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생부
-
진학 길잡이 기타
연세대 논술 합격 20%는 인문 4.0, 자연 3.7등급 이하
대학입시에서 논술전형은 내신 성적이 낮은 학생들에겐 놓칠 수 없는 기회다. 논술전형에서 내신을 반영하더라도 등급 간 점수차가 크지 않아 내신이 끼치는 영향력은 미미한 편이다. 논술실력이 당락을 결정짓는 구조이기 때문에 내신 4~5등급대에서도 주요대에 합격하는 사례가 빈번하다. 내신 성적이 낮은 대부분의 학생들에겐 논술전형이 수시에서 주요대에 도전할 수 있는 유일한 기회인 셈이다.수도권 대학에 집중된 논술전형2021학년도 논술전형은 37개 대학에서 1만1162명을 모집한다. 전국 4년제 대학 전체로 봤을 때 선발 인원은 불과 3.2%에 불과하지만, 선발 인원 대부분이 수도권 대학에 집중돼 있다. 주요 10개 대학 중에서는 서울대와 고려대를 제외한 8개 대학에서 모두 실시하고, 서울권 소재 대학으로 넓혀보면 논술전형 모집 규모는 22개 대학 6979명에 달한다. 경기·인천 소재 대학 중엔 인하대 아주대 한양대(에리카) 등 10개 대학에서 2394명을 선발한다. 지방권 대학은 울산대 경북대 부산대 연세대(미래) 한국기술교대 등 5곳에서 1789명을 모집한다.대학별로 보면, 경북대가 772명으로 선발 인원이 가장 많고 그다음으로 중앙대(서울 705명), 부산대(533명), 성균관대(532명), 인하대(529명) 순으로 선발 인원이 많다.선발 방법은 연세대(서울), 연세대(미래), 건국대 등 3개 대학만 논술 100%로 선발하고 나머지 대학은 논술 성적과 학생부(교과 및 출결·봉사) 성적을 합산해 합격생을 가른다. 논술과 학생부를 모두 반영하는 대학 중 서강대 한양대(서울) 아주대 덕성여대가 학생부 반영 비중이 20%로 낮은 편이다. 반면 숭실대 울산대(의예) 경기대 단국대 등은 학생부 비중이 40%로 상대적으로 높
-
진학 길잡이 기타
입시전형은 최대한 간소하게 올해 수시 4개, 정시 2개 전형…학종은 100% 학생부로 선발
한양대학교를 설명하는 두 가지 키워드는 ‘실용학풍’과 ‘사랑의 실천’이다. 1939년 국내 최초 사립 공과대학으로 시작한 한양대는 ‘기술교육이 나라와 민족을 살리는 길’이라는 기술보국(技術保國) 정신을 강조해왔다. 실용학풍이 이어지면서 국내 대학 중 벤처기업 최고경영자(CEO) 배출 1위에 오르고 국내 대학 최초로 CES에 부스를 설치하는 등 명실상부 국내 최고의 창업 선도대학으로 손꼽히고 있다. 두 가지 가치를 고루 갖춘 ‘한양대 맞춤형’ 인재를 찾기 위해 노력하고 있는 정재찬 한양대 입학처장을 한양대에서 직접 만났다.▶한양대 입시의 가장 큰 특징은 무엇입니까.한양대는 ‘착한 입시’를 추구합니다. 착한 입시는 세 가지 의미입니다. 첫째, 학생들의 입시 피로감을 줄이기 위해 전형 요소를 최대한 간소화했습니다. 둘째, 입시 전형의 안정화를 추구해 갑작스러운 변화를 피하고 학교 현장과 신뢰를 구축하려 노력하고 있습니다. 셋째, 학생들의 불안감을 해소하기 위해 최대한 많은 정보를 공개합니다.▶전형 요소를 최대한 간소화한다는 건 어떤 뜻입니까.입시 전형의 수뿐 아니라 각 전형에서 평가하는 요소까지 줄였다는 뜻입니다. 한양대는 올해 수시 4개 전형, 정시 2개 전형을 실시합니다. 이 중에서 수시는 수능최저학력 기준을 전혀 요구하지 않습니다. 학생부교과전형의 경우 100% 내신 성적만으로 평가합니다. 자기소개서, 교사추천서 같은 서류나 면접 전형도 없습니다.▶학생부종합전형이 스펙 경쟁을 초래한다는 우려도 있습니다.한양대의 학생부종합전형은 100% 학생부만으로 선발합니다. 교육부의 방침에 따라 학생부에 외부수상 경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