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口蜜腹劍 (구밀복검)

    ▶한자풀이 口: 입 구 蜜: 꿀 밀 腹: 배 복 劍: 칼 검 입에는 꿀을 바르고 배 속에는 칼을 품다 친한 척하면서 속으로 나쁜 마음을 품음 - 당나라 현종(玄宗)은 45년 치세의 초기에는 정치를 잘한 인물로 칭송받았으나 시간이 흐르면서 양귀비를 총애하며 주색에 빠져들기 시작했다. 이임보(李林甫)라는 간신이 있었는데, 환관(宦官)에게 뇌물을 바친 인연으로 왕비에 들러붙어 현종의 환심을 사 재상까지 됐다. 그는 황제의 비위만 맞추면서 절개가 곧은 신하의 충언이나 백성들의 간언(諫言)이 황제의 귀에 들어가지 못하게 했다. 한번은 비리를 탄핵하는 어사(御使)에게 이렇게 말했다. “폐하께서는 명군(名君)이시오. 그러니 우리 신하들이 무슨 말을 아뢸 필요가 있겠소. 저 궁전 앞에 서 있는 말을 보시오. 어사도 저렇게 잠자코 계시오. 만일 쓸데없는 말을 하면 가만두지 않겠소.” 그의 서슬이 퍼러니 설령 직언하려는 선비라 할지라도 황제에게 접근할 엄두조차 낼 수 없었다. 그가 야밤에 서재에서 장고하면 그다음 날은 예외 없이 누군가가 주살(誅殺)됐다. 이처럼 재상 지위 19년 동안 온갖 권세를 휘둘렀으나 현종은 눈치채지 못했다. 안녹산(安祿山)도 그의 술수가 두려워 반란을 일으키지 못했다. 뒤에서는 많은 선비가 그를 욕했다. “임보는 현명한 사람을 미워하고, 능력 있는 사람을 질투하고 억누르는 음험한 사람이다. 사람들이 그를 보고 ‘입에는 꿀이 있고 배에는 칼이 있다(口蜜腹劍)’고 말한다.” 에 나오는 얘기로, 구밀복검(口蜜腹劍)은 겉으로는 친한 척하면서 속으로는 나쁜 마음을 품고 있음을 이르는 말이다. 이임보가 죽자 양귀비의 일족인 양국충(楊國忠)이 재상이

  • 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敎學相長 (교학상장)

    ▶한자풀이敎: 가르칠 교  學: 배울 학  相: 서로 상  長: 성장할 장가르치고 배우면서서로가 성장한다는 뜻   -《예기(禮記)》중국의 오경(五經)은 유교의 대표적 다섯 개 경서로, 공자가 편찬 및 저술에 관계했다고 해 존중되는 《역경(易經)》 《서경(書經)》 《시경(詩經)》 《예기(禮記)》 《춘추(春秋)》를 가리킨다. 전통적인 중국 정신문화의 바탕을 보여주며 사서(四書: 논어·맹자·대학·중용)와 함께 한국의 사상과 학문에 미친 영향도 크다.《예기(禮記)》의 학기편에는 이런 말이 나온다.“좋은 안주도 먹어보지 않으면 그 맛을 알 수 없고, 참된 진리도 배우지 않으면 그 장점을 알 수 없다. 그러므로 배운 뒤에야 자신의 부족함을 알고, 가르친 후에야 비로소 어려움을 안다. 자신의 부족함을 알아야 스스로 반성하고, 어려움을 알아야 스스로 보강할 수 있다. 그러니 ‘가르치고 배우면서 함께 성장한다’(敎學相長).”교학상장(敎學相長)은 배우고 가르치면서 서로가 성장한다는 뜻이다. 가르침에도 배움이 있으니 교만하지 말라는 뜻도 담겨 있다. ‘벼는 익을수록 고개를 숙인다’는 우리 속담을 연상시킨다. 학문이 아무리 깊어도 가르치다 보면 자신의 부족함을 깨닫고 배우는 것이 적지 않다는 의미다.《논어(論語)》 자한(子罕) 편에 나오는 후생가외(後生可畏)도 함의가 비슷하다. 뒤에 오는 자는 젊고 기력이 왕성해 쉬지 않고 배우니 먼저 태어난 사람이 경계해야 한다는 뜻이다. 《서경(書經)》에 나오는 효학반(斅學半)도 교학상장과 뜻이 같다. 효반학은 은(殷)나라 고종(高宗) 때의 명재상 부열(傅說)이 한 말로 남에게 학문을 가르치는 일

  • 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結草報恩 (결초보은)

    ▶ 한자풀이結: 맺을 결  草: 풀 초  報: 갚을 보  恩: 은혜 은풀을 묶어 은혜를 갚는다죽어서도 은혜를 잊지 않음           - 《춘추좌씨전》춘추시대 진나라(晉)의 대부 위무(魏武)에게는 첩이 한 명 있었다. 어느 날 그가 병으로 몸져누웠는데, 아들 위과(魏顆)에게 당부했다.“내가 죽으면 저 여자를 다른 사람에게 개가(改嫁)시켜라.”하지만 병이 더 심해져 죽기 직전에는 “내가 죽으면 저 여자를 순장(殉葬)시켜라”고 유언했다. 위과는 아버지가 정신이 있을 때 한 당부가 진심이라고 생각해 서모(庶母)를 개가시켜 순사(殉死)를 면하게 했다.후에 진나라(晉)와 진나라(秦) 사이에 전쟁이 일어나 위과는 전쟁에 나갔다. 위과가 진(秦)의 두회(杜回)와 싸우다 위태로운 상황에 몰렸는데, 바로 그 급박한 순간에 두회가 풀에 걸려 넘어져 위과는 그를 사로잡아 뜻밖에도 큰 공을 세웠다. 그날 밤, 위과의 꿈속에 한 노인이 나타나서 말했다.“나는 그대가 출가(出家)시켜 준 여인의 아비요. 그대는 아버님이 제정신일 때의 유언을 받들어 내 딸을 출가시켜 주었소. 그때 이후로 나는 그대에게 보답할 길을 찾았는데 이제야 그 은혜를 갚은 것이오.”첩의 아버지 혼령이 풀을 엮어 두회를 넘어지게 함으로써 딸의 은혜를 갚은 것이다. 《춘추좌씨전》에 나오는 얘기로, 결초보은(結草報恩)은 풀을 묶어 은혜를 갚는다는 뜻으로 죽어서라도 은혜를 잊지 않음을 이르는 말이다. 은혜를 입은 마음이 뼈에 깊이 새겨져 잊히지 않는다는 각골난망(刻骨難忘)도 뜻이 같다. 백골난망(白骨難忘) 난망지은(難忘之恩) 난망지택(難忘之澤)도 같은 의미로 쓰인다.베푼 마음은 잊

  • 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要領不得(요령부득)

    ▶ 한자풀이要 : 구할 요領 : 옷깃 령不 : 아닐 부得 : 얻을 득사물의 중요한 부분을 잡을 수 없다는 뜻말이나 글의 목적 및 의미가 분명치 않음 -<사기(史記)> 등전한 7대 황제인 무제는 흉노족의 약탈에 시달렸다. 타개책을 놓고 고민하던 무제는 기원전 2세기 중반 흉노에게 쫓겨 농서에서 서쪽 사막으로 옮겨간 월지와 손잡고 흉노를 협공할 계획을 세웠다. 월지에 다녀올 사신으로는 장건이라는 관리가 꼽혔다.한데 장건은 농서를 벗어나자마자 흉노에게 잡혔고, 흉노에게 호감을 산 그는 장가도 들어 아들까지 낳고 그들과 함께 살았다. 늘 도망칠 기회를 엿보던 그는 10년이 지난 어느 날, 처자와 일행을 데리고 탈출해 월지의 궁에 도착했다. 장건은 왕을 알현하고 무제의 뜻을 전했다. 왕의 대답은 의외로 부정적이었다. “월지는 기름진 이 땅에서 평화롭게 살고 있소. 백성들도 옛 원한을 씻기 위한 전쟁은 원치 않을 것이오.”장건은 단념하지 않고 월지의 속국인 대하국까지 찾아가 월지를 움직이려고 했으나 허사였다. 이 일을 <사서>는 이렇게 적고 있다. “끝내 사명으로 하는 월지의 ‘요령을 얻지 못한 채(要領不得)’ 체류한 지 1년이 지나 귀국길에 올랐다.”요령부득은 ‘사물의 중요한 부분을 잡을 수 없다’는 뜻으로, 말이나 글 혹은 일처리 등이 분명치 않음을 일컫는다. 옛날에는 요령부득이 두 가지 다른 뜻으로 쓰였다. 하나는 ‘요령’의 ‘요’가 ‘허리 요(腰)’와 같은 뜻으로 쓰이는 경우인데, 이때의 요령부득은 제명에 죽지 못함을 이른다. 옛날에는 죄인을 사형에 처할 때 무거운 죄는 허리를 베고 가벼운 죄는 목을 베었다. 요는

  • 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遼東之豕(요동지시)

    ▶ 한자풀이遼 : 멀 요東 : 동녘 동之 : 갈 지豕 : 돼지 시요동 땅의 돼지라는 뜻으로하찮은 공을 자랑함을 비유 - <후한서(後漢書> 등후한(後漢) 건국 직후, 어양 태수 팽총(彭寵)이 논공행상에 불만을 품고 반란을 꾀하자 대장군 주부(朱浮)가 그를 꾸짖는 글을 보냈다.“그대는 이런 이야기를 들어 본 적이 있는가. 옛날에 요동 사람이 그의 돼지가 대가리가 흰 새끼를 낳자 이를 진귀하게 여겨 왕에게 바치려고 하동까지 갔더니, 그곳 돼지는 모두 대가리가 희므로 부끄러워 얼른 돌아갔다고 한다. 지금 조정에서 그대의 공을 논한다면 폐하의 개국에 공이 큰 군신 가운데 저 요동의 돼지에 불과함을 알 것이다.”팽총은 처음에 후한을 세운 광무제(光武帝) 유수(劉秀)가 반군을 토벌하기 위해 하북에 진을 치고 있을 때 보병 3000여 명을 이끌고 달려와 가세했다. 또 광무제가 옛 조나라의 도읍 한단을 포위 공격했을 때는 군량 보급의 중책을 맡아 차질 없이 임무를 수행했다. 이런 공을 인정받아 그는 좌명지신(佐命之臣: 천자를 도와 천하 평정의 대업을 이루게 한 공신)의 한 사람이 되었다. 그러나 팽총은 스스로 연왕(燕王)이라 일컫고 조정에 반기를 들었다가 2년 후 토벌당하고 말았다. <후한서> 등에 전해오는 얘기다.요동지시(遼東之豕)는 글자 그대로 ‘요동의 돼지’라는 뜻으로, 남이 보기에는 대단찮은 물건을 귀히 여기는 어리석은 태도를 일컫는다. 견문이 좁고 오만한 탓에 하찮은 공을 득의양양하여 으스대는 것을 비유한다. ‘자신의 공이 요동지시에 불과한 것도 모르고 입만 열면 공치사를 한다’는 식으로 쓰인다.군자는 바위만 한 공(功)을 조약돌만 하다 하고, 소인

  • 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移木之信(이목지신)

    ▶ 한자풀이移 : 옮길 이木 : 나무 목之 : 갈(어조사) 지信 : 믿을 신나무를 옮기기로 한 믿음이란 뜻으로약속을 지키는 신의와 신용을 일컬음 - <사기(史記)>상앙(商)은 전국시대 진나라 명재상으로 제자백가(諸子百家)의 한 사람으로 알려진 인물이다. 그는 법치주의를 바탕으로 한 부국강병책을 추진해 진나라가 천하를 통일하는 데 주춧돌을 놓은 정치가다. 그는 법의 제정과 시행에 매우 신중했는데, 한번은 법을 제정해 놓고도 즉시 공포하지 않고 뜸을 들였다. 그를 신임하던 효공이 그 까닭을 묻자 상앙이 답했다.“법을 세상에 내놓는 것이 능사가 아니라 백성이 조정을 믿고 잘 따라 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백성이 조정을 믿지 못해 법을 우습게 알면 무슨 의미가 있겠습니까. 저는 백성의 믿음을 어떻게 얻을까 그걸 고민하고 있습니다.”방안을 고심하던 상앙이 한 가지 생각을 냈다. 다음날 도성 남문 근처에 커다란 나무 기둥 하나를 세우고 그 옆에 방을 붙였다. “누구든지 이 기둥을 북문으로 옮겨 놓는 자에게는 십 금(十金)을 주겠노라.” 사람들의 반응은 시큰둥했다. 나무가 크고 무거워 보이기도 했거니와 그것을 옮긴들 상을 줄 것 같지 않았기 때문이다. 이튿날 상앙은 상금을 오십 금으로 올려 다시 방을 붙였다. 그러자 반응이 달라졌다. 혹시나 하는 마음에 힘 좀 쓰는 사람들이 달려들어 나무 기둥을 둘러매고 북문으로 옮겼고, 호기심이 생긴 사람들은 그 뒤를 따라갔다. 나무 기둥이 북문에 도착하자, 상앙은 약속대로 그 남자에게 오십 금을 내주었다. 그런 다음 법령을 공포하자 백성들은 조정을 믿고 법을 잘 지켰다.사마천이 쓴 사기(史記)의 상군열전(商君列傳)에 나

  • 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一鳴驚人(일명경인)

    ▶ 한자풀이一 : 한 일鳴 : 울 명驚 : 놀랄 경人 : 사람 인새가 한 번 울면 놀란다는 뜻으로한 번 시작하면 큰일을 함을 비유 - <사기(史記)>춘추전국시대 제(齊)나라 위왕(威王)은 30세가 채 안 된 젊은 나이에 즉위했다. 그는 국사를 팽개친 채 매일 주연을 벌였으며, 밤을 새우는 일 또한 잦았다. 조정에 나갈 즈음에야 겨우 잠자리에 들기도 했지만, 신하들은 서슬 퍼런 왕을 어쩌지 못했다. 이렇게 3년이 지나자 국정은 혼란스러웠고, 국경 분쟁도 생겨 나라 꼴은 안팎으로 엉망이 되어갔다. 뜻있는 신하들의 근심은 컸지만, 감히 왕에게 간(諫)할 엄두는 내지 못했다. 이때 대부(大夫) 순우곤이 왕을 배알하고 아뢰었다.“이 나라에는 큰 새가 한 마리 있습니다. 3년간 날지도 않고 울지도 않습니다. 왕께선 혹시 이 새가 무슨 새인지 아십니까?” 순우곤의 숨은 말뜻을 알아챈 왕이 말했다. “이 새가 비록 날지 않지만, 한 번 날면 하늘을 찌를 것이네. 또한 우는 법이 없지만, 한 번 울면 천하가 놀랄 것이네(此鳥不飛則已 一飛沖天 不鳴則已 一鳴驚人).” 왕의 뜻을 헤아린 순우곤이 물러나자 위왕은 술잔을 내던졌다.다음날 왕은 신하들과 함께 국내를 순시했다. 먼저 즉묵(卽墨)에 갔다. 논밭이 잘 경작되어 있었으며, 작황도 순조로워 백성의 얼굴이 여유로웠다. 왕은 즉묵의 대부를 불러, “이리 잘하는데도 그대를 비난하는 소리가 높은 것은 내 측근에게 뇌물을 보내지 않았기 때문일 것이다”라고 말하고 1만 호의 봉토를 내주었다. 다음에 간 아(阿)는 논밭이 황폐하고 백성의 얼굴 또한 어두웠다. 왕이 대부를 불러 꾸짖었다. “이런 지경인데도 그대를 칭찬하는 소리가 내 귀가 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