몸을 그슬리면 큰일
"햇볕에 그슬린 몸이 보기 좋구나."
햇볕을 오래 쬐어 살갗이 구릿빛으로 변한 사람을 보면 건강하다는 느낌을 받는다.
그럴 때 듣기 좋은 소리로 이렇게 말하는 이가 있다면 실수하는 거다.
몸을 그슬리다니?
그렇다면 당장 병원으로 달려가야 하기 때문이다.
햇볕이나 불,연기 따위에 쬐어 빛이 검게 변한 것은 '그을다'이다.
'굴뚝이 연기에 그을었다/햇볕에 얼굴이 검게 그을었다'처럼 쓴다.
이에 비해 '그슬리다'는 '불에 겉을 조금 태우다'란 뜻이다.
'고기를 숯불에 살짝 그슬려서 먹으면 맛이 기가 막히지." 이런 경우에 쓰는 말이 '그슬리다'이다.
'그을다'는 자동사이고 '그을리다'는 그 사동형이다.
'얼굴이 그을다/얼굴을 그을리다' 식으로 구별해 쓴다.
또 한 가지 유념해 둬야 할 것은 '그을다'에 관형어미 '-은'이 연결되면 'ㄹ'이 탈락돼 '그은'이 된다.
'그을은'이라 하면 잘못이다.
가령 '거무튀튀하게 그을은 얼굴'처럼 쓰는 경우가 많은데 이때 '그을은'은 '그은'이 바른 적기인 것이다.
이에 비해 '그슬다'는 타동사이고 '그슬리다'는 그 사동 또는 피동형이다.
'새우를 불에 그슬어서 먹다/촛불에 머리카락을 그슬렸다/촛불에 머리카락이 그슬렸다'처럼 쓰인다.
특이한 것은 '그슬다'의 피동으로 쓸 때 '촛불에 머리카락을(또는 머리카락이) 그슬리다'와 같이 타동으로도, 자동형으로도 쓸 수 있다는 점이다.
정리하면 '그을리다'는 햇볕에 쬐거나 불이 탈 때 불완전 연소로 인해 빛이 검게 되거나 검은 물질이 묻는 것을 가리킨다.
이에 비해 '그슬리다'는 불이나 뜨거운 열에 직접 닿아 살짝 타는 상태를 말한다.
"햇볕에 그슬린 몸이 보기 좋구나."
햇볕을 오래 쬐어 살갗이 구릿빛으로 변한 사람을 보면 건강하다는 느낌을 받는다.
그럴 때 듣기 좋은 소리로 이렇게 말하는 이가 있다면 실수하는 거다.
몸을 그슬리다니?
그렇다면 당장 병원으로 달려가야 하기 때문이다.
햇볕이나 불,연기 따위에 쬐어 빛이 검게 변한 것은 '그을다'이다.
'굴뚝이 연기에 그을었다/햇볕에 얼굴이 검게 그을었다'처럼 쓴다.
이에 비해 '그슬리다'는 '불에 겉을 조금 태우다'란 뜻이다.
'고기를 숯불에 살짝 그슬려서 먹으면 맛이 기가 막히지." 이런 경우에 쓰는 말이 '그슬리다'이다.
'그을다'는 자동사이고 '그을리다'는 그 사동형이다.
'얼굴이 그을다/얼굴을 그을리다' 식으로 구별해 쓴다.
또 한 가지 유념해 둬야 할 것은 '그을다'에 관형어미 '-은'이 연결되면 'ㄹ'이 탈락돼 '그은'이 된다.
'그을은'이라 하면 잘못이다.
가령 '거무튀튀하게 그을은 얼굴'처럼 쓰는 경우가 많은데 이때 '그을은'은 '그은'이 바른 적기인 것이다.
이에 비해 '그슬다'는 타동사이고 '그슬리다'는 그 사동 또는 피동형이다.
'새우를 불에 그슬어서 먹다/촛불에 머리카락을 그슬렸다/촛불에 머리카락이 그슬렸다'처럼 쓰인다.
특이한 것은 '그슬다'의 피동으로 쓸 때 '촛불에 머리카락을(또는 머리카락이) 그슬리다'와 같이 타동으로도, 자동형으로도 쓸 수 있다는 점이다.
정리하면 '그을리다'는 햇볕에 쬐거나 불이 탈 때 불완전 연소로 인해 빛이 검게 되거나 검은 물질이 묻는 것을 가리킨다.
이에 비해 '그슬리다'는 불이나 뜨거운 열에 직접 닿아 살짝 타는 상태를 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