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교양 기타

    소설의 제목

    제목이 좋은 소설은 내용이 궁금하게 만든다. 인상 좋은 사람에게 끌리는 것과 비슷한 이치다. 그 자체로 독자의 이목을 끈다면 절반은 성공한 제목이며 다 읽고 나서 작품에 딱 맞다 싶으면 온전히 성공한 제목이다. 제목에 집중하며 소설을 읽어 보자. ‘씬짜오, 씬짜오’(최은영, 2016년)의 화자인 ‘나’의 가족은 독일에 체류하던 시절 베트남 출신인 투이네 가족과 교류한다. 투이는 ‘나&rsq...

  •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아닌'과 '아니라'의 차이

    이동통신 3사가 지난 1일 세계 최초로 5세대(5G) 상용 전파를 송출하며 ‘5G 시대’ 개막을 알렸다. 한 회사는 곧바로 5G 첫 가입자를 선정해 발표하기도 했다. 언론에서도 앞다퉈 관련 보도를 쏟아냈다. 그중 주목할 만한 문구가 하나 있었다. ‘5G 1호 가입자는 사람 아닌 로봇.’ ‘아니라’ 써야 할 곳에 ‘아닌’ 남발해 기사에서도 십중팔구 이런 식의...

  • 테샛 공부합시다

    2018년 12월 특별추가시험 대비 시사·경제용어

    ●산타 랠리= 연말에 보너스가 집중되고 소비가 늘어나면서 기업의 매출이 증대돼 크리스마스를 전후한 연말과 신년 초에 주가가 강세를 보이는 현상을 뜻한다. ● 님트 현상= 정치인들이 자신의 임기 중에는 환경오염 시설물 설치, 연기금 개혁, 방사성 폐기물 처분장 건설 등 주민들에게 인기 없는 일을 하지 않으려는 현상이다. ● 긴축 발작= 미국의 양적완화 정책이 긴축으로 전환될 때 금융시장이 겪는 충격을 의미한다. ● 시카고학파= ...

  • 테샛 공부합시다

    신용평가사

    문제 국민이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에 납부하는 국세와 지방세를 합산한 규모가 경상 국내총생산(GDP)에서 차지하는 비율을 무엇이라 하는가? ① 한계세율 ② 조세부담률 ③ 국민부담률 ④ 사회보장부담률 ⑤ 등가세전수익률 해설 조세부담률이란 국민이 소득 중에서 얼마만큼을 세금으로 부담하느냐를 나타내주는 지표다. 국민총생산(GDP) 또는 국민소득에서 국민이 낸 세금(국세+지방세)이 차지하는 비중을 말한다. 조세부담률은 국민의 평균세율이라...

  • 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비육지탄 (脾 肉 之 嘆)

    ▶ 한자풀이 脾: 넓적다리 비 肉: 고기 육 之: 어조사 지 嘆: 탄식할 탄 꿈은 뜻대로만 펼쳐지지 않는다. 유비도 큰뜻을 품었지만 처지는 녹록지 않았다. 사실 제갈량 없는 유비는 조조보다 한 수 아래였다. 조조에게 쫓기던 유비가 형주지사 유포에게 수년간 몸을 의지했다. 극진한 예로 환대하던 유포가 하루는 연회에 유비를 초대했다. 한데 연회장 화장실에서 무심코 자신의 넓적다리를 본 유비는 마음이 무거웠다. 오랜 세월 놀고먹기만 한 탓에...

  • 학습 길잡이 기타

    고1 11월 모의고사에 나온 주요 어휘들

    Imagine that your body is a battery and the more energy this battery can store, the more energy you will be able to have within a day. Every night when you sleep, this battery is recharged with as much energy as you spent during the previous day. If ...

  • 진학 길잡이 기타

    겨울 방학은 준비의 시기…자기학습이 중요해요

    역대급 불수능을 넘어 마그마수능이라는 2019학년도 수능 성적표가 배부되고, 수시전형의 논술, 면접시험이 모두 끝났다. 수시전형의 합격자 발표가 나고 있고 곧 정시 원서 접수도 시작된다. 2019학년도 수험생들에게 입시는 끝이겠으나 현 중학교 3학년부터 고등학교 2학년 학생들은 이제 시작이다. 학생들에게 방학은 쉼과 재충전의 시기라기보다 본격적인 입시를 향해 정진하는 치열한 시기다. 예비 고1은 국영수 기본기 탄탄히 해야 언젠가 상담을 했던...

  • 진학 길잡이 기타

    의대 정시는 전년보다 155명 늘고 면접은 강화돼요

    올해는 의사를 꿈꾸는 학생들에게 의대지원의 큰 기회라고 볼 수 있다. 이번 호는 의대 지원시 정시전략에 대해 알아본다. 1) 의대 모집 정원이 늘었어요 올해는 대학원과정으로 되어 있는 의학전문대학원(‘의전원’)에서 학부과정인 의대로 전환하는 마지막 해이다. 의대선발인원은 수시 및 정시를 포함하여 2927명이고, 정시만 보면 2016학년도 1022명, 2017학년도 1048명, 2018학년도 941명, 올해 2019학년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