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1

['테샛' 공부합시다] 신용카드를 많이 쓰면 경제에 어떤 영향이 있을까?
신용카드 사용 확산이 경제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다음 분석 중 옳은 것은?(가격은 신축적이다)

[보기]

가. 화폐 수요가 줄어들 것이다.

나. 통화유통 속도가 낮아질 것이다.

다. 한국은행이 통화공급량을 바꾸지 않는다면 물가는 하락할 것이다.

라.한국은행은 물가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려고 한다면 통화공급량을 줄여야 할 것이다.



①가, 나 ②가, 다 ③가, 라 ④나, 다 ⑤다, 라



해설

신용카드가 보급되면 화폐를 보유하려는 민간 수요는 줄어든다.

최근엔 택시 요금도 신용카드로 내는 경우가 다반사다.

신용카드 결제가 늘어나면 늘어날수록 은행 예금이 자주 이동하기 때문에 통화유통 속도는 빨라진다. 유통속도와 물가 간의 관계는 화폐교환방정식에서 알 수 있다.

즉 교환방정식 MV=PT(M:화폐공급량,V:유통속도,P:물가,T:거래액)에서 화폐 공급량(M)과 거래액(T)이 일정할 때 유통속도(V)가 빨라지면 물가(P)가 상승한다. 중앙은행이 공급량을 줄이는 등의 조치를 취해야 물가가 안정된다.


정답 ③

---------------------------------------------------------

문제 2

2011년 3월 일본 대지진 이후 한 달 동안 아시아 3국 통화가치의 달러화 대비 변동률은 한국 원화가 2.3%로 가장 높았다.

같은 기간 중국 위안화는 0.4%,일본 엔화는 -0.3% 변동했다.

이런 결과로 나타날 수 있는 현상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르면? (무역 결제 수단은 달러다)



[보 기]

가. 한국의 수입 원자재 가격 안정에 도움이 됐다.

나. 한국 기업의 엔화 대출 자금 상환 부담이 감소했다.

다. 중국 시장에서 한국 상품의 가격 경쟁력이 일본 상품에 비해 약해졌다.

라.일본 학생이 달러로 환전해 미국에 유학을 가려 할 때,유학 경비 부담이 감소했다.



①가, 나 ②나, 라 ③가, 나, 다 ④가, 다, 라 ⑤나, 다, 라

해설

통화가치의 변동률이라고 했으므로 플러스이면 가치가 높아진다는 뜻이다.

즉 원화와 위안화는 가치가 높아졌고 엔화는 가치가 하락했다.

따라서 원화의 가치 상승(환율 하락)으로 한국의 수입 원자재 가격은 안정되었다고 할 수 있다.

반면 엔화 가치 하락으로 엔화 대출을 받은 국내 기업의 상환 부담은 감소했다.

엔화에 비해 원화의 가치가 더 상승했기 때문에 중국 시장에서 한국 상품의 가격 경쟁력은 약해졌다.

엔화 가치가 하락한 만큼 달러로 환전하는 일본 학생의 부담은 커졌다.



정답 ③

---------------------------------------------------------

문제 3


정부가 시장에서 자유롭게 결정되던 휘발유 가격을 시장 가격보다 낮은 수준으로 규제했을 때 나타나는 현상으로 올바르지 않은 것은?



①휘발유 공급이 줄어든다.

②휘발유에 대한 초과 수요가 발생한다.

③공급자가 누리는 생산자 잉여는 감소한다.

④소비자와 공급자가 누리는 총잉여가 감소한다.

⑤가격이 낮아졌으므로 기름 판매량이 늘어난다.

해설

가격이 낮아지면 수요는 늘어나고 공급은 줄어든다.

이렇게 되면 수요가 공급을 웃도는 초과 수요가 발생한다.

휘발유 판매량은 공급에 의해서 결정되므로 감소한다.

생산자 잉여도 감소한다.

결국 소비자와 공급자가 누리는 잉여의 총합도 줄어든다.

가격이 낮아졌는데 판매량이 늘어난다는 설명은 옳지 않다.



정답 ⑤

---------------------------------------------------------

이승훈 교수의 경제학 멘토링

세계화가 미국화인가



옛날 중국 춘추전국시대는 서로 다른 문자와 표준을 사용하는 여러 나라가 한편으로는 서로 싸우면서 다른 한편으로는 서로 교역하던 시대였다.

경쟁국들을 무력으로 굴복시키고 사상 최초로 중국을 통일한 진시황은 도량형을 비롯한 다양한 표준을 강제적으로 통일하는 폭력적 '중국화'를 시작했다.

분서갱유와 같은 가혹한 탄압으로 '천하'를 복속시킨 진시황은 사상 최대의 폭군으로 지탄받지만,광대한 영토를 단일한 표준으로 묶어서 협력을 확대 강화하도록 함으로써 이후 강한성당(强漢盛唐)과 오늘날 거대 중국의 토대를 마련했다.

중국처럼 일찍부터 하나가 되지 못한 세계 여러 나라들은 전기기구의 플러그부터 자동차 진행 방향에 이르기까지 여러 면에서 서로 다른 표준을 채택하고 있다.

운전석이 왼쪽인 승용차를 몰고 카페리로 일본에 도착하면 좌측 통행의 불편을 겪어야 한다.

미국의 자동차 속도계는 마일로 표시하는데 국경을 넘어서 캐나다에 들어서면 고속도로 표지판은 제한속도를 ㎞로 표시한다.

표준이 난립하면 세계화가 진행될수록 사람들의 불편은 커진다.

이처럼 서로 다른 표준을 통일할 필요성을 절감한 각국은 1947년부터 국제표준화기구(ISO)를 결성하고 공동으로 노력을 기울여 왔다.

세계화가 전례 없는 수준으로 진전하면서 표준 통일 작업도 물리적 규격에서 업무 처리 절차와 제도에 이르기까지 빠른 속도로 확대돼 가고 있다.

개별 국가로서는 자신의 표준이 그대로 글로벌 표준이 되는 것이 유리하다.

그러나 절차와 제도 등은 경제협력의 기본 틀이어서 글로벌 표준은 글로벌 경제협력을 가장 효율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것이라야 한다.

일단 경제적으로 가장 성공한 미국의 표준이 상대적으로 우수하다는 주장을 펼칠 수 있다.

실제로 미국은 이 점을 내세워 미국의 표준을 글로벌 표준으로 삼고 싶어 한다.

이에 반해 다른 나라들은 세계화는 미국화와는 다른 것이라고 반발한다.

결국 선진국들로 이뤄진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글로벌 표준을 선도할 것이다.

고대 중국의 표준은 폭력적으로 통일됐다.

오늘의 세계는 글로벌 표준을 결국 다자간 협상으로 결정할 수밖에 없다. 그러나 미국-유럽이 중국-인도와 대치하는 가운데 교착 상태에 빠진 도하라운드가 보여주듯 시간이 꽤 소요될 것이다.

서울대 경제학부 명예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