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의 문제점을 분석할 수 있어야 한다
논술에서는 어떤 자료를 주고 그것이 지니고 있는 문제점이나 오류를 비판하도록 하는 문제 유형이 출제된다.
논술 문제에서 주어지는 자료는 일정한 의도를 가지고 있게 마련이다.
논의를 전개하는 데 주된 방향을 제시해 주기도 하고, 정확하게 해석할 수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의도로 제시되기도 하며, 문제점을 분석하여 올바른 방향을 제시하도록 하는 방향을 지닌다.
이러한 문제의 관건은 그 속에 포함된 출제 의도를 얼마나 정확하게 파악하고 있는지 여부이다.
특히 자료 속에 포함된 오류를 잡아내는 논제에서는 정확성이나 적절성, 보편적 관념에 비추어 얼마나 타당성을 지니는지 여부 등을 고려하여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가)우리나라 인구의 상위 1%가 전체 개인소유 토지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등 토지소유 편중 현상이 극심한 것으로 조사됐다.
15일 행정자치부에 따르면 전국 토지소유 현황을 조사한 결과 면적 기준으로 작년 말 현재 총 인구의 상위 1%인 48만7000명이 전체 사유지 5만6661㎢의 51.5%에 해당하는 2만9165㎢를 소유한 것으로 확인됐다.
또 총 인구의 상위 5%가 82.7%인 4만6847㎢, 상위 10%가 5만1794㎢인 91.4%를 각각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집계됐다.
총 인구 4871만명 중 토지 소유자는 28.7%에 해당하는 1397만명이었다.
(나)행정자치부가 발표한 '토지소유 현황' 통계가 실상을 과장한 것으로 드러났다.
행자부는 그 자료에서 총 인구의 상위 1%가 전체 사유지의 51.5%를 보유하고 있다고 밝혔다.
전체 인구의 28.7%만이 토지를 보유하고 있다고도 했다.
다시 말해 우리 국민의 71.3%, 3500만명이 손바닥 만한 땅도 가지고 있지 않다는 것이었다.
행자부 발표가 있자 시민단체들은 즉각 "토지 소유의 불평등을 이대로 방치해선 안 된다"며 목소리를 높였고, 일부 언론들도 이 구호를 함께 복창했다.
우리나라의 가구당 평균 인원은 3.1명이다.
그렇다면 총 인구의 28.7%가 토지 소유자라는 것은 70% 정도의 국민이 땅을 갖고 있는 가구에 속해 있다는 의미이다.
정부가 말한 것과는 정반대의 결과다.
[문제] (가), (나)의 두 제시문은 최근 우리나라 신문에 게재된 기사의 내용을 발췌한 것으로서 하나의 통계조사 결과에 대한 상반된 두 견해를 제시하고 있다.
두 제시문은 자신의 주장을 강조하기 위해 통계조사 분석 과정이나 결과의 일부분을 주관적으로 활용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독자들은 잘못되거나 불완전한 판단을 할 수 있다.
좀 더 의미 있고 완전한 정보를 전달한다는 관점에서 각 제시문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찾아 20줄 이내로 설명하시오.
(동국대 2006학년도 수시 1학기)
이 문제는 수험생들이 일상 생활에서 흔히 접하게 되는 각종 수리 정보의 이해 정도와 그것을 바탕으로 한 새로운 사실 추론 능력, 그와 관련된 논리적 오류를 비판하는 능력을 평가하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여기에서는 단순히 수리과학의 지식을 평가하기보다는 약간의 수리적인 이해와 제시문의 논리적 오류를 비판할 수 있는 능력을 평가하고자 한다.
즉, 우리나라 신문에 게재된 기사 중 같은 통계 자료를 기반으로 상반된 견해를 드러내고 있는 두 지문을 제시하고 각 지문에 포함된 수리 정보의 모순 또는 오류가 무엇인지를 판단하도록 하였다.
제시문 (가)에서는 최근 행자부에서 발표한 통계 자료를 한 신문에서 요약 보도한 '인구 상위 1%, 전체 사유지 51.5% 차지'라는 기사 중 일부를 발췌하였다.
이 기사에서는 행자부의 인구 비율별 토지소유 상황을 상세히 보도하고 있으며, 통계 자료를 적절히 활용하여 우리나라의 토지소유 구조가 매우 불평등한 상황이라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특히 인구 상위 1%가 전체 사유지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음과 전체 국민의 28.7%만이 토지 소유자임을 강조하여 토지 분배가 매우 불평등함을 주장하였다.
제시문 (나)에서는 현실적으로 토지 소유의 주체가 모든 개인일 수 없으며 가구주 수준이 적합함을 주장하였다.
이에 따라 제시문 (가)의 내용 중 국민의 28.7%만이 토지를 소유하고 있다는 보도가 의미가 없다는 결론을 내리고 있다.
즉, 가구주 기준으로는 28.7%의 3.1배(우리나라 가구당 평균 인원이 3.1명이라는 숫자를 활용)인 70% 정도의 국민이 토지를 소유한 가구에 속해 있으므로 토지 소유의 불평등을 방치해서는 안 된다는 주장이 잘못되었다는 것이다.
따라서 제시문 (가)와 (나)는 같은 통계조사 자료를 통해 상반된 결론을 내리고 있다.
그런데 두 제시문을 자세히 살펴보면 두 제시문 모두 자신들의 주장을 강조하기 위하여 통계분석 과정이나 결과를 주관적으로 이용, 주장을 과장하고 있는 문제점을 파악할 수 있다.
제시문 (가)의 문제점은 제시문 (나) 속에 제시되어 있다.
즉, 제시문 (가)에서는 토지소유 현황에 대한 개인별 소유 현황 조사 결과를 제시하였는데, 이는 현실적으로 모든 개인이 토지 소유의 주체가 될 수 없음을 감안할 때 현실성이 없다는 점이다.
이는 조사분석 과정에서 현실성 없는 측정의 대상 또는 측정의 단위를 사용함으로 인해 발생된 문제이다.
한편 제시문 (나)에서는 제시문 (가)를 비판하였으나 제시문 (가)에 제시된 통계 결과 중 일부만을 인용하여 비판함으로써 독자들에게 불완전하고 부분적인 정보를 전달하고 있다.
즉, 제시문 (나)에서 주장하는 현실적인 측정 단위인 가구주를 기준으로 제시문 (가)의 수치들을 환산하였을 경우에도 토지 분배의 불평등성은 여전히 존재한다.
예를 들면 제시문 (가)의 면적 기준 토지소유 현황에서 상위 5%가 전체 사유지의 82.7%, 상위 10%가 91.4%를 소유하고 있다는 사실을 가구주 기준으로 환산하여 보면 상위 15% 정도의 국민이 전체 사유지의 82.7%를 소유하고 있는 가구에 속해 있고, 상위 30% 정도의 국민이 전체 사유지의 91.4%를 소유하고 있는 가구에 속해 있다고 추산할 수 있다.
이는 토지분배 불평등의 정도가 상당히 심각함을 의미한다.
따라서 제시문 (나)에서 비판하고 있는 것과 같이 토지 분배의 불평등성이 문제가 되지 않는다는 논리는 비판을 받을 수 있다.
이상의 내용을 정리하면, 제시문 (가)는 측정 단위의 비현실적인 설계로 인해 현실적이지 못한 분석 결과를 제시하였다는 점이 문제점이라 할 수 있고, 제시문 (나)에서는 이러한 제시문 (가)의 오류를 비판하면서 그 근거로 제시문 (가)의 일부 정보만을 사용함으로써 현상을 잘못 전달하고 있다는 점이 문제점이라 할 수 있다.
여기서 특히 주의할 점은 신문 기사가 독자에게 의미 있고 완전한 정보 전달을 하여야 한다는 관점에서 볼 때 두 제시문의 내용만으로는 모두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런 문제점을 분석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는지와 냉철한 판단력, 균형 잡힌 시각을 가지고 있는 것이 필요하다.
stonelee@megastudy.net
논술에서는 어떤 자료를 주고 그것이 지니고 있는 문제점이나 오류를 비판하도록 하는 문제 유형이 출제된다.
논술 문제에서 주어지는 자료는 일정한 의도를 가지고 있게 마련이다.
논의를 전개하는 데 주된 방향을 제시해 주기도 하고, 정확하게 해석할 수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의도로 제시되기도 하며, 문제점을 분석하여 올바른 방향을 제시하도록 하는 방향을 지닌다.
이러한 문제의 관건은 그 속에 포함된 출제 의도를 얼마나 정확하게 파악하고 있는지 여부이다.
특히 자료 속에 포함된 오류를 잡아내는 논제에서는 정확성이나 적절성, 보편적 관념에 비추어 얼마나 타당성을 지니는지 여부 등을 고려하여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가)우리나라 인구의 상위 1%가 전체 개인소유 토지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등 토지소유 편중 현상이 극심한 것으로 조사됐다.
15일 행정자치부에 따르면 전국 토지소유 현황을 조사한 결과 면적 기준으로 작년 말 현재 총 인구의 상위 1%인 48만7000명이 전체 사유지 5만6661㎢의 51.5%에 해당하는 2만9165㎢를 소유한 것으로 확인됐다.
또 총 인구의 상위 5%가 82.7%인 4만6847㎢, 상위 10%가 5만1794㎢인 91.4%를 각각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집계됐다.
총 인구 4871만명 중 토지 소유자는 28.7%에 해당하는 1397만명이었다.
(나)행정자치부가 발표한 '토지소유 현황' 통계가 실상을 과장한 것으로 드러났다.
행자부는 그 자료에서 총 인구의 상위 1%가 전체 사유지의 51.5%를 보유하고 있다고 밝혔다.
전체 인구의 28.7%만이 토지를 보유하고 있다고도 했다.
다시 말해 우리 국민의 71.3%, 3500만명이 손바닥 만한 땅도 가지고 있지 않다는 것이었다.
행자부 발표가 있자 시민단체들은 즉각 "토지 소유의 불평등을 이대로 방치해선 안 된다"며 목소리를 높였고, 일부 언론들도 이 구호를 함께 복창했다.
우리나라의 가구당 평균 인원은 3.1명이다.
그렇다면 총 인구의 28.7%가 토지 소유자라는 것은 70% 정도의 국민이 땅을 갖고 있는 가구에 속해 있다는 의미이다.
정부가 말한 것과는 정반대의 결과다.
[문제] (가), (나)의 두 제시문은 최근 우리나라 신문에 게재된 기사의 내용을 발췌한 것으로서 하나의 통계조사 결과에 대한 상반된 두 견해를 제시하고 있다.
두 제시문은 자신의 주장을 강조하기 위해 통계조사 분석 과정이나 결과의 일부분을 주관적으로 활용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독자들은 잘못되거나 불완전한 판단을 할 수 있다.
좀 더 의미 있고 완전한 정보를 전달한다는 관점에서 각 제시문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찾아 20줄 이내로 설명하시오.
(동국대 2006학년도 수시 1학기)
이 문제는 수험생들이 일상 생활에서 흔히 접하게 되는 각종 수리 정보의 이해 정도와 그것을 바탕으로 한 새로운 사실 추론 능력, 그와 관련된 논리적 오류를 비판하는 능력을 평가하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여기에서는 단순히 수리과학의 지식을 평가하기보다는 약간의 수리적인 이해와 제시문의 논리적 오류를 비판할 수 있는 능력을 평가하고자 한다.
즉, 우리나라 신문에 게재된 기사 중 같은 통계 자료를 기반으로 상반된 견해를 드러내고 있는 두 지문을 제시하고 각 지문에 포함된 수리 정보의 모순 또는 오류가 무엇인지를 판단하도록 하였다.
제시문 (가)에서는 최근 행자부에서 발표한 통계 자료를 한 신문에서 요약 보도한 '인구 상위 1%, 전체 사유지 51.5% 차지'라는 기사 중 일부를 발췌하였다.
이 기사에서는 행자부의 인구 비율별 토지소유 상황을 상세히 보도하고 있으며, 통계 자료를 적절히 활용하여 우리나라의 토지소유 구조가 매우 불평등한 상황이라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특히 인구 상위 1%가 전체 사유지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음과 전체 국민의 28.7%만이 토지 소유자임을 강조하여 토지 분배가 매우 불평등함을 주장하였다.
제시문 (나)에서는 현실적으로 토지 소유의 주체가 모든 개인일 수 없으며 가구주 수준이 적합함을 주장하였다.
이에 따라 제시문 (가)의 내용 중 국민의 28.7%만이 토지를 소유하고 있다는 보도가 의미가 없다는 결론을 내리고 있다.
즉, 가구주 기준으로는 28.7%의 3.1배(우리나라 가구당 평균 인원이 3.1명이라는 숫자를 활용)인 70% 정도의 국민이 토지를 소유한 가구에 속해 있으므로 토지 소유의 불평등을 방치해서는 안 된다는 주장이 잘못되었다는 것이다.
따라서 제시문 (가)와 (나)는 같은 통계조사 자료를 통해 상반된 결론을 내리고 있다.
그런데 두 제시문을 자세히 살펴보면 두 제시문 모두 자신들의 주장을 강조하기 위하여 통계분석 과정이나 결과를 주관적으로 이용, 주장을 과장하고 있는 문제점을 파악할 수 있다.
제시문 (가)의 문제점은 제시문 (나) 속에 제시되어 있다.
즉, 제시문 (가)에서는 토지소유 현황에 대한 개인별 소유 현황 조사 결과를 제시하였는데, 이는 현실적으로 모든 개인이 토지 소유의 주체가 될 수 없음을 감안할 때 현실성이 없다는 점이다.
이는 조사분석 과정에서 현실성 없는 측정의 대상 또는 측정의 단위를 사용함으로 인해 발생된 문제이다.
한편 제시문 (나)에서는 제시문 (가)를 비판하였으나 제시문 (가)에 제시된 통계 결과 중 일부만을 인용하여 비판함으로써 독자들에게 불완전하고 부분적인 정보를 전달하고 있다.
즉, 제시문 (나)에서 주장하는 현실적인 측정 단위인 가구주를 기준으로 제시문 (가)의 수치들을 환산하였을 경우에도 토지 분배의 불평등성은 여전히 존재한다.
예를 들면 제시문 (가)의 면적 기준 토지소유 현황에서 상위 5%가 전체 사유지의 82.7%, 상위 10%가 91.4%를 소유하고 있다는 사실을 가구주 기준으로 환산하여 보면 상위 15% 정도의 국민이 전체 사유지의 82.7%를 소유하고 있는 가구에 속해 있고, 상위 30% 정도의 국민이 전체 사유지의 91.4%를 소유하고 있는 가구에 속해 있다고 추산할 수 있다.
이는 토지분배 불평등의 정도가 상당히 심각함을 의미한다.
따라서 제시문 (나)에서 비판하고 있는 것과 같이 토지 분배의 불평등성이 문제가 되지 않는다는 논리는 비판을 받을 수 있다.
이상의 내용을 정리하면, 제시문 (가)는 측정 단위의 비현실적인 설계로 인해 현실적이지 못한 분석 결과를 제시하였다는 점이 문제점이라 할 수 있고, 제시문 (나)에서는 이러한 제시문 (가)의 오류를 비판하면서 그 근거로 제시문 (가)의 일부 정보만을 사용함으로써 현상을 잘못 전달하고 있다는 점이 문제점이라 할 수 있다.
여기서 특히 주의할 점은 신문 기사가 독자에게 의미 있고 완전한 정보 전달을 하여야 한다는 관점에서 볼 때 두 제시문의 내용만으로는 모두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런 문제점을 분석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는지와 냉철한 판단력, 균형 잡힌 시각을 가지고 있는 것이 필요하다.
stonelee@megastudy.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