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어 공부하기 고사성어
참되고 실속 있도록 힘써 실행함.
힘은 산을 뽑을 만큼 매우 세고 기개는 세상을 덮을 만큼 웅대함을 이르는 말. 《사기》의 <항우본기>에 나오는 말로, 항우가 해하(垓下)에서 한(漢)나라 군사에게 포위되었을 때 적군들이 사방에서 초나라 노래를 부르는 것을 듣고 읊었다는 시의 한 구절이다.
이어 공부하기 한자어
압력(壓力) : 두 물체가 접촉면을 경계로 하여 서로 그 면에 수직으로 누르는 단위 면적에서의 힘의 단위 *壓(압) 누르다
잠재력(潛在力) : 겉으로 드러나지 않고 속에 숨어 있는 힘. *潛(잠) 잠기다
▶ ‘力’은 논밭을 가는 농기구인 쟁기를 그렸어요. 쟁기질은 무척 힘이 들어 ‘힘’을 뜻한다고 해요. 하지만 ‘설문해자’에서는 이와 다르게 ‘力은 근육을 뜻한다’고 기술돼 있어요. 사람들은 어떤 일을 잘하고 싶을 때 너무 힘을 주어 일을 그르쳐요. 그래서 고수들은 일이나 운동 중에 힘을 빼라는 주문을 많이 하죠. 힘을 빼고 있다가 줘야 할 순간에 줄줄 알아야 해요. 우리는 이럴 때 힘쓸 줄 안다고 한답니다.
송내고 교사 hmhyuk@hanmail.net
다음회에 공부할 고대 문자입니다.
정답은 무엇일까요?
1. 세수하다
2.
물을 마시다
3. 거울을 보다
참되고 실속 있도록 힘써 실행함.
힘은 산을 뽑을 만큼 매우 세고 기개는 세상을 덮을 만큼 웅대함을 이르는 말. 《사기》의 <항우본기>에 나오는 말로, 항우가 해하(垓下)에서 한(漢)나라 군사에게 포위되었을 때 적군들이 사방에서 초나라 노래를 부르는 것을 듣고 읊었다는 시의 한 구절이다.
이어 공부하기 한자어
압력(壓力) : 두 물체가 접촉면을 경계로 하여 서로 그 면에 수직으로 누르는 단위 면적에서의 힘의 단위 *壓(압) 누르다
잠재력(潛在力) : 겉으로 드러나지 않고 속에 숨어 있는 힘. *潛(잠) 잠기다
▶ ‘力’은 논밭을 가는 농기구인 쟁기를 그렸어요. 쟁기질은 무척 힘이 들어 ‘힘’을 뜻한다고 해요. 하지만 ‘설문해자’에서는 이와 다르게 ‘力은 근육을 뜻한다’고 기술돼 있어요. 사람들은 어떤 일을 잘하고 싶을 때 너무 힘을 주어 일을 그르쳐요. 그래서 고수들은 일이나 운동 중에 힘을 빼라는 주문을 많이 하죠. 힘을 빼고 있다가 줘야 할 순간에 줄줄 알아야 해요. 우리는 이럴 때 힘쓸 줄 안다고 한답니다.
송내고 교사 hmhyuk@hanmail.net
다음회에 공부할 고대 문자입니다.
정답은 무엇일까요?
1. 세수하다
2.
물을 마시다
3. 거울을 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