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성호 기자의 '말짱 글짱'] '됐거든?'의 정체
"너 개미가 사는 데 주소 알아?"

"……"

"허리도 가늘군 만지면 부러지리."

이런 썰렁한 농담을 들을 때 흔히 돌려주는 한마디가 있다.

"됐거든?"

시중에 퍼져 있는 오래된 유머 한 토막이다.

여기 나오는 '됐거든'은 몇 년 전 한 방송사의 개그 프로그램에서 유행시킨 말이다.

"됐거든? 너도 똑같거든?" 이런 투의 '○○거든' 꼴로 무한정 만들어 쓸 수 있는 생산성 높은 말이다.

그런데 이 말의 정체를 두고 미심쩍어 하는 사람들이 많은 것 같다.

이런 표현이 맞는 것이냐는 게 의심의 요지다.

좀 더 들어가면 '됐거던'이라 해야 하는 게 바른 말 아니냐 또는 '됐거덩'이라고 하는 사람도 있는데 그 말도 괜찮은 것이냐,아니면 '됐걸랑'이라 하기도 하는데 이것은 사투리인가 하는 것 등이 이 말에 대해 품는 의문이다.

실은 그 전에도 이와 비슷한 표현이 있었다.

지금도 어떤 일이 별로 내키지 않거나 누군가의 말에 그다지 동의하지 않을 때 또는 누군가로부터 듣고 싶지 않은 얘기를 계속 들어야 할 때 우리는 한마디로 "됐어!"라고 한다.

이는 의미적으로 "싫어"라는 뜻을 담아 하는 말인데,'되다'의 사전적 풀이에는 없지만 관습적으로 써오던 반어적 표현법이다.

요즘은 이 말이 '됐거든?' 하고 끝말을 높이면서 강세를 주는 것으로 변했을 뿐이다.

때로는 존칭을 나타내는 조사 '요'를 붙여 쓰기도 한다.

우선 '됐걸랑'은 '됐거들랑'의 준말이다.

둘 다 엄연히 표준어이고 '됐거든'과 같은 뜻으로 쓰이는 말이다.

다만 '됐걸랑'이나 '됐거들랑'은 '됐거든'에 비해 훨씬 구어체이다.

어미 '-거들랑'은 두 가지로 쓰인다.

하나는 '해할 자리'에 쓰여,청자는 모르고 있을 내용을 가르쳐 준다는 뜻을 나타내는 '종결어미'로서의 쓰임새다.

'그 무렵 우리는 서울에서 살았거들랑''사실은 그 아이가 내 친구 동생이거들랑'처럼 쓰인다.

물론 이때 '-거들랑' 자리에 '-거든'을 넣어도 똑같은 말이 된다.

어미 '-거든'도 '해할 자리'에 쓰여,청자가 모르고 있을 내용을 가르쳐 줌을 나타내는 종결 어미로 쓰이기 때문이다.

이때는 자랑이나 감탄의 느낌을 띨 때가 많다.

요즘 유행하는 "됐거든?"의 말법은 이 용법에서 발전한 것이다.

발음할 때는 가급적 시큰둥한 표정을 지으면서 무뚝뚝한 어투로 말끝을 올려 쏘아붙이는 게 요령이다.

이는 자신이 하는 말을 상대에게 강조하고 확인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다른 하나는 '연결어미'로서의 쓰임새다.

이때는 '어떤 일이 사실이면''어떤 일이 사실로 실현되면'의 뜻을 나타낸다.

'철수를 만나거들랑 내 말을 전해라./어려운 일이 생기거들랑 연락하도록 해라./서울에 가거들랑 편지해라' 같은 게 그 용례이다.

이는 형태적으로는 어미 '-거든'과 조사 '-을랑'이 결합한 말이다.

의미적으로는 영어의 가정법 'If~' 문장이 나타내는 것과 비슷하다.

시인 문태준은 한가위를 다루면서 미당 서정주가 생전에 추석에 관한 시를 꽤 여러 편 썼다고 했다.

그가 소개하는 서정주의 시 '팔월이라 한가윗날 달 뜨걸랑'은 이렇게 시작한다.

"팔월이라 한가윗날 달이 뜨걸랑,/무엇을 하다가 이겼다는 자들이여/그 이긴 기쁨만에 취하들 말고/그대들에게 져서 우는 자들의/설움을 또 같이 서러워할 줄 알라…."

여기 보이는 '뜨걸랑'이 '뜨거들랑'의 준말이면서 연결어미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는 것이다.

물론 이때도 '뜨거든'으로 바꿔 써도 같은 말이다.

'-거든' 역시 연결어미의 기능이 있고 의미도 똑같다.

그러니 종결어미로 쓰일 때나 연결어미로 쓰일 때나 '-걸랑/-거든/-거들랑'이 모두 같은 말이고 모두 표준어이다.

어떤 이는 이런 말들을 방언이 아닐까 또는 '~거던'이나 '-거덩'이 맞는 표기 아닐까 하고 생각하기도 한다.

'-거덩'은 입말에서 잘못 쓰는 말이고 '-거던'은 <표준국어대사전>에서 '-거든'의 잘못이라고 정리했다.

한국경제신문 기자 hymt4@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