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드와이드웹(www),세계 이동통신기술의 표준이라 할 수 있는 GSM,개방형 PC 운영체제 리눅스에는 공통점이 있다.

유럽에서 개발된 기술이라는 점이다.

이들 외에도 현대 하이테크 기술의 상당수는 미국이 아닌 유럽에서 발원했다.

우리 생활 깊숙이 뿌리내린 디지털 콘텐츠 압축기술인 MP3도 유럽에서 만들어진 것이다.

기업가 정신(Enterpreneurship)에서 강점을 지닌 미국이 상용화 단계에서 한 발 앞섰기 때문에 사람들은 '유럽의 힘'을 체감하지 못하는 것이다.

'리스본 아젠다' 등의 목표를 내걸고 부흥을 시도하고 있는 유럽으로선 안타까운 일이 아닐 수 없다.

최근 선풍적 인기를 끌고 있는 인터넷 전화 '스카이프(Skype)'의 공동 창업자인 니클라스 젠스트롬(39)과 야누스 프리스(29)는 이런 점에서 유럽의 '희망'이라 할 수 있다.

젠스트롬은 스웨덴,프리스는 덴마크 출신의 유럽인이고 이들의 사업 근거지도 런던,룩셈부르크,탈린(에스토니아) 등 유럽 대륙이다.

구글 창업자이자 러시아 출신인 세르게이 브린이 미국에서 일하고 있는 것과는 대조적이다.

이들은 세계적 시사주간지 타임이 선정한 '2006 세계를 변화시키는 100인'에 뽑히며 유명세를 얻기도 했다.

2003년 스카이프를 창립한 두 사람 중 젠스트롬은 최고경영자(CEO)를 맡고 있다.

프리스는 경영 의사결정에 책임을 지지 않는 대신 자유로운 사고와 아이디어를 제공한다.

그래서인지 스포트라이트는 젠스트롬쪽에 더 쏠린다.

'미래의 빌 게이츠'나 '미래의 제프 베조스(아마존닷컴 회장)'란 찬사가 뒤따르기도 한다.

하지만 두 사람은 공치사보다 '리눅스 이념의 계승자'란 수식어를 좋아할 것 같다.

'이상적인 정보화 사회는 모든 기술과 콘텐츠를 공유할 수 있고 기술자뿐 아니라 소비자들도 기술 발전에 참여할 수 있는 것'이라는 굳은 신념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1989년 헬싱키대 학생이었던 리누스 토발즈가 리눅스를 개발한 이래 꼭 10년 뒤인 1999년,젠스트롬과 프리스는 P2P(개인 간 파일공유) 기술에 기반한 음악콘텐츠 공유사이트인 '카자(KaZaA)'로 세계적인 주목을 끌었다.

카자는 총 3억7000만건이나 내려받기된 소프트웨어로 대단한 인기를 끌었다.

물론 음악파일을 불법 공유하게 한다며 각국 정부와 음반산업계가 그들을 '공공의 적'으로 몰아세우고 법정에 세우기도 했지만 말이다.

그래도 이들은 개방된 정보화 사회야말로 진정 그들이 지향하는 최종 목표라는 신념을 버리지 않았다.

결국 2003년 역시 같은 P2P 기술을 활용,인터넷 무료전화 서비스인 스카이프를 선보이게 된다.

젠스트롬과 프리스의 배경은 상당히 다르다.

젠스트롬은 스웨덴 업살라대학에서 경영학을 공부하고 컴퓨터과학과 엔지니어링물리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네덜란드 암스테르담의 전화회사인 텔레2에서 사회생활을 시작했다.

10살 어린 프리스는 중간에 학교를 그만두고 세계 곳곳을 돌아다닌 기벽이 있었다.

첫 직장도 텔레2의 안내데스크에서 전화받는 일부터 시작했다.

두 사람의 인연은 젠스트롬이 당시 21세이던 프리스를 채용한 데서 시작했다.

젠스트롬은 프리스의 상사였지만 두사람은 모두 사업 아이디어가 풍부했고 사업가적인 비전도 또한 동시에 갖고 있어 평생의 동지가 될 수 있었다.

이들이 2002년 스카이프 사업 구상을 하고 투자자를 물색하러 다닐 때 대부분 투자자들은 그들을 괴짜취급하며 문전박대했다.

하지만 3년 뒤인 2005년 10월 스카이프가 30억달러에 이베이에 팔린다는 뉴스가 신문에 실리자 모두 대박 기회를 놓쳤다며 때늦은 후회를 해야 했다.

젠스트롬은 스카이프를 이베이에 매각할 때 경영에 독립성을 유지하고 음성 통화 사업에만 주력한다는 조건을 붙였다.

이베이의 CEO인 맥 휘트먼도 "이베이의 자원을 활용하라.하지만 당신들에게 이런 저런 지시를 하지는 않을 것이다.

당신들이야말로 인터넷 전화 사업에서 최고이기 때문"이라고 치켜세운다.

달라진 것은 없다는 얘기다.

지금도 런던 사무실의 젠스트롬 책상은 동료 6명과 함께 쓰는 기다란 탁자의 한 구석에 위치해 있다.

190cm의 장신인 그는 아직도 해외 출장을 갈 때면 이코노미석을 고집한다고 한다.

새로운 게 있다면 스카이다이빙을 즐기는 약관의 프리스가 스카이프 매각을 통해 덴마크 두 번째 부호가 됐다는 점이다.

장규호 한국경제신문 국제부 기자 danielc@hankyung.com


[ 스카이프 이용자 1억명 돌파한듯 ]

인터넷 전화 업체인 스카이프(www.skype.co.kr)는 '간편하고도 신뢰할 만한,친근하고 확장성이 뛰어난' 커뮤니케이션 수단을 제공한다는 비전을 세우고 있다.

스카이프의 강점은 최적의 인터넷 네트워크를 구성해 어떤 인터넷 전화 서비스보다 뛰어난 음성통화 품질을 제공한다는 점이다.

또 윈도,맥킨토시(맥OS X),리눅스,포켓PC 등 다양한 운영체제에서 사용할 수 있고 27개국 언어로 서비스돼 편리하다.

서버나 워크스테이션 환경을 새로 설정하지 않아도 된다.

보안 문제가 적고 엄격한 사생활 보호 정책을 펴고 있다는 것도 회사측의 자랑거리다.

편리함에 힘입어 사용자 수도 기하급수적으로 늘고 있다.

스카이프 프로그램을 내려받는 사람만 하루에 25만명 이상이다.

전 세계 스카이프 이용자 수는 최근 1억명을 돌파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이들 스카이프 유저에겐 전화요금 청구서는 과거의 유물이 된 지 오래다.

모바일 기기를 포함한 새로운 플랫폼으로도 확장하고 있다.

조만간 집에서는 물론 길거리에서도 스카이프를 이용할 수 있을 전망이다.

스카이프에는 교환기도 없고 자체 네트워크도 없다.

수리·유지 인력도 없다.

룩셈부르크에서 회의하고 런던에서 점검하는 식이다.

사용자의 컴퓨터와 공유물이 된 인터넷이 다 알아서 해주는 것이다.

21세기형 대표 벤처라 할 수 있다.

PC와 PC 간 통화는 무료며 PC에서 전화나 휴대폰으로 연결할 때도 유선전화에 비해 훨씬 저렴한 요금을 받고 있다.

영상회의 음성메일 등 부가서비스도 수익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