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험 전략
-
대학 생글이 통신
마지막 3일, 침착한 마음가짐이 가장 중요해요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이 3일 남았습니다. 수험생 여러분에겐 오지 않을 것 같은 날이 오고 만 느낌일 것입니다. 더 이상의 연습 없이 실전을 앞둔 지금, 남은 시간을 어떻게 보내야 할까요?우선 수능 시간표와 똑같은 상황에서 모의고사를 연습해봐야 합니다. 저는 수능 2~3주 전부터 그렇게 했는데요, 국어·수학·영어·탐구·한국사·제2외국어까지 매 순간 실전이라 생각하며 문제를 풀다 보면 실제 수능에서도 할 수 있다는 자신감이 생깁니다. 만약 시간이 부족했다면 어느 부분에서 시간을 많이 잡아먹었는지 이유를 분석해 다음 날 연습에서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연습으로만 끝나서는 안 됩니다. 시험 결과와 등급을 산출해보고 틀린 문제는 오답 이유를 정확히 분석해야 합니다. 시간 안에 풀지 못한 문제가 있다면 다시 한번 천천히 풀어보고 키포인트를 체크해야 합니다.차분하고 안정된 마음가짐을 갖는 것도 중요합니다. 모의고사나 사설 시험을 치르다 보면 결과가 좋지 않을 때가 있습니다. 물론 기분이 다운될 수 있지만, 지금 시점에서 지나친 감정 소모는 독이 될 뿐입니다. 빨리 털고 일어나 오답을 분석하고 다음에 비슷한 문제가 나오면 틀리지 말아야겠다고 다짐하고 끝내면 됩니다. 한번 절망적인 기분에 휩싸이면 무기력함이 시험 당일까지 이어질 수 있으니, 침착함을 잃지 말고 안정된 정신 자세로 실전에 임해야 합니다.마지막으로 자신이 목표로 한 대학을 바라보며 의지를 잃지 말아야 합니다. 수능이 임박하면 ‘막판 스퍼트’를 한다며 무리하게 공부하는 학생이 많습니다. 그러나 이는 역효과를 낳기 쉽습니다. 목표로 정한 대
-
대학 생글이 통신
모의고사 성적 어떻게 해석해야 할까요?
예비 고1 학생들은 이제 곧 수능 모의고사를 치르게 됩니다. 예비 고2나 고3이라면 이미 익숙하겠지만, 아직은 모의고사가 낯설 학생들을 위해 모의고사 성적을 어떻게 해석해야 하는지 얘기해보겠습니다.먼저 원점수가 있습니다. 원점수는 만점 대비 몇 점을 맞았는지를 나타냅니다. 수능 국어와 수학, 영어는 100점 만점이고, 한국사와 탐구 영역은 50점이 만점입니다. 수학 원점수가 84점이라면 100점 만점에 84점을 맞은 것입니다. 원점수만으로는 내가 얼마나 좋은 성적을 냈는지 알 수 없습니다. 내 위치를 객관적으로 알기 위해서는 등급과 백분위를 봐야 합니다.이때 등급보다는 백분위에 더 무게를 두는 것이 좋습니다. 같은 4등급이라도 높은 4등급과 낮은 4등급은 차이가 큽니다. 내 등급은 보수적으로 판단할 필요가 있습니다. 높은 등급보다 낮은 등급에 가깝다면 낮은 등급을 내 등급으로 생각하라는 뜻입니다. 그리고 내가 목표로 하는 대학의 합격선과 비교해 등급을 얼마나 올려야 하는지 파악해야 합니다.원점수도 보수적으로 해석해야 합니다. 원점수 중에는 순전히 찍어서 맞힌 문제도 있을 것이고, 완전히 찍지는 않았더라도 소 뒷걸음질 치다 쥐 잡은 격으로 확실하지 않은 풀이 방법으로 정답을 구한 문제도 있을 것입니다. 이런 식으로 맞힌 문제는 점수에서 빼고 계산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이렇게 점수를 재구성하다 보면 처음 점수보다 떨어지는 경우가 훨씬 많습니다.오답 노트도 재구성한 점수를 기준으로 작성해야 합니다. 찍어서 맞힌 문제까지 합쳐서 틀린 문제들의 오답 원인을 분석하고 어떻게 풀어야 하는지 풀이 방법을 확실히 알아두라는 얘기입니다. 어디서부터 풀이가 막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