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테샛' 공부합시다] 키코(KIKO) 상품의 수익 구조를 이해하고 있는가
국제 금융환경의 불안으로1200원인 원·달러 환율이 올라갈 조짐을 보이자 자동차 부품을 수입하는 A사는 부품을 안정적인 가격에 수입하기 위해 B은행의 파생금융상품을 구입했다.

B은행이 판매하는 파생금융상품이 다음과 같은 조건이라고 가정할때 A사의 예상손익은?

-상품 구매자(A사)는 1억달러를 달러당 1250원에 매입할 수 있는 권리(콜옵션)를 갖는다.

-상품 판매자(B은행)는 1억달러를 달러상 1150원에팔수있는권리(풋옵션)를 갖는다.

-상품 수수료는 무시할 정도로 작다.

①ABCD

②EBCD

③ABCF

④EBCF

⑤ABC

세계 금융위기 이전에 판매됐던 파생금융상품 키코(KIKO · Knock in-Knock out)를 둘러싸고 중소수출업체와 금융회사 간 논쟁이 2년째 이어지고 있다.

키코를 매입한 중소 수출 업체들은 상품의 수익구조가 판매회사인 금융기관에 유리하게 설계돼 있었다면서 불공정 사기판매라고 반발한다.

반면 키코를 판매한 금융회사들은 상품의 수익구조는 판매 당시 충분히 설명했으며 뒤늦게 환율이 예상과 달리 움직여 피해를 입었다고 주장하는 것은 정당치 않다는 입장이다.

키코를 둘러싼 논쟁은 파생상품에 대한 위험 수익구조 등을 산업계 담당자들이 충분히 이해하지 못한 상황에서 거래했기 때문에 빚어진 것으로 보인다.

지난 8회 테샛에 출제된 파생금융상품 문제는 키코와 관련된 옵션의 수익구조를 묻는 내용으로 키코를 제대로 이해했다면 풀 수 있다.

상품 구입자가 수출업체인 키코와 달리 이 문제는 수입업체가 상품 구입자이다.


해설
['테샛' 공부합시다] 키코(KIKO) 상품의 수익 구조를 이해하고 있는가
A사는 1억달러를 달러당 1250원에 매입할 수 있는 권리를 가지면서 동시에 1억달러를 달러당 1150원에 팔아야 하는 의무를 갖는다. 즉,콜옵션 매수 포지션과 풋옵션 매도 포지션을 취하게 된다.

위 그래프에 콜옵션을 매수한 기업의 수익선은 BCD이다.

왜냐하면 1250원에 매입할 수 있는 권리를 갖게 되므로 환율이 1250원 이상으로 오르면 (달러라는 '상품'의 가격이 1250원 이상 오르면) 그때부터 이익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콜옵션을 매도한 기업은 달러를 1250원에 팔아야 하므로 환율이 1250원 이상으로 오르면 그때부터 손실을 보기 때문에 수익선은 BCF다.

같은 원리로 풋옵션을 매수한 기업의 수익선은 ABC, 풋옵션을 매도한 기업의 수익선은 EBC이다.

문제에서 파생금융상품을 구입한 A사는 콜옵션을 매입하고, 풋옵션은 매도한 상태이므로 BCD와 EBC를 연결하면 EBCD에 따라 손익이 결정된다.

따라서 정답은 ②.

문제의 그래프에서 키코 상품 구입자의 수익구조는 ABCF이다.

다만 환율이 예를들어 1250원 이상 올라갈 경우 매도해야할 달러가 두 배로 늘어나고, 환율이 예를들어 1000원 이하로 내려갈 경우 풋옵션을 행사하지 못하도록 하는 조건이 붙어 있다.

그래프에서 보면 CF가 시계방향 더 내려가고, BA는 계속 이어지는 것이 아니라 환율이 1000원인 점에서 중단되는 셈이다.

옵션은 흔히 보험과 같다고 한다.

옵션을 매입한 측은 기초자산의 가격이 예상과 달리 움직일 경우 옵션을 행사해서 손실을 막을 수 있다.

옵션 구입비용은 보험료에 해당하고 옵션 행사로 피할 수 있는 손실금액은 보험액에 해당하는 셈이다.

파생금융상품은 경제이슈로 언제든지 등장할 수 있다.

선물 옵션의 기본 개념과 옵션의 4가지 포지션 수익구조 정도는 알고 있어야 관련 이슈를 이해할 수있다.

장경영 한국경제신문 기자 longrun@hankyung.com


---------------------------------------------------------

< 이승훈 교수의 경제학 멘토링 >

물가 안정과 고용 증대

실업은 투자확대로 풀고 물가는 통화관리로 안정시켜야

물가가 오르면 돈의 가치는 떨어지고,반대로 내리면 올라간다.

물가 상승 또는 하락은 순전히 화폐 가치를 변화시킴으로써 개인의 노력과 무관한 소득재분배를 초래한다.

애써 벌어놓은 소득의 가치를 도둑맞기도 하고 불로소득을 얻기도 한다.

사람들은 물가가 급등하면 현금 대신 부동산과 같은 실물을 보유하고 급락하면 현금을 택한다.

현금은 교환의 매개가 아니라 투기의 수단으로 바뀌고 기업은 상황이 진정될 때까지 투자를 유보한다.

급격한 물가변동은 결코 바람직한 것이 아니다.

물가 상승은 결국 생산 비용의 상승,또는 수요 증대 때문에 발생한다.

생산 비용이 높아져서 발생하면 '비용추상 인플레이션(cost push inflation)'이고,수요가 증대해 발생하면 '수요견인 인플레이션(demand pull inflation)'이다.

과거 1970년대 산유국들이 단결해 국제원유가를 대폭 인상했을 때 전 세계가 겪은 물가 상승이 '비용추상 인플레이션'이었다.

개발도상국이 경제 개발 과정에서 통화를 증발해 부족한 저축을 메우면 '수요견인 인플레이션'이 발생한다.

우리나라는 물가 상승이 우려될 때마다 전기료와 전철요금 등 공공요금을 동결하는 조치를 취하곤 한다.

정부의 가격 통제는 반시장적이지만,'비용추상'형 요인을 통제해 물가 상승의 압력을 줄이는 효과를 거둔다.

그런데 화폐경제에서 물가와 가장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는 변수는 뭐니뭐니해도 단연 통화량이다.

원래 물가는 시중에 유통되는 통화량이 적정 수준보다 더 많을 때 상승한다.

물가를 관리하는 데 가장 중요한 것은 통화량을 적정 수준으로 유지하는 것이다.

통화량을 관리하는 한국은행은 물가관리의 최종 책임을 진다.

한은은 국민이 부당하게 소득을 빼앗기거나 불로소득을 얻는 일이 없도록 물가관리에 만전을 기해 투기적 요인을 배제해야 한다.

그런데 정부는 선거철만 되면 선심성 정책사업을 집행해 표를 얻고 싶어 한다.

정부가 한은을 통제하면 선심사업을 벌이고 싶은 정치적 이유로 통화량을 증발해 인플레이션을 불러올 공산이 크다.

중앙은행을 정부로부터 독립시켜야 하는 까닭은 이 때문이다.

물가 안정과 고용 증대는 거시경제정책의 양대 목표다. 그런데 물가 안정을 위해 통화량을 긴축하면 총수요가 감소하여 실업이 늘어난다.

거꾸로 총수요 확대로 고용을 늘리기 위해 통화량을 늘리면 이번에는 물가가 상승한다.

영국의 통계자료로부터 도출한 '필립스곡선(Phillips curve)'은 물가 상승률이 낮아지면 실업률이 높아짐을 보여줬다.

총수요관리정책으로는 고용과 물가라고 하는 두 마리 토끼를 함께 잡지 못하는 것이다.

반시장적 총수요관리보다는 실업은 투자 확대로 풀고 물가는 통화관리로 안정시키는 것이 정답이다.

서울대 경제학부 명예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