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진학 길잡이 기타

    제시문이 주어지는 면접에선 '전공 적합성' 입증해야

    서울대의 제시문 기반 면접과 주요 사립대의 제시문 기반 심층면접은 학생의 전공 적합성과 대학에서의 수학 역량을 종합적으로 평가하는 데 좋은 도구다. 제시문을 독해하고 문제 해결 과정 또는 답변 과정에서 학생의 진면목을 확인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번 호는 면접 대비 전략포인트 중에서 <서울대(주요 사립대) 제시문 기반 면접 대비 전략>에 관해 설명한다. 1. 서울대(주요 사립대) 제시문 기반 면접 1) 서울대 일반전형은 제시문과 ...

  • 진로 길잡이 기타

    한경금융NCS시험으로 금융업체 취업 준비를

    제13회 한경금융NCS시험이 오는 11월 23일 치러진다. 응시 신청은 이달 14일까지다. 홈페이지에서 접수한다. 금융NCS는 크게 ‘직무수행능력 영역’과 ‘직업기초능력 영역’으로 나뉜다. 이 중 직무수행능력 시험은 50문제를 70분 동안 풀도록 설계됐다. 시험 범위는 창구사무, 카드영업, PB영업 3개다. 직업기초능력 시험은 70문제를 100분 동안 푸는 과정이다. 이 두 개 시험은 같은 시간대에 동...

  • 테샛 공부합시다

    11월에 여는 한경 캠프, 경제·경영학 세계로 초대합니다!

    제33회 한경TESAT 고교 경제·경영 리더스 캠프가 오는 11월 2일(토) 서울 연세대 백양누리 최영홀에서 열린다. 한국경제신문사가 주최하는 한경TESAT 경제·경영 리더스 캠프는 상경계 대학 진학을 꿈꾸는 고교생에게 경제학과 경영학이 무엇인지, 기업가란 누구인지, 경제학과 경영학의 차이는 무엇인지, 경제·경영학 중 어느 학과가 자기 적성과 잘 맞는지를 배우고 가늠해보는 기회를 제공한다. 캠프에서는 유명...

  • 커버스토리

    올 경제학상은 '빈곤 퇴치' 연구한 바네르지 등 3명 공동수상

    올해 노벨경제학상은 아브히지트 바네르지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경제학과 교수(58), 에스테르 뒤플로 MIT 경제학과 교수(47), 마이클 크레이머 하버드대 경제학과 교수(55) 등 세 명이 공동 수상했다. 세 교수는 개발도상국 빈민가 곳곳을 누비며 가난과 빈곤에서 빠져나오기 위한 해법을 찾는 데 골몰했다. 새로운 연구 방식을 도입해 개발경제학의 지평을 넓혔고 이를 인정받아 노벨경제학상을 받았다. 뒤플로, 역대 최연소이자 두 번째 여성 ...

  • 숫자로 읽는 세상

    서울 주요 10개大 불법체류 유학생 2년새 5배 급증

    서울 주요 대학의 외국인 유학생이 불법체류자가 되는 사례가 늘어나고 있다. 재정난에 시달리는 대학들이 무분별하게 외국인 유학생을 유치한 뒤 학생 관리를 소홀히 해 벌어진 일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국회 교육위원회 위원장인 이찬열 바른미래당 의원이 지난 10일 교육부로부터 제출받은 ‘주요 대학 불법체류자 현황’ 자료에 따르면 서울대와 고려대 등 서울 주요 10개 대학의 불법체류 외국인 유학생 수가 매년 늘어나고 있는 것으로 ...

  • 숫자로 읽는 세상

    대통령도 폐지 지시한 '공인인증' 발급 오히려 크게 늘어

    공인인증서 발급 건수가 오히려 늘어나고 있다. 공인인증서는 박근혜 전 대통령에 이어 문재인 대통령도 폐지를 지시한 ‘적폐’지만 발급 건수가 지난해 말 4000만 건(누적)을 넘어섰다. 정부가 보안을 이유로 주민등록번호에 기반한 공인인증서를 고집하고 있기 때문이다. 지난 11일 한국인터넷진흥원이 박광온 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에게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공인인증서 발급 건수는 2015년 3387만 건에서 지난해 4013만 건으로...

  • 디지털 이코노미

    ICT가 선도하는 세계화로 산업 경쟁의 개념도 달라져요

    ‘경쟁’이라는 단어는 때로 경주와 동의어로 사용된다. 경쟁은 반드시 상대방을 이겨야 하는 과정처럼 느낀다. 경쟁에는 반드시 승자와 패자가 있게 마련이고, 나에게 유리해졌다면 너에게는 불리한 결과를 초래하는 행위라고 여긴다. 즉, 경쟁의 결과가 상대적이라고 생각한다. 하지만 달리기의 목적이 누군가보다 빨리 달리기 위함이 아니라 살을 빼기 위해서라면 함께 달리는 사람 모두가 승자가 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결과는 상대적이기보다...

  • 경제 기타

    노년에도 노동을 통해 얻는 성취감·보람·자아실현…'건강해서 일한다'보다 '일하니까 건강하다'인 거죠

    ‘음악의 아버지’라고 하면 흔히 바흐를 말하고, ‘근대 물리학의 아버지’라고 하면 보통 아이작 뉴턴을 떠올린다. 그리고 ‘경영학의 아버지’로는 미국의 경영학자이자 작가인 피터 드러커가 언급된다. 한평생 연구와 집필 활동을 쉬지 않았던 드러커는 경영 서적만 해도 30권 넘게 저술하는 등 다작을 했다. 어느 날 한 기자가 드러커에게 자신의 숱한 저서 중 어느 것을 최고로 여기는지 물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