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 지역의 민주주의 발전과 경제성장으로 '쿠데타'란 단어는 이제 아프리카에서나 들을 수 있는 것쯤으로 생각됐었다.

지난 19일 터진 태국 쿠데타는 그래서 아시아인들에게 적잖은 충격으로 다가왔다.

1990년대 후반 외환위기 이후 아시아적 가치와 글로벌 스탠더드를 잘 조화시켜 나가는 모범 국가들이 모여 있는 곳에서 쿠데타가 일어나다니….

다행히 15년 만에 쿠데타가 재발한 태국의 정국이 빠르게 안정을 되찾고 있다는 소식이다.

20일 저녁 푸미폰 아둔야뎃 태국 국왕이 쿠데타가 발발한 지 하루 만에 지지의사를 밝혔기 때문이다.

쿠데타 주도자인 손티 장군도 다음 달 초까지 임시헌법 초안을 마련하고 새 의회와 새 총리도 임명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15년 만의 쿠데타,왜 일어났나

겉으로 보면 탁신 치나왓 총리(57)의 부패와 권력남용이 주된 원인이다.

탁신 총리는 지난 1월 그의 일가가 통신주 매각으로 19억달러의 차익을 챙겼으면서도 세금을 한 푼도 내지 않아 국민의 분노를 샀다.

곧바로 퇴진 시위가 촉발돼 사임 위기에 몰렸다.

쿠데타 발생 직후 야당과 여론도 "탁신이 쿠데타 명분을 주었다"며 탁신에게 모든 책임을 돌렸다.

손티 장군도 20일 기자회견에서 "탁신 총리가 초래한 사회의 격한 갈등을 해소하기 위해"라며 쿠데타 이유를 밝혔다.

탁신 일가의 탈세 의혹 등 부패,민주제도 약화 등이 초래한 사회혼란을 일소하기 위한 쿠데타라는 점을 분명히 했다.

하지만 근본적인 원인을 찾아 들어가면 태국의 전통과 미래를 둘러싼 이념적 갈등을 만나게 된다.

자수성가형 기업가로서 '물질'을 최고의 가치로 내세우고 민영화,자유무역협정(FTA) 등을 과감하게 추진하는 탁신의 철학과 단순하게 살면서 도덕적 가치를 더 중시하는 태국 전통의 '자립경제'형 사고가 충돌한 것이라 볼 수 있다.

탁신의 비전에는 기존 질서를 허물려는 농민과 빈민층이 절대적 지지를 보낸 반면 태국의 지식인층과 엘리트들은 푸미폰 국왕으로 표현되는 자립형 사고를 대변했다.

○포퓰리즘의 종말

탁신의 사고는 개혁적이고 글로벌 관점을 지닌 것이다.

문제는 지지기반을 공고히 다지기 위해 농민 빈민 서민층을 '돈'으로 사로잡으려 했다는 점이다.

이런 시도가 '포퓰리즘'(대중 인기에 영합하는 정치)으로 이어진 것이 패착이었다.

탁신은 1998년 타이락타이(태국인들은 태국인을 사랑한다는 뜻)당을 창당, 2001년 총리에 취임했다.

곧바로 '의료비 감면'과 '부채 탕감' 카드를 꺼내 들며 농민과 빈민층을 사로잡았다.

다행히 태국 경제도 국제통화기금(IMF) 위기에서 벗어나 고속성장을 지속했다.

이를 바탕으로 작년 2월 총선에선 하원 의석 500석 가운데 377석을 휩쓸어 압승을 거뒀다.

그러나 대중적 인기에 영합하는 정책 때문에 '포퓰리스트'(populist)란 비판을 면하긴 어려웠다.

국영은행이나 마을기금을 통해 쉽게 돈을 빌려쓸 수 있게 된 서민들이 상환능력을 넘어서는 빚더미에 올라서고 있었기 때문이다.

태국 야당인 민주당은 탁신 정부의 경제정책이 정부 보조에 기대려는 '의존적인 문화'를 낳았으며 '탁신경제학(탁시노믹스)은 환각제'라고 비난해왔다.

특히 빈곤층만 겨냥한 포퓰리즘 정책은 도시지역 중산층과 지식인들을 소외시키고 이들의 저항을 불러일으키는 결과를 낳았다.

지난 4월 총선에서 방콕의 중산층 시민들이 거리로 쏟아져 나와 그의 퇴진을 요구한 것도 이 때문이다.

○경제 충격은 적을 듯

이번 쿠데타는 아시아 주변국 경제에는 물론이고 태국 경제에도 크나큰 악재로 작용하진 않을 전망이다.

헨리 폴슨 미국 재무장관과 로드리고 데 라토 IMF 사무총장은 오히려 장기적으로 태국 경제에 '약'이 될 수 있다는 의견을 피력했다.

태국 경제의 기초체력(펀더멘털)이 튼튼한 데다 탁신을 정점으로 한 정치적 갈등이 해소됐기 때문에 경제가 가장 싫어하는 '불확실성'이 해소됐다는 이유에서다.

따라서 아시아 주변국으로 경제 불안이 전파될 위험도 현재로선 크지 않다고 볼 수 있다.

1990년대 외환위기 때와 달리 아시아 각국의 달러 보유액이 엄청나게 늘어난 것도 불안 요인을 잠재운다. 아시아에 들어와 있는 외국 투자자금도 장기 자금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이를 반영하 듯 태국 바트화는 쿠데타가 일어난 19일 뉴욕 외환시장에서 1.3% 하락해 4년 만에 최대 낙폭을 기록했으나 20일엔 더 이상 하락행진을 지속하진 않았다.

장규호 한국경제신문 국제부 기자 danielc@hankyung.com

--------------------------------------------------------------

"군부 손 들어준 태국 국왕"

푸미폰 아둔야뎃 태국 국왕(78)은 쿠데타 발발 하루 만인 지난 20일 저녁,쿠데타를 주도한 군부의 손을 들어줬다.

그러자 태국 정국에 쏠렸던 우려의 시선들이 갑작스레 사그라들기 시작했다.

푸미폰 국왕의 '힘'을 다시 한번 느끼게 해준 순간이었다.

올해로 즉위 60주년을 맞는 푸미폰 국왕은 '살아 있는 부처'로 불릴 만큼 태국 국민들의 절대적 존경을 받고 있다. 쿠데타가 빈발했던 태국에서 그는 중요한 고비 때마다 정국의 방향을 잡아주는 '키맨'(keyman) 역할을 해왔다.

총 17차례의 쿠데타와 15차례의 헌법 개정,20명의 총리를 겪었으니 그런 역할을 해주는 국왕이 있다는 사실만으로 엄청난 위안이 됐던 게 사실이다.

푸미폰 국왕은 그러나 정치에 직접 개입한 적은 단 세 번뿐이었다.

이번 쿠데타 승인이 네 번째 개입인 셈이다.

1991년 쿠데타로 정권을 잡은 군부가 독재정치를 일삼자 태국 국민이 시위에 나섰던 때가 대표적이다.

군 발포로 희생자가 발생하자 국왕은 수친다 당시 총리와 시위대를 이끈 잠롱 방콕시장을 불러 호되게 꾸짖었다.

이 장면은 생방송으로 방영됐고 총리는 국왕의 종용으로 해외 망명길에 올라야 했다.

국왕은 지난 4월에는 탁신 전 총리의 사퇴를 이끌었다.

하지만 탁신 전 총리는 해외로 나갔다가 5월에 슬그머니 총리 직에 복귀했다.

이 때문에 일각에서는 이번 쿠데타를 국왕과 총리의 권력투쟁으로 해석하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