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키워드 시사경제

    ○○그룹이 돈 없다고?…주가 뒤흔든 '지라시'

    “롯데그룹이 12월 초 모라토리엄(지급유예)을 선언하고 전체 직원을 50% 이상 감원할 것이다.” 지난달 18일 이런 내용의 ‘유동성 위기설’이 소셜미디어로 퍼지자 롯데지주(-6.59%), 롯데케미칼(-10.22%), 롯데쇼핑(-6.6%) 등 롯데그룹 계열사 주가가 일제히 급락했다. 롯데는 사흘 뒤 “유동성에 문제가 없다”며 그룹의 자금 사정을 속속들이 밝힌 설명 자료를 언론에 ...

  • 임재관의 인문 논술 강의노트

    기능론 vs 갈등론…사회 보는 관점 따라 갈려

    차별과 갈등은 사회현상의 한 종류입니다. 이러한 사회문화 현상을 보는 관점은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그중에서 사회를 하나의 살아 있는 유기체와 같다는 관점이 존재합니다. 이를 기능론이라고 하지요. 유기체(생명체)의 내부에 있는 모든 요소는 기능의 차이는 있으나 모두 생명체를 유지하기 위해 존재하는데, 사회를 이와 같다고 생각하는 관점이기 때문입니다. 사회의 다양한 부분이 사회 전체의 존속과 통합을 위해 상호 연관되어 있으므로, 각 부분의 조화와...

  • 대학 생글이 통신

    고교 시절의 작은 경험도 미래엔 큰 자산

    수능을 치른 고등학교 3학년 학생들은 지금쯤 정시 지원을 준비하며 바쁜 시간을 보내고 있을 것입니다. 어쩌면 여러분의 미래를 결정지을 수도 있는 중요한 시기라고 할 수 있습니다. 시각을 좀 달리하면 수험 생활 내내 맛볼 수 없었던 약간의 여유를 가질 수 있는 시간이기도 합니다. 단지 대학입시라는 좁은 틀을 넘어 보다 넓은 시각에서 자신의 미래를 생각해볼 기회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저는 고등학생 시절 탄소중립을 주제로 한 캠페인 영상을 제작한...

  • 생글기자

    체코와 원전 협력, 산업·경제 전 분야로 확대해야

    최근 한국이 24조원 규모의 체코 원자력발전소 건설 사업의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됐다. 지난달에는 원전 건설 사업을 발주한 체코 신규 원전 협상단이 2주간 한국을 방문해 한국수력원자력 본사와 울산 새울 원전, 창원 두산에너빌리티 공장 등을 둘러보고 한수원과 협상한 후 돌아갔다. 체코는 원전 건설을 통해 에너지 안보를 강화하고, 탄소 배출을 줄이며 지속 가능한 에너지원을 확보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한국은 원전 건설과 운영에 풍부한 경험을 ...

  • 농산물 가격에 숨은 비밀

    주니어 생글생글 제138호는 농산물 가격이 급등락하는 이유를 커버스토리 주제로 다뤘다. 농산물은 날씨에 따라 생산량이 큰 폭으로 변동한다. 반면 수요는 비교적 일정하게 유지된다. 이런 특성 때문에 농산물은 다른 재화에 비해 가격이 급등락을 거듭한다는 점을 설명했다. 가격탄력성 개념에 대해서도 정리했다. 꿈을 이룬 사람들에선 바닷가에서 서퍼들이 신던 신발을 세계적인 부츠로 탈바꿈시킨 브라이언 스미스 어그 창업자를 소개했다.

  • 테샛으로 수능 경제 정복

    제873호 생글생글은 2025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경제 문제를 분석했다. 이번 수능 경제 과목에선 한국경제신문이 주관하는 국가 공인 경제이해력 시험 테샛 기출문제와 비슷한 문제가 다수 출제됐다. 수능 경제 문제와 비슷한 유형의 테샛 기출문제를 비교, 분석하고 풀이 방법을 설명했다. 대입 전략에서는 수능 가채점 결과를 바탕으로 전국 의과대학과 주요 대학의 정시 지원 가능 점수를 분석했다. 주요 10개 대학의 지원 가능 점수대는 인문계 245점,...

  • 커버스토리

    '수능 경제' 어렵다고?…테샛이면 정복 가능

    2025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이 작년보다 쉬웠다고 하지만, 탐구영역은 그렇지 않았습니다. 사회탐구의 경우 ‘생활과 윤리’ ‘윤리와 사상’ 등이 어렵게 출제됐는데요, 이들 과목의 표준점수 최고점이 ‘경제’보다 높게 나올 수 있다는군요. 과학을 피해 사회탐구를 선택한 이공계 지망 학생들이 적잖이 당황했다는 후문입니다. 그렇다면 일정한 변별력을 매년 보여주는 과목을 선택하는 것도 방법입...

  • 대학 생글이 통신

    예비 고3, 방학이 수학 성적 올릴 마지막 기회

    지난 14일 대학수학능력시험이 있었습니다. 고등학교 3학년 학생들은 오랫동안 준비해온 수능을 끝내고 약간의 해방감을 맛봤을 것입니다. 반면 이제 고3이 되는 학생들은 이제부터 진짜 수험 생활의 시작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새로운 출발선에서 어떻게 시작해야 할지 고민하는 학생도 많을 것입니다. 그중에서도 적지 않은 학생이 어려움을 겪는 수학 공부에 대해 이야기해보려고 합니다. 고3 1월에 사설 인터넷 강의 수강권부터 끊는 학생이 많은데, 저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