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디지털 이코노미

    좁아 보이는 시장도 혁신을 거치면 광활해진다

    ‘사업가’와 ‘기업가’는 다르다. 종종 동의어로 사용되지만, 사업가는 모방을, 기업가는 변화를 추구한다. 모방은 많은 경쟁자의 시행착오를 바탕으로 다듬어진 공식을 활용해 이른 시간 내에 경쟁자만큼의 수입을 올릴 수 있다. 하지만 모방만으로는 아무런 변화가 일어나지 않는다. 성장을 위해서는 변화가 필수적이다. 경제나 산업은 물론이거니와 종(種)으로서, 사회로서의 인류 역시 변화 없이는 조금도 앞으로 나아...

  • 시네마노믹스

    '바키리크스'로 드러난 고위 성직자들의 비리…'주인-대리인'의 문제를 해결할 방법은 없을까

    가톨릭 역사상 약 600년 만에 2013년 교황직에서 스스로 물러난 베네딕토 16세(요제프 알로이스 라칭거 추기경, 앤서니 홉킨스 분)와 그 뒤를 이은 현재의 교황 프란치스코(호르헤 마리오 베르고글리오 추기경, 조너선 프라이스 분)의 실화를 다룬 영화 ‘두 교황’. 2005년 콘클라베를 통해 교황직에 오른 베네딕토 16세는 ‘바키리크스’ 등으로 바티칸이 추문에 휩싸이자 개혁파인 베르고글리오 추기경을 불...

  • 교양 기타

    "사회를 통제하는 힘, 물리력·부(富)에서 지식으로 이동"

    “지식의 장악이야말로 인류의 모든 조직체에서 전개될 전 세계적 권력투쟁에서 핵심 문제다. 앞으로의 권력투쟁은 더욱더 지식의 배분과 접근기회를 둘러싼 투쟁으로 바뀌어갈 것이다.” 미래학자 앨빈 토플러(1928~2016)가 1990년 펴낸 《권력이동》은 《미래쇼크》(1970년), 《제3의 물결》(1980년)에 이은 미래학 3부작의 완결편이다. 10년 주기로 출간한 세 책에서 ‘변화’를 공통 주제로 삼으면...

  • 대학 생글이 통신

    대학마다 학생 보는 관점의 차이 커…평가기준에 잘 맞추세요

    안녕하세요. 대전과학고를 졸업해 고려대학교 산업경영공학부로 진학한 최정찬 생글기자입니다. 고등학교 3학년이 되고 원서를 준비할 기간이 되면서 어떻게 준비해야 할지 몰라 막막한 느낌을 많이 받았습니다. 그래서 대입과 대입 전략에 대해 많이 생각했고 고3을 비롯한 고등학생들에게 도움이 될 것 같아 이 글을 쓰게 되었습니다. 적성과 흥미 고려한 대입전략 세워야 어느 문제에서나 그렇듯이, 대입에서도 가장 중심이 되는 전략은 “지피지기면 ...

  • 대학 생글이 통신

    학생부종합, 내신 걱정보다 어떻게 해야 합격할지 고민하세요

    “면접 준비해야 하는데 학원 다녀야 할까요? 내신이 좋지 않은데 OO대학교에 지원해도 될까요?” 치열하게 입시 전쟁을 치르고 있는 후배들에게 가장 많이 듣는 물음 중 하나입니다. 저도 고등학생 때 똑같은 궁금증을 가지고 있었기에 이것이 정말 고민되는 걱정거리임을 알고 있습니다. 언뜻 보면 어려운 문제이긴 하지만, 사실 모든 질문에 대한 답은 학생들의 마음가짐 속에 정해져 있다고 생각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저 스스로 가졌던...

  • 진학 길잡이 기타

    의약학계열 가고 싶은데…내신 불리하면 논술전형도 있다

    수시 논술전형은 내신의 영향력이 미미해 내신 성적이 안 좋은 학생에게도 기회가 될 수 있다. 특히 의약학계열 학과의 논술전형은 매해 최고 경쟁률이 수백 대 1을 기록할 정도로 관심이 뜨겁다. 지난해 인하대 의예과 논술전형은 경쟁률이 무려 487.8 대 1(10명 모집에 4878명 지원)까지 치솟았다. 2022학년도 의약학계열 논술전형에 관해 알아보고 대비 전략을 소개한다. 의약학계열 논술전형으로 259명 선발…전체 선발 규모의 4...

  • 진학 길잡이 기타

    논제의 확장과 추론의 일반화

    수리논술 문제는 대개 몇 개의 소문항이 모여 제시문 한 세트를 구성하게 되는데 처음 제시되는 1~2개의 소문항은 비교적 쉽고 자명하게 이해되는 내용으로 출제된다. 예를 들어 숫자 1, 2, 3, 4, 5, 3, 3, 3이 주어졌을 때 전체 숫자의 평균이 3임은 자명하다. 왜냐하면 1, 2, 3, 4, 5의 평균이 3이고 여기에 3을 계속 나열한 것이기 때문이다. 그런데 이 쉽고 자명한 처음 소문항의 아이디어가 후반부 고난도 문항을 해결하는 결정...

  •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몽룡과 춘향은 몇 살에 만났나?

    절기상으로는 어느새 봄비가 내린다는 우수도 지나고 경칩(3월 5일)을 앞두고 있다. 하지만 우리네 풍습으로는 여전히 새해다. 불과 열흘 전에 음력으로 정월 초하루인 설을 쇠었고, 며칠 뒤면 열닷새 즉 ‘보름날’이다. 새해 첫 보름달은 연중 가장 크고 밝게 뜬다고 해서 예부터 특히 ‘대보름’이라고 했다. 지금은 ‘대보름(날)’이라고 하면 ‘음력 정월 보름날을 명절로 이르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