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디지털 이코노미

    소비자가 기술보다 시장을 더 파괴해요

    《혁신기업의 딜레마》(1997)가 발간된 이후 ‘파괴적 혁신’은 많은 기업의 핵심 키워드였다. 이들은 시장의 파괴자가 되기 위해서 혹은 파괴당하지 않기 위해서 ‘신기술’이 필요하다고 믿었다. 하지만 오늘날 기술혁신과 시장파괴는 생각만큼 밀접하지 않다. 여객운송시장을 파괴하며 등장한 우버는 미국 3대 자동차회사의 시가총액을 합한 것보다 높은 가치를 지닌 기업으로 성장했지만, 이들이 사용한 기술은 전혀 새...

  • 진학 길잡이 기타

    4월 학력평가 따라 수시 또는 정시 집중할 곳 골라야

    올해 고3 학생들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로 4월 9일 사상 초유의 온라인 개학을 맞았다. 한 달 이상 늦춰진 개학으로 대학수학능력시험은 물론 수시 및 정시 원서접수 등 모든 대입 일정이 2주가량 연기됐다. 틀어진 대입 일정에 수험생의 혼란은 상당하다. 평상시대로 라면 3, 4월 모의고사 결과를 토대로 목표 대학 및 학과를 압축해야 할 때지만 미뤄진 모의고사로 이마저도 힘들다. 혼란스러운 상황이지만 마냥 손 놓고 있을 수만...

  • 커버스토리

    코로나19에…중앙은행 '돈 뿌리기' 시작됐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의 경제적 파장이 커지면서 각국 중앙은행의 움직임도 분주해졌다. 코로나19로 경기가 침체되는 것을 막기 위해 일제히 대대적인 ‘돈 풀기’에 나서고 있다. 기준금리를 내리는 것은 물론이고 정부가 발행하는 국채, 기업이나 금융회사가 발행하는 회사채·기업어음(CP)을 직접 매입해 시중에 유통되는 통화량을 적극 늘리고 있다. 통화량을 늘리면 돈을 빌리는 대가인 이자가 낮아지고 소비...

  • 경제 기타

    온라인 출석 체크 명확히…수업내용 시험에 꼭 나온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으로 사상 처음으로 온라인 개학을 하면서 학교와 선생님은 물론 학생들도 온라인 수업에 적응하는 데 적잖은 시행착오를 겪고 있다. 하지만 온라인 개학도 학사과정을 진행하는 것인 만큼 등교하는 것과 같은 마음가짐과 행동으로 참여해야 한다. 담임선생님 조회, 교과 수업, 점심 식사, 종례 등의 모든 행위가 온라인으로 이뤄질 뿐 담임선생님을 통한 중요한 전달 메시지, 교과목 교사를 통한 학교 수업 등이 거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