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시간에 이어 제시문의 형태에 따른 독해방법을 소개하도록 하겠습니다.

지난 시간에 소개했던 'not A but B' 형태의 제시문은 B라는 핵심을 꺼내기 위한 가장 단순하면서도 강력한 제시문 형태였습니다.

⊙ 동일한 내용이 확장되는 형태의 제시문

가장 기본이 되는 형태는 아무래도 처음부터 끝까지 하나의 의견만을 강조하는 형태겠지요.

그것이 설명이든 주장이든, 내용의 동일성을 가지고 진행이 되는 경우입니다.

이 경우 독해가 상당히 쉬워지긴 하지만, 제시문이 쉽다고 문제가 쉬운 것은 결코 아니지요.

예를 들어 서울대의 경우 대개의 제시문은 처음부터 끝까지 동일한 내용이 확장되는 형태의 제시문이 주를 이룹니다.

특별히 제시문 안에서 복잡다단하게 의미군들이 섞이거나 꺾이지 않는 것이지요.

오히려 어려운 것은 이에 따른 논제입니다.

그러므로, 이런 제시문일 경우 문장의 핵심이 되는 문단만 하나 잘 잡으면 뜻을 오해할 소지가 매우 적습니다.

그저 어떤 식으로 확장되어 가는지, 어떤 사례를 추가적으로 들고 있는지만 확인한 후 요약에 임하면 되겠지요.

다음의 제시문을 한번 보죠. 논술의 가장 기초적 유형들만을 모아서 출제하곤 하는 가톨릭대의 문제입니다.

참고삼아 말씀드리자면, 가톨릭대의 문제들은 고1,2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수업을 진행할 때 요긴하기 쓸 수 있는 기초적 수준의 문제들이 많습니다.

특정한 배경지식 없이도 수월하게 유형별 익히기를 할 수 있는 문제들이 많으므로 논술을 대비하는 학생들이나 수업을 해야 하는 교사들이 참고하기 좋지요.

선이해(先理解)는 세계에 대한 이해를 가능케 해 주는 근본 조건이다.

이런 점에서 계몽주의 이래 추락해 있던 선이해의 가치를 재평가할 필요가 있다.

선이해란 해석자에게 축적된 모든 정신적 자산의 총체를 가리킨다.

그것은 계몽주의자들이 말했던 것처럼 '뿌리 뽑아야 할 악'이 아니다.

선이해는 '현재의 견해'로 작용하면서 해석자의 세계 이해를 촉진한다는 점에서 '세계를 이해하는 기대지평'으로 기능한다.

나아가 대상이나 사건에 대한 이해를 촉진하는 작용이 지속되면 더 세련되고 개선된다.

이 말은 세계를 이해하는 기대지평의 폭이 넓어지고 깊이가 깊어진다는 뜻이다.

즉 해석자가 취하는 관점이 확장된다.

한편 선이해는 우리가 성장해 온 역사적 전통의 지평 속에 있다.

이런 점에서 선이해는 '기대지평을 형성하는 전래된 견해와 지혜'이기도 하다.

그렇기 때문에 선이해는 자의적이지도 않고 개인적이지도 않다.

우리 공동체의 조상이 세계를 이해해 온 방식으로 세계를 이해하게 만든다.

그러므로 선이해는 예술작품 속에서, 역사적 사건 속에서, 일상생활 속에서 개인의 공동체적 계기들을 만나게 도와준다.


-2009학년도 가톨릭대 수시 기출문제 중에서


세 번째 문단에 '한편'이라는 연결어가 등장하면서, 무언가 다른 내용이 나올 것 같은 분위기를 형성하지만 결과적으로 보자면, 그렇지 않습니다.

첫 번째 문단에서 제시문은 '선이해는 세계에 대한 이해를 돕는 근본조건이다'라는 명제를 걸고 '재평가해야 한다''할 필요가 있다'는 주장을 내겁니다.

그리고 그 뒤에 이어 두 번째 문단에서는 '과연 왜 그런지'에 대한 설명이 붙는 형태이지요.

즉, 세계에 대한 이해를 돕는 근본조건이란 과연 무슨 의미인지 스스로 친절히 풀어주는 형태인 셈입니다.

세 번째 문단의 '한편'은 사실 '더군다나''뿐만 아니라'와 같은 의미를 지니고 있습니다.

흔히 쓰이는 것처럼 '다른 한편에서-이기도 하다'와 같은 진행이 아니라는 점에 유의해야겠지요.

내용상으로 보자면, 세 번째 문단은 두 번째 문단의 주장에 대해 근거를 대면서 '과연 왜 그런가?'를 추가 서술해주고 있습니다.

정리해보자면, 위 제시문은 첫 번째 문단의 이유를 두 번째 문단이, 두 번째 문단의 이유를 세 번째 문단이 설명해주면서 점차 의미를 확장시키는 방향으로 진행되는 제시문이 됩니다.

첫 번째 문단을 이해하지 못하더라도, 비슷한 계열의 내용이 반복해서 등장하므로 굳이 오해할 필요가 없는 제시문인 셈이지요.

제시문 독해로 변별력을 가리려는 의도를 가진 대학이 아니라면 이런 제시문이 논술 제시문의 대부분을 차지합니다.

⊙ 논제에 맞춰 읽어야 하는 제시문
[생글 논술 첨삭노트] (43) "모든 제시문은 문제 조건에 맞게 해석할 것"
그리고 이제 우리는 가장 어려운 형태의 제시문을 맞이하게 되지요.

즉, 그 자체만으로는 도저히 이해하기 애매한 타입의 제시문입니다.

우선 이런 형태의 제시문으로는 그림이나 사진과 같은 예술작품들이 있습니다.

정해진 해석보다는 충분히 다양한 의미를 상상할 수 있는 것들이지요.

어차피 예술작품이야 감상하는 이의 상황에 따라 다른 것일 테니까요.

하지만, 논술문제에서는 이를 토대로 답을 도출해내야 한다는 어려움이 있습니다.

즉, 정해진 뜻도 없어 보이는 다의적인 무엇을 토대로, 정해진 무엇을 찾아내야 하는 것이지요.

이럴 경우 제시문은 독립적으로 해석되지 않습니다. 다음의 제시문은 그 대표적인 예시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30223오늘교통사고사망10

부상107유괴알몸토막310349

3139560보험금노린3044935

59203발목절단자작극103921

33엘리베이터안고교생살인극

3102탈북94021550꽃제비204 (중략)

924명집단자살20194056293

01죽음은기계처럼정확하다01 (중략)

눈물이 나오질 않는다

전자상가에 가서

업그레이드해야겠다

감정칩을

- 이 원,「사이보그 3-정비용 데이터 B」



이 제시문은 2008학년도 서강대 수시 2-1 기출문제에서 등장합니다.

이 제시문만으로는 도저히 무슨 뜻인지 감을 잡을 수가 없지요.

가령 온갖 숫자와 고통스러운 사회문제를 언급하고 있는 1연의 내용은 무엇인지, 눈물이 나지 않는 것이나 감정칩을 업그레이드해야 한다는 내용이 과연 무엇을 의미하는 것인지 알 수가 없습니다.

이런 사건들을 보고도 눈물이 나지 않으니 혹 인간의 기계화를 보여주는 것일까요?

감정칩을 업그레이드해야겠다고 하니, 혹시 눈물을 흘리고 싶어하는 인간성의 표현일까요?

이런 다양한 해석이 가능한 제시문은 역시나 정해진 논제와, 관계를 맺고 있는 제시문을 통해 그 뜻을 확정지어야 합니다.

이 제시문만 가지고는 절대로 이해가 불가능하기 때문이지요.

시의 작자가 애초에 무슨 생각을 했듯 상관없이, 이 시는 특정한 방향으로 이해되어야 합니다.

그리고 그것을 논제와 제시문이 가르쳐 주고 있는 것이지요.

그러므로, 모든 제시문은 주어진 문제조건에 맞게 해석되어야 합니다.

재밌지만, 위 제시문은 다음의 제시문과 공통적인 관점을 가지고 있는 제시문이었답니다.

오토바이로 휴가여행을 하면 다른 방법으로 할 때와는 전혀 다르게 사물을 보게 된다.

자동차를 탈 때에는 당신은 늘 테두리 속에 갇혀 있는 꼴이 된다.

그리고 이런 상태에 익숙해 있기 때문에, 차창을 통해서 보는 모든 것이 다름 아니라 TV의 화면의 연장이라는 것을 의식하지 못한다.

당신은 수동적인 관찰자일 따름이다. 모든 것이 테두리를 이루면서 당신곁을 스쳐간다.

그러나 오토바이를 타면 테두리가 사라진다.

당신은 모든 사물과 완전히 접촉하게 된다.

당신은 현장 속에 있으며 이미 그것을 바라보는 것이 아니다.

그래서 임장감(臨場感)이 넘쳐 흐른다.

(중략) 당신은 언제나 다리를 내려서 땅에 닿게 할 수도 있고, 모든 것이, 모든 체험이 직접적인 의식과 분리되지 않는다.

이용준 S · 논술 선임 연구원 sgsgnote@gma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