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ay an egg …

자 알 까면 어떻게 될까요. 실패! 맞습니다.

⊙ lay an egg

[김기훈 대표의 백그라운드 잉글리쉬] 23. 음식에서 유래된 영어 표현 ③ egg, salt 등
한국말에 '알을 까다'라는 약간은 속어적 표현이 있는데 이는 보통 '실패하다'는 의미로 쓰인다.

영어에도 이와 비슷한 의미를 지닌 lay an egg라는 표현이 있다.

물론 새나 닭이 주어가 되어 lay an egg가 되면 알을 낳는다는 뜻이지만 사람이 주어로 쓰일 경우 '실패하다', '(영화 등에서) 흥행에 참패하다'는 뜻을 갖게 된다.

이 말의 유래가 재미있는데,알의 생김새가 0(zero)과 비슷하기 때문에 lay an egg는 '0을 낳다' 다시 말해 '아무것도 건지지 못하고 실패하다'는 의미를 갖게 되었다고 한다.

The movie actor laid an egg as the war hero.

그 배우는 전쟁 영웅의 배역으로는 실패를 맛보았다.

⊙ walk on eggs

문자 그대로 달걀 위를 걷는 장면을 생각해 보라.

달걀을 깨뜨리지 않기 위해 조심조심 걷는 장면이 머릿속에 그려진다면 walk on eggs가 '조심스럽게 행동하다'는 뜻으로 쓰인다는 것을 이해하는 데에는 아무 어려움이 없을 것이다.

You've got to walk on eggs all the time to keep the king healthy.

너는 왕의 건강을 좋게 유지시키기 위해 항상 주의를 기울여야만 한다.

⊙ Don't put all your eggs in one basket

요즘은 경제 투자 용어로 많이 쓰이는 이 속담의 의미는 그다지 어렵지 않게 추측할 수 있다.

깨지기 쉬운 달걀을 바구니 한 곳에만 담아 둘 경우 바구니가 넘어지기라도 하면 안에 있는 모든 달걀이 다 깨지고 말 것이다.

그러므로 문장의 의미대로 달걀을 한 곳에 두지 말라는 말은 중요한 자산을 여러 곳에 나누어 분산투자하라는 뜻이다.

A ; I will invest all my money in the stock market.

B ; That's a bad idea. Don't put all your eggs in one basket.

A ; 나는 내 모든 돈을 주식 시장에 투자할거야.

B ; 좋지 않은 생각이야. 위험을 감수하지 말고 분산투자해라.

⊙ egg on one's face

사람의 얼굴에 계란이 깨져 있는 모습을 연상하면 손쉽게 뜻을 추측할 수 있다.

과거 서양에서는 나쁜 행동을 한 사람의 얼굴에 달걀을 던지는 관습이 있었는데 오늘날에는 어느 나라를 막론하고 이런 풍습이 행해지고 있는 것 같다.

나쁜 일로 인해 달걀 세례를 받은 사람은 매우 부끄러울 것이다.

따라서 egg on one's face가 '창피를 당하다', '수모를 당하다'는 의미인 것은 쉽게 이해가 될 것이다.

This latest scandal has left the president with egg on his face.

최근의 스캔들로 인하여 대통령은 큰 수치를 당했다.

⊙ earn one's salt

[김기훈 대표의 백그라운드 잉글리쉬] 23. 음식에서 유래된 영어 표현 ③ egg, salt 등
고대 시대에는 소금이 매우 귀했다.

짠 맛을 내게 할 뿐 아니라 음식물의 부패를 방지하는 역할까지 했던 소금의 가치가 워낙 귀하다보니 일부 국가에서는 소금이 화폐 대용으로 쓰이기도 했던 것으로 전해진다.

또한 사료에 의하면 로마 시대의 군인들은 급료의 일부를 소금으로 대신 받았다고 한다.

이로 인해 salt에서 유래된 어휘가 salary 이다.

earn one's salt 역시 이와 비슷한 유래를 갖고 있는데 '자기 몫을 하다', '자립하다', '몸값을 하다' 정도의 의미로 보면 되겠다.

earn 대신에 make를 쓰기도 한다.

The brothers were going to earn their salt.

그 형제들은 자립하려고 하는 중이었다.

⊙ can't cut the mustard

can't cut it 혹은 can't cut the mustard는 모두 같은 의미를 지니고 있는데 '기대에 부응하지 못하다', 혹은 '목표를 제대로 달성하지 못하다'는 뜻으로 쓰인다.

항상 부정문으로만 쓰인다는 것도 알아두자.

mustard는 겨자를 뜻한다.

겨자는 음식 맛을 내는 데 있어 많이 사용되는 양념이다.

그런데 이런 겨자도 하나 제대로 자르지 못하는 사람이라면 별 볼일 없거나 신통치 않은 사람이라는 데서 이 표현이 유래되었다.

A ; Why did the chairman fire the director?

B ; Maybe he thought the director just couldn't cut the mustard.

A ; 회장은 왜 그 이사를 해고했지?

B ; 그가 기대만큼 일을 잘 하지 못한다고 생각했겠지.

⊙ hit the bottle

여기서 bottle은 술병을 뜻한다.

직역하면 '술병을 때리다'는 의미가 되는 이 표현은 술을 많이 마신 상태를 말한다.

한국어에도 '술 한 잔 때리다'는 약간은 속어라 할 수 있는 표현이 있는데 이와 의미는 조금 다르지만 아무튼 술을 마실 때 영어나 한국어 모두 '때린다'는 표현을 쓴다는 점이 흥미롭다.

He sat at his desk all afternoon without getting much done, for he's been hitting the bottle too much.

그는 오후 내내 책상에 앉아서 일을 별로 하지 않았는데 그 이유는 요즘 술을 많이 마시기 때문이다.

⊙ beef up

신문이나 방송과 같은 언론에서 많이 쓰이는 beef up은 어떤 것을 강화하거나 더 크게 만드는 행위를 의미한다.

특히 군사력을 증강할 때 유독 많이 쓰인다는 점도 참고로 알아두자.

China and Japan are beefing up their military strength.

중국과 일본은 군사력을 증강시키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