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글 논술 첨삭노트] <138> 논술 기본 유형- (1) 공통점 찾기](https://img.hankyung.com/photo/201303/2013031550781_2013031560191.jpg)
![[생글 논술 첨삭노트] <138> 논술 기본 유형- (1) 공통점 찾기](https://img.hankyung.com/photo/201303/2013031550781_2013031560221.jpg)
어찌했든, 이제부터는 실제 논술시험에서 제시되는 주요 문제유형을 두고, 실전 훈련을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오늘 배울 부분은 초급 과정 중에서도 공통점 찾기네요. 공통점 찾기 유형은 이화여대나 경희대에서 단독으로 출제되는 일이 있긴 하지만, 대부분의 대학들은 3~4개의 제시문을 두고 <공통점을 찾고, 이를 바탕으로 무엇을 하시오>와 같은 복합유형을 냅니다. 그렇다고 하더라도, <공통점 찾기>와 <비교하기>는 요약의 기본 중의 기본이라고 할 수 있으니 반드시 정복하고 넘어가야 합니다.
자, 그럼 공통점 찾기 유형의 구조를 먼저 살펴보죠. 공통점을 찾는다는 것은 두 제시문의 핵심적인 내연에 ‘공통되는 내용’이 있다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기본적으로 제시문 하나만을 두고 보자면, 이런 식으로 내용이 인과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됩니다.
![[생글 논술 첨삭노트] <138> 논술 기본 유형- (1) 공통점 찾기](https://img.hankyung.com/photo/201303/2013031550781_2013031560201.jpg)
![[생글 논술 첨삭노트] <138> 논술 기본 유형- (1) 공통점 찾기](https://img.hankyung.com/photo/201303/2013031550781_2013031560211.jpg)
주의사항 ① : 내연과 전체 결론의 긴밀한 연결성
이게 생각보다 어려울 수 있습니다. 외연과 내연의 관계가 갖는 타당성처럼, 내연과 결론 사이에도 타당성을 만들어야 하는 것이 말이지요. 그러므로 우선 공통된 관점을 찾았더라도 그것이 내연과 어느 정도 관계가 성립되는가를 반드시 확인해봐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한 제시문의 일방적인 단어나 표현을 그대로 쓰기보다는, 그보다 상위의 개념을 씁니다.
주의사항 ② : 서로 다른 듯 같은 내연
더군다나, 각 내연은 서로 다른 내연으로부터 나왔으니 서로 다른 어휘를 사용한, 비슷한 방향의 내연이어야 합니다. 이것도 학생 자신에게 달려 있는 것이니 얼른 어휘의 양도 늘려야겠군요.
그럼 답안지를 어떻게 작성하는지도 알아보죠. 우선 문제 형태부터 알아보겠습니다.
기본 논제 패턴 : (특정 주제에 관한) 두 제시문의 공통된 관점을 서술하시오.
기본적으로 대개의 경우, 제시문의 주제나 혹은 출제자가 의도하고 있는 주제를 던져주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상위권 대학으로 갈수록 제시문의 메시지가 다소 복합적일 수 있으므로, 이왕이면 안전하게 찾을 수 있도록 일종의 가이드를 제시해주는 것이지요. 물론, 없는 대학도 많습니다. 그러므로 우리는 <공통된>이라는 부분만 보고 그저 “아하, 공통점을 찾으라는구나!”라고 이해하면 되는 것이지요. 결론 형태는 다음과 같습니다.
기본 결론 패턴 :
“두 제시문은 S+V한다는 공통된 관점을 가지고 있다.”
“제시문 (가)와 (나)는 공통적으로 S+V한다는 관점을 가지고 있다.”
뭐, 어찌 써도 크게 상관은 없습니다만, 기본적으로 문제조건인 <공통된 관점> 재생산해주는 것을 원칙으로 합니다. 다시 말합니다. 결론이란 원칙적으로 문제조건을 재생산합니다. 만일 문제조건에 <어떤 주제에 관한>이라는 조건이 덧붙여져 있었다면, 위의 결론에 “두 제시문은 무엇에 대해 S+V한다는 공통된 관점을 가지고 있다”고 쓰겠지요. 여기서 또 하나 중요한 것은 일종의 답이라고 할 수 있는 바로 [S+V]는 이렇듯, 주어 동사 형태의 완벽한 문장을 이루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자칫, 소재만 밝히거나 제목만 밝히거나 하는 경우도 있으니, 이런 애매한 결론은 피하자는 것이지요. 결론은 구체적이어야 합니다.
그럼 마지막으로, 직접 원고지에 쓸 때의 구조를 알아보지요. 물론, 결론부터 먼저 씁니다. 그렇게 되면서, 결론에 대한 구체적인 근거, 즉 “왜 그런 결론이 나왔는가?”를 뒤이어오는 두 제시문이 보여주는 형태가 됩니다. 즉, “제 결론은 이것입니다. 그 근거로 우선 (가)는 이렇고, (나)는 이렇기 때문입니다”와 같은 대답이 된다는 것이지요.
![[생글 논술 첨삭노트] <138> 논술 기본 유형- (1) 공통점 찾기](https://img.hankyung.com/photo/201303/2013031550781_2013031560241.jpg)
이용준 S·논술선임연구원 sgsgnote@gma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