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주 칼럼에서 표본이 축소판을 닮은 꼴이 되지 못했을 때 어떤 잘못이 일어날 수 있는지를 잘 보여주는 1936년과 1948년 미국 대통령선거의 경우를 설명했다. 이런 사례는 아주 오래 전의 것이고 그 후 50여년 동안 여론조사의 기법은 매우 정교하게 발달했지만 최근에도 이런 잘못은 여전히 반복되고 있다.
우리나라의 예를 들어 보자. 1987년 13대 대통령 선거 당시 모 신문사는 여론조사 결과 K후보가 승리할 것이라고 예측했다. 표본 추출은 서울 부산 등의 대도시에서 실시했다. 따라서 대도시의 야당 지지 성향이 크게 반영돼 K후보가 우세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실제로는 다른 후보가 당선됐다. 중소도시 및 농촌 지역의 유권자가 표본에서 제외됐기 때문에 잘못 예측한 것이다.
또 1995년의 서울시장 선거에서 모 금융기관이 수만명을 조사한 결과 당시 민자당의 J후보가 당선되리라고 예측했다. 그러나 결과는 전혀 달랐다. 표본은 수만명이나 됐지만 틀린 예측을 한 이유는 역시 자명했다. 수천명의 보험 판매원을 동원해서 고객(보험 가입자)을 상대로 한 조사는 대표성이 없는 것이다.
1994년 가을,각 일간지에는 다음과 같은 기사가 해외토픽난에 실렸다. 그 기사를 우선 그대로 옮겨보자.
[ 美 남성,'우울할 땐 섹스'.. 여성들은 쇼핑,간식 즐겨 ]
성인 남성들은 우울한 기분을 떨쳐버리기 위한 우선적 방법 중 하나로 성관계를 택하는 반면 여성들은 친구와 대화를 하거나 쇼핑 또는 간식을 잘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이 같은 결과는 최근 발간된 미국의 '성격 및 사회심리학 저널'에 따른 것으로 102명의 대학생과 308명의 노년층 및 26명의 정신과 의사 등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라고. (연합)
이 조사결과에 따르면 미국의 성인 남자는 우울한 기분을 떨쳐버리기 위해 주로 섹스를 하고 여성들은 대화 쇼핑 간식 등을 한다는 내용이다. 이 결과는 '성격 및 사회심리학 저널'이라는 전문 학술지에 실린 것이므로 누구도 이 조사의 신뢰성을 의심하지 않을 것이다. 그러나 과연 이 결과가 믿을 만한가? 조사대상은 남녀를 합해 총 436명으로 표본의 수가 적은 편에 속한다. 더욱이 조사대상자의 구성을 보면 대학생 102명,노년층 308명,그리고 정신과 의사 26명이 전부였다. 이들이 미국의 성인을 대표한다고 결코 말할 수 없다.
그러므로 여기에서 나온 결과에 굳이 의미를 부여할 필요가 없는 것이다. 이런 대표성 없는 조사결과가 그대로 발표되는 학술지라면 그 수준이 의심이 간다. 물론 이런 신뢰성 없는 결과가 여과되지 않고 사실인 양 뉴스거리가 되는 언론에도 문제가 있다.
그러면 대표성을 갖는 표본은 어떤 표본인가? 바로 표본을 뽑는 방식에 달려있다.
대표성을 갖는 표본은 모집단으로부터 되는대로 뽑은(random sampling:무작위 추출 또는 무작위 표집이라고 함) 표본을 말한다. 무작위 추출이란 모집단에 속한 대상이 표본에 뽑힐 확률이 모두 동일한 것을 말한다. TV에서 주택복권의 당첨번호를 고를 때 숫자가 적힌 과녁에 활을 쏘거나 유리항아리 속의 번호가 적힌 탁구공을 꺼내는 방법이 무작위 추출의 전형적인 예다.
어느 경우에나 0에서 9까지의 숫자가 뽑힐 확률은 동일하다. 그러나 모집단이 큰 경우에는 무작위 표집은 다음의 실례에서 알 수 있듯이 비용도 많이 들고 쉽지도 않다.
1940년 미국의 한 지역에서는 병력을 동원하기 위해 문자 그대로 무작위 표집을 사용했다. 그 지역 동원대상자 1만명 중 일부를 추출하기 위해 각자의 이름을 종이에 써서 조그만 캡슐(capsule)에 넣은 뒤 다시 1만개의 캡슐을 커다란 항아리(bowl)에 넣고 섞었다. 그 다음 지역 유지들이 눈을 가린 채 캡슐을 뽑았다.
그러나 결과는 뜻밖에도 무작위 추출에서 기대되는 결과와는 전혀 다르게 뽑힌 사람들이 일부 동네에 치우쳐 있었다.
원인은 1만개의 캡슐을 골고루 섞는 작업이 쉽지 않았고 따라서 선발이 치우쳐서 나타난 것이다.
요즘은 이렇게 항아리에서 숫자를 꺼내는 대신 훨씬 쉬운 방법인 난수표(random numbers)를 이용한다. 난수표는 미리 숫자를 무작위로 배열해 놓은 표를 말한다. 모집단에 속한 대상에게 일일이 일련번호를 매긴 뒤 난수표를 이용해 표본을 뽑으면 무작위 표집이 된다.
모집단이 사람인 경우에는 실제적으로 단순한 무작위 추출은 문제가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전국의 20세 이상 성인에 대해 여론조사를 한다고 하자.
성인의 여론은 지역에 따라,소득에 따라,나이에 따라 다를 수도 있다. 이런 경우에는 우연히 한쪽에 치우친 표본이 뽑힐 가능성을 줄이기 위해 모집단을 여러 층(strata)으로 나눈 뒤,각 층에서 무작위 추출을 하게 된다. 대부분의 여론조사는 다단계 층화 무작위 표집을 이용하는데 다단계란 예를 들어 모집단을 지역 성별 나이 등으로 구분한 뒤 인구비례에 맞게 무작위 추출을 하는 것이다.
이제 여론조사에 관한 기사에서 아래와 같은 문구가 무엇을 의미하는지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조사는 90년 인구센서스 자료를 바탕으로 성별 연령별 지역별 인구비례를 고려해 전국의 20세 이상 성인 남녀 2000명(제주도 제외)을 다단계 층화 표집으로 숙련된 면접원이 통일된 설문지로 면접조사했다."
김진호 jhkim@kndu.ac.kr
[ 약력 ]
△서울대 경영대 졸업
△미국 펜실베이니아대 와튼스쿨 경영학 석·박사
△(전)KBS 선거예측조사 자문위원
△(현)국방대 경영학과 교수
우리나라의 예를 들어 보자. 1987년 13대 대통령 선거 당시 모 신문사는 여론조사 결과 K후보가 승리할 것이라고 예측했다. 표본 추출은 서울 부산 등의 대도시에서 실시했다. 따라서 대도시의 야당 지지 성향이 크게 반영돼 K후보가 우세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실제로는 다른 후보가 당선됐다. 중소도시 및 농촌 지역의 유권자가 표본에서 제외됐기 때문에 잘못 예측한 것이다.
또 1995년의 서울시장 선거에서 모 금융기관이 수만명을 조사한 결과 당시 민자당의 J후보가 당선되리라고 예측했다. 그러나 결과는 전혀 달랐다. 표본은 수만명이나 됐지만 틀린 예측을 한 이유는 역시 자명했다. 수천명의 보험 판매원을 동원해서 고객(보험 가입자)을 상대로 한 조사는 대표성이 없는 것이다.
1994년 가을,각 일간지에는 다음과 같은 기사가 해외토픽난에 실렸다. 그 기사를 우선 그대로 옮겨보자.
[ 美 남성,'우울할 땐 섹스'.. 여성들은 쇼핑,간식 즐겨 ]
성인 남성들은 우울한 기분을 떨쳐버리기 위한 우선적 방법 중 하나로 성관계를 택하는 반면 여성들은 친구와 대화를 하거나 쇼핑 또는 간식을 잘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이 같은 결과는 최근 발간된 미국의 '성격 및 사회심리학 저널'에 따른 것으로 102명의 대학생과 308명의 노년층 및 26명의 정신과 의사 등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라고. (연합)
이 조사결과에 따르면 미국의 성인 남자는 우울한 기분을 떨쳐버리기 위해 주로 섹스를 하고 여성들은 대화 쇼핑 간식 등을 한다는 내용이다. 이 결과는 '성격 및 사회심리학 저널'이라는 전문 학술지에 실린 것이므로 누구도 이 조사의 신뢰성을 의심하지 않을 것이다. 그러나 과연 이 결과가 믿을 만한가? 조사대상은 남녀를 합해 총 436명으로 표본의 수가 적은 편에 속한다. 더욱이 조사대상자의 구성을 보면 대학생 102명,노년층 308명,그리고 정신과 의사 26명이 전부였다. 이들이 미국의 성인을 대표한다고 결코 말할 수 없다.
그러므로 여기에서 나온 결과에 굳이 의미를 부여할 필요가 없는 것이다. 이런 대표성 없는 조사결과가 그대로 발표되는 학술지라면 그 수준이 의심이 간다. 물론 이런 신뢰성 없는 결과가 여과되지 않고 사실인 양 뉴스거리가 되는 언론에도 문제가 있다.
그러면 대표성을 갖는 표본은 어떤 표본인가? 바로 표본을 뽑는 방식에 달려있다.
대표성을 갖는 표본은 모집단으로부터 되는대로 뽑은(random sampling:무작위 추출 또는 무작위 표집이라고 함) 표본을 말한다. 무작위 추출이란 모집단에 속한 대상이 표본에 뽑힐 확률이 모두 동일한 것을 말한다. TV에서 주택복권의 당첨번호를 고를 때 숫자가 적힌 과녁에 활을 쏘거나 유리항아리 속의 번호가 적힌 탁구공을 꺼내는 방법이 무작위 추출의 전형적인 예다.
어느 경우에나 0에서 9까지의 숫자가 뽑힐 확률은 동일하다. 그러나 모집단이 큰 경우에는 무작위 표집은 다음의 실례에서 알 수 있듯이 비용도 많이 들고 쉽지도 않다.
1940년 미국의 한 지역에서는 병력을 동원하기 위해 문자 그대로 무작위 표집을 사용했다. 그 지역 동원대상자 1만명 중 일부를 추출하기 위해 각자의 이름을 종이에 써서 조그만 캡슐(capsule)에 넣은 뒤 다시 1만개의 캡슐을 커다란 항아리(bowl)에 넣고 섞었다. 그 다음 지역 유지들이 눈을 가린 채 캡슐을 뽑았다.
그러나 결과는 뜻밖에도 무작위 추출에서 기대되는 결과와는 전혀 다르게 뽑힌 사람들이 일부 동네에 치우쳐 있었다.
원인은 1만개의 캡슐을 골고루 섞는 작업이 쉽지 않았고 따라서 선발이 치우쳐서 나타난 것이다.
요즘은 이렇게 항아리에서 숫자를 꺼내는 대신 훨씬 쉬운 방법인 난수표(random numbers)를 이용한다. 난수표는 미리 숫자를 무작위로 배열해 놓은 표를 말한다. 모집단에 속한 대상에게 일일이 일련번호를 매긴 뒤 난수표를 이용해 표본을 뽑으면 무작위 표집이 된다.
모집단이 사람인 경우에는 실제적으로 단순한 무작위 추출은 문제가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전국의 20세 이상 성인에 대해 여론조사를 한다고 하자.
성인의 여론은 지역에 따라,소득에 따라,나이에 따라 다를 수도 있다. 이런 경우에는 우연히 한쪽에 치우친 표본이 뽑힐 가능성을 줄이기 위해 모집단을 여러 층(strata)으로 나눈 뒤,각 층에서 무작위 추출을 하게 된다. 대부분의 여론조사는 다단계 층화 무작위 표집을 이용하는데 다단계란 예를 들어 모집단을 지역 성별 나이 등으로 구분한 뒤 인구비례에 맞게 무작위 추출을 하는 것이다.
이제 여론조사에 관한 기사에서 아래와 같은 문구가 무엇을 의미하는지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조사는 90년 인구센서스 자료를 바탕으로 성별 연령별 지역별 인구비례를 고려해 전국의 20세 이상 성인 남녀 2000명(제주도 제외)을 다단계 층화 표집으로 숙련된 면접원이 통일된 설문지로 면접조사했다."
김진호 jhkim@kndu.ac.kr
[ 약력 ]
△서울대 경영대 졸업
△미국 펜실베이니아대 와튼스쿨 경영학 석·박사
△(전)KBS 선거예측조사 자문위원
△(현)국방대 경영학과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