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정부의 ‘외국 기업 길들이기’가 한국 기업으로까지 확장되고 있다. CCTV는 지난 21일 ‘삼성은 내장멀티미디어카드 문제를 피해갈 수 없다’는 제목의 30분짜리 프로그램을 통해 삼성 휴대폰의 문제점을 집중 부각시켰다. ‘외국 기업 때리기’에 나선 중국 정부가 애플, 폭스바겐 등에 이어 삼성을 다음 타깃으로 삼은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
#삼성 휴대폰 결함 대서특필
CCTV는 구입한 지 9개월도 안 된 갤럭시S3가 ‘먹통’이 되는 현상이 하루에도 수십 번 반복됐다는 한 소비자 주장을 소개하며 그 원인이 ‘내장 멀티미디어카드’의 결함에 있다고 주장했다. 휴대폰 수리업자, 전직 휴대폰 엔지니어 등과의 인터뷰를 통해서도 삼성 제품 문제를 부각시켰다. 이달 초에는 신화망 등 다른 관영 매체들이 모 인터넷사이트에 올라온 글을 인용, 갤럭시S4 배터리 폭발사고가 있었다는 내용을 전하며 삼성의 신뢰도에 의문을 제기했다.
CCTV는 삼성 스마트폰 갤럭시S와 갤러시 노트에서 갑자기 작동이 멈추는 심각한 제품 결함이 보상범위에 포함되지 않아 소비자 피해가 발생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모토로라에서 엔지니어로 근무했던 장샤오룽은 인터뷰에서 “이것이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어느 쪽의 문제이든, 삼성의 책임이 분명하다”고 말했다. CCTV에 출연한 추바오창 변호사는 “몇몇 제품의 결함인지 제품 자체의 질 문제인지 파악해야 한다”며 “제품의 질이 낮은 것으로 결론난다면 부정직한 기업은 소비자권리법으로 처벌받아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다른 중국 언론들도 보조를 맞추고 있다.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중국법에 따르면 휴대폰을 판매하거나 제조하는 업체들은 같은 문제로 두 번 이상 수리를 했지만 고장이 반복되면 새로운 제품으로 교체해줘야 한다”고 지적했다. 삼성 측은 “기술적인 부분을 포함한 사실관계를 확인한 뒤 필요한 조치를 취할 것”이라며 “고객에게 최고의 제품과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언론이 먼저 친 뒤 정부 조사
중국 정부의 ‘외국 기업 때리기’는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중국은 1991년부터 3월15일 소비자의 날이면 외자기업을 비판해왔다. 관영매체들이 일제히 해당 기업을 비난하면 중국 정부가 조사에 들어가는 식이다.
2010년엔 노트북에 검은색 줄이 생기는 문제와 서비스 보증기간 문제 등을 들어 휴렛팩커드(HP)를 표적으로 삼았다. 2011년에는 재활용 고무 사용량을 준수하지 않았다며 금호타이어, 2012년에는 맥도날드와 까르푸를 집중 비판했다. 지난 3월에는 애플이 보증기간 등 소비자 서비스에서 중국 소비자를 차별하고 있다고 지적해 팀 쿡 애플 최고경영자(CEO)의 사과를 받아내기도 했다.
올해 들어 외자기업 비판은 더욱 빈번해졌다. 폭스바겐은 기준 이하의 동력전달장치를 탑재한 차를 팔고 있다는 보도 이후 38만4181대를 리콜했다. 세계 최대 유제품 업체인 뉴질랜드 폰테라의 테오 스피어링스 CEO는 자사의 유청 단백질 농축물에서 신경마비를 일으키는 박테리아가 발견됐고, 이것이 중국에 수출된 사실이 확인된 뒤 곧바로 중국으로 날아갔다. 그는 베이징에서 전 세계 고객들에게 공개 사과했다. 폰테라 매출에서 중국 비중은 20%에 달한다.
#외국계 기업들 우려의 시선
중국 정부는 마치 기다렸다는 듯이 폰테라와 미국 미드존슨 등 6개 외국 분유회사에 가격담합 혐의로 6억7000만위안(약 1218억원)의 벌금을 물렸다. 반독점법 위반 혐의로 매겨진 벌금 사상 최대 액수다. 중국 관영 일간지 인민일보는 “수입 분유가 좋다는 것은 미신에 불과하다”며 자국 기업 편을 들었다. 2008년 멜라민 분유 사태 이후 땅에 떨어진 중국산 분유에 대한 신뢰를 조금이라도 끌어올리겠다는 의도가 깔려 있다는 분석이다.
CCTV는 삼성 휴대폰 문제를 지적하기 하루 전날 ‘스타벅스: 중국에서만 비싸다’라는 20분짜리 프로그램을 방영했다. 중국에서 스타벅스의 중간 크기 라테가 27위안(약 4700원)이지만 시카고는 19.98위안, 뭄바이는 14.6위안, 런던은 24.25위안에 불과하다고 지적했다. 이익률도 다른 나라에 비해 중국에서 높다고 비판했다. 지난해 중국 스타벅스는 32%의 영업이익률을 기록했다. 이는 미국과 유럽·중동·아프리카에서 각각 21.1%, 1.9%인 것에 비해 높다.
스타벅스는 즉각 진화에 나섰다. 스타벅스는 “가격은 인프라 투자, 부동산 임대료, 직원 임금 등의 모든 비용이 반영된 것이라 나라마다 다르다”며 “영업이익률도 아시아태평양 지역 14개 국가의 실적이 포함된 것으로 중국 스타벅스만의 실적이 아니다”고 설명했다.
파이낸셜타임스는 “중국이 외국계 기업들에 중요해지는 만큼 당국의 압력에 대한 우려도 커지고 있다”며 “이번 경우도 언론이 독자적으로 비판한 것인지 당국의 조사에 앞선 전주곡인지는 지금으로서 알 수 없다”고 전했다.
‘입는 컴퓨터’ 시대 성큼…사생활 침해 논란도
‘입는 컴퓨터(웨어러블 컴퓨터)로 비즈니스 혁명이 시작됐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최근 기업들이 웨어러블 컴퓨터를 사업 전반에 도입하기 시작했다며 이같이 보도했다. 일본 전자업체 히타치는 최근 직원들의 신분증을 ‘비즈니스 현미경’이라는 이름의 ‘입는 컴퓨터’로 바꿨다. 카드 형태의 목걸이인 이 기기는 직원의 움직임과 말하는 습관, 목소리에 담긴 에너지, 대화 상대 등 업무 능률과 관련한 모든 요소를 기록한다. 사무실 온도와 습도, 조도 등도 실시간으로 중앙관제센터로 전달된다.
히타치뿐만이 아니다. 뷰직스가 개발한 안경 형태의 ‘스마트 글라스’는 고감도 카메라가 바코드를 스캔한 뒤 박스 속 물건이 부서지기 쉬운 것인지, 주문서의 것과 같은 물건인지를 구분해서 알려준다. 소프트웨어와 연결하면 창고 내 물류 흐름도 한눈에 모니터링할 수 있다. 지게차 기사와 중앙관제시설 직원이 실시간으로 화상 대화도 나눌 수 있다.
디즈니랜드에도 입는 컴퓨터가 등장했다. 전자태그(RFID)칩이 내장된 손목밴드 하나로 디즈니랜드 내 모든 장소를 이용할 수 있다. 호텔방 열쇠, 입장권, 금액 충전권의 역할을 대신하는 것은 물론 식사 메뉴와 장소 예약를 예약하거나 자신의 컴퓨터로 사진 전송도 가능하다. 디즈니랜드의 웹사이트나 애플리케이션에서 놀이기구를 예약하면 밴드 안에 자동으로 입장권이 내장되는 식이다.
도덕적인 논란은 여전하다. 생산성 향상을 목표로 입는 컴퓨터를 무분별하게 도입할 경우 개인의 사생활을 침해할 수 있기 때문이다. WSJ는 “개인 목적과 회사 목적의 접점을 잘 찾아야 하고 사전에 동의하지 않은 개인 정보 수집은 철저히 금지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강영연 한국경제신문 기자 yykang@hankyung.com
#삼성 휴대폰 결함 대서특필
CCTV는 구입한 지 9개월도 안 된 갤럭시S3가 ‘먹통’이 되는 현상이 하루에도 수십 번 반복됐다는 한 소비자 주장을 소개하며 그 원인이 ‘내장 멀티미디어카드’의 결함에 있다고 주장했다. 휴대폰 수리업자, 전직 휴대폰 엔지니어 등과의 인터뷰를 통해서도 삼성 제품 문제를 부각시켰다. 이달 초에는 신화망 등 다른 관영 매체들이 모 인터넷사이트에 올라온 글을 인용, 갤럭시S4 배터리 폭발사고가 있었다는 내용을 전하며 삼성의 신뢰도에 의문을 제기했다.
CCTV는 삼성 스마트폰 갤럭시S와 갤러시 노트에서 갑자기 작동이 멈추는 심각한 제품 결함이 보상범위에 포함되지 않아 소비자 피해가 발생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모토로라에서 엔지니어로 근무했던 장샤오룽은 인터뷰에서 “이것이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어느 쪽의 문제이든, 삼성의 책임이 분명하다”고 말했다. CCTV에 출연한 추바오창 변호사는 “몇몇 제품의 결함인지 제품 자체의 질 문제인지 파악해야 한다”며 “제품의 질이 낮은 것으로 결론난다면 부정직한 기업은 소비자권리법으로 처벌받아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다른 중국 언론들도 보조를 맞추고 있다.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중국법에 따르면 휴대폰을 판매하거나 제조하는 업체들은 같은 문제로 두 번 이상 수리를 했지만 고장이 반복되면 새로운 제품으로 교체해줘야 한다”고 지적했다. 삼성 측은 “기술적인 부분을 포함한 사실관계를 확인한 뒤 필요한 조치를 취할 것”이라며 “고객에게 최고의 제품과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언론이 먼저 친 뒤 정부 조사
중국 정부의 ‘외국 기업 때리기’는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중국은 1991년부터 3월15일 소비자의 날이면 외자기업을 비판해왔다. 관영매체들이 일제히 해당 기업을 비난하면 중국 정부가 조사에 들어가는 식이다.
2010년엔 노트북에 검은색 줄이 생기는 문제와 서비스 보증기간 문제 등을 들어 휴렛팩커드(HP)를 표적으로 삼았다. 2011년에는 재활용 고무 사용량을 준수하지 않았다며 금호타이어, 2012년에는 맥도날드와 까르푸를 집중 비판했다. 지난 3월에는 애플이 보증기간 등 소비자 서비스에서 중국 소비자를 차별하고 있다고 지적해 팀 쿡 애플 최고경영자(CEO)의 사과를 받아내기도 했다.
올해 들어 외자기업 비판은 더욱 빈번해졌다. 폭스바겐은 기준 이하의 동력전달장치를 탑재한 차를 팔고 있다는 보도 이후 38만4181대를 리콜했다. 세계 최대 유제품 업체인 뉴질랜드 폰테라의 테오 스피어링스 CEO는 자사의 유청 단백질 농축물에서 신경마비를 일으키는 박테리아가 발견됐고, 이것이 중국에 수출된 사실이 확인된 뒤 곧바로 중국으로 날아갔다. 그는 베이징에서 전 세계 고객들에게 공개 사과했다. 폰테라 매출에서 중국 비중은 20%에 달한다.
#외국계 기업들 우려의 시선
중국 정부는 마치 기다렸다는 듯이 폰테라와 미국 미드존슨 등 6개 외국 분유회사에 가격담합 혐의로 6억7000만위안(약 1218억원)의 벌금을 물렸다. 반독점법 위반 혐의로 매겨진 벌금 사상 최대 액수다. 중국 관영 일간지 인민일보는 “수입 분유가 좋다는 것은 미신에 불과하다”며 자국 기업 편을 들었다. 2008년 멜라민 분유 사태 이후 땅에 떨어진 중국산 분유에 대한 신뢰를 조금이라도 끌어올리겠다는 의도가 깔려 있다는 분석이다.
CCTV는 삼성 휴대폰 문제를 지적하기 하루 전날 ‘스타벅스: 중국에서만 비싸다’라는 20분짜리 프로그램을 방영했다. 중국에서 스타벅스의 중간 크기 라테가 27위안(약 4700원)이지만 시카고는 19.98위안, 뭄바이는 14.6위안, 런던은 24.25위안에 불과하다고 지적했다. 이익률도 다른 나라에 비해 중국에서 높다고 비판했다. 지난해 중국 스타벅스는 32%의 영업이익률을 기록했다. 이는 미국과 유럽·중동·아프리카에서 각각 21.1%, 1.9%인 것에 비해 높다.
스타벅스는 즉각 진화에 나섰다. 스타벅스는 “가격은 인프라 투자, 부동산 임대료, 직원 임금 등의 모든 비용이 반영된 것이라 나라마다 다르다”며 “영업이익률도 아시아태평양 지역 14개 국가의 실적이 포함된 것으로 중국 스타벅스만의 실적이 아니다”고 설명했다.
파이낸셜타임스는 “중국이 외국계 기업들에 중요해지는 만큼 당국의 압력에 대한 우려도 커지고 있다”며 “이번 경우도 언론이 독자적으로 비판한 것인지 당국의 조사에 앞선 전주곡인지는 지금으로서 알 수 없다”고 전했다.
‘입는 컴퓨터’ 시대 성큼…사생활 침해 논란도
‘입는 컴퓨터(웨어러블 컴퓨터)로 비즈니스 혁명이 시작됐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최근 기업들이 웨어러블 컴퓨터를 사업 전반에 도입하기 시작했다며 이같이 보도했다. 일본 전자업체 히타치는 최근 직원들의 신분증을 ‘비즈니스 현미경’이라는 이름의 ‘입는 컴퓨터’로 바꿨다. 카드 형태의 목걸이인 이 기기는 직원의 움직임과 말하는 습관, 목소리에 담긴 에너지, 대화 상대 등 업무 능률과 관련한 모든 요소를 기록한다. 사무실 온도와 습도, 조도 등도 실시간으로 중앙관제센터로 전달된다.
히타치뿐만이 아니다. 뷰직스가 개발한 안경 형태의 ‘스마트 글라스’는 고감도 카메라가 바코드를 스캔한 뒤 박스 속 물건이 부서지기 쉬운 것인지, 주문서의 것과 같은 물건인지를 구분해서 알려준다. 소프트웨어와 연결하면 창고 내 물류 흐름도 한눈에 모니터링할 수 있다. 지게차 기사와 중앙관제시설 직원이 실시간으로 화상 대화도 나눌 수 있다.
디즈니랜드에도 입는 컴퓨터가 등장했다. 전자태그(RFID)칩이 내장된 손목밴드 하나로 디즈니랜드 내 모든 장소를 이용할 수 있다. 호텔방 열쇠, 입장권, 금액 충전권의 역할을 대신하는 것은 물론 식사 메뉴와 장소 예약를 예약하거나 자신의 컴퓨터로 사진 전송도 가능하다. 디즈니랜드의 웹사이트나 애플리케이션에서 놀이기구를 예약하면 밴드 안에 자동으로 입장권이 내장되는 식이다.
도덕적인 논란은 여전하다. 생산성 향상을 목표로 입는 컴퓨터를 무분별하게 도입할 경우 개인의 사생활을 침해할 수 있기 때문이다. WSJ는 “개인 목적과 회사 목적의 접점을 잘 찾아야 하고 사전에 동의하지 않은 개인 정보 수집은 철저히 금지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강영연 한국경제신문 기자 yyka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