시장에서 초저가 초고화질(UHD) TV를 내놓는 등 최근 가전시장에 도전장을 던졌다.
화웨이는 통신장비 기업으로 출발했지만 지금은 서버와 화상회의 시스템 등 기업용 제품군과 개인고객(B2C) 제품인 스마트폰으로까지 사업 영역을 넓혔다. 조 켈리 화웨이 부사장은 “화웨이는 ‘연결’과 관련된 모든 사업을 한다”고 설명했다. 중국 제조사들은 ‘소프트웨어’의 중요성도 명확히 인지하고 있다. 자체 개발한 운영체제(OS) 미유아이(MIUI)로 호평을 받고 있는 샤오미는 매주 한 번씩 OS 업데이트를 실시하고, 소비자 의견을 즉시 반영할 정도로 소프트웨어 관리에 충실하다. 화웨이는 조만간 소프트웨어 인력을 대대적으로 충원할 방침이다. 페이류 총감은 “과거 중국은 그저 ‘싸구려’와 ‘짝퉁’ 시장에 불과했지만 지금은 상황이 달라졌다”며 “스마트폰 제조사와 다양한 IT업체의 기술력은 이미 세계 최고의 반열에 올랐다”고 말했다.
김순신 한국경제신문 기자 soonsin2@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