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경제 기타

    혁신을 거듭하는 AI, 어디까지 발전할까

    수능에서는 그동안 인공지능(AI) 관련 문제가 제대로 나오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수능은 시대 변화상을 반영하는 만큼 관련 내용이 언제든 출제될 수 있습니다. AI의 역사, 기술적 개념, 의미 등에 대한 내용을 알고 있다면 실전에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수능에서는 기존에 출제되지 않은 생소한 개념이 등장할 땐 개념 설명 지문이 나오는 사례가 많습니다.수능 3등급 받은 AI특히 최근에는 챗GPT라 불리는 대화형 AI 챗봇이 등장해 산업계를 뒤흔들고 있습니다. 오픈AI라는 회사가 만든 AI인데요. 1조 개 단어가 포함된 1750억 개의 매개변수를 사용한다고 합니다. 올해 상반기 매개변수가 100조 개인 차기작도 나온다고 합니다. 이 AI는 단순히 대화만 할 수 있는 게 아닙니다. 어떤 정보를 간결한 문장으로 제시하고, 특정 개념을 설명합니다. 아이디어를 내거나 시를 짓기도 하고, 에세이까지 씁니다. 챗GPT에게 수능을 보게 했더니 3~4등급 수준이 나왔다는 실험도 있습니다. AI 기술의 특이점이 오고 있다는 이야기겠지요.AI의 역사AI는 1950년대부터 학계에서 논의됐지만, 본격적인 발전은 2006년 제프리 힌턴 교수가 딥러닝(deep learning) 알고리즘 개발에 성공하면서 시작됐습니다. 딥러닝은 컴퓨터 스스로 외부 정보를 조합, 분석해 학습하는 기능인데요. 명령어를 분석해 결과를 도출해내던 기존 기계적 방법에서 나아가 컴퓨터 스스로 정보를 찾고 이해할 수 있는 단계입니다.2014년 AI 연구원인 이언 굿펠로는 GAN(Generative Adversarial Network)이란 방식의 딥러닝 방법을 발명해 또 한번의 혁신을 이뤄냅니다. 생성적 적대 신경망이라 불리는 이 방식은 특정 이미지를 생성하는 모델과 이 모델에서 만든 이미지를 판별하는 모

  • 경제 기타

    기업의 채권 상환 능력 10개 등급으로 구분

    올 하반기 신용도가 하락한 기업이 상승한 기업보다 세 배 가까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건설, 철강, 유통 등 대부분 업종에서 기업 신용도가 흔들리고 있다. 금리 인상, 경기 침체, 인플레이션 등 악화한 경영 환경이 본격적으로 기업 실적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면서 신용등급 ‘줄강등’이 가시화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27일 한국경제신문이 한국기업평가 한국신용평가 나이스신용평가 등 국내 3대 신용평가사의 올 하반기 신용등급 정기평가를 분석한 결과 이달 들어 신용도가 하락한 기업은 14곳(장기 등급 기준, 중복 제외)에 달했다. 신용도가 오른 기업은 5곳에 그쳤다. (중략)내년에는 신용등급 하향 조정 기업이 더 증가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경영 환경 악화가 저조한 기업 실적으로 이어질 것이기 때문이다. 신용도가 떨어지면 기업들의 자금 조달 비용이 증가하고 유동성 악화로 이어질 수 있다.- 2022년 12월 28일자 한국경제신문 기사 -기업 신용등급이 떨어지고 있다는 내용의 기사입니다. 대체 신용등급이 무엇이고, 기업 신용등급이 떨어지면 어떤 일이 벌어지는 걸까요?기업의 신용등급이란 신용평가사가 기업이 채권시장에서 돈을 빌렸다가 갚지 못할 가능성을 평가해서 등급을 매긴 겁니다. 세계적으로는 무디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피치가 3대 신용평가사로 꼽힙니다. 국내에선 한국기업평가, 한국신용평가, 나이스신용평가가 시장을 과점하고 있습니다.기업 신용등급은 크게 10개 등급으로 구분합니다. 가장 높은 등급은 AAA, 다음이 AA, A로 넘어가는 식입니다. 이렇게 A부터 C까지 9개 등급으로 기업을 줄 세우고, 가장 위험하다고 생각되는 기업에는 D등급을 부여합니

  • 경제 기타

    첨단 로봇은 필연적…일자리 등 논쟁도 커질듯

    초창기 로봇들은 운반이나 부품 조립과 같은 작업을 수행함으로써 인간이 해야 할 일들을 대신해 주었습니다.<중략>향후에 기술 발전에 따른 로봇의 상용화가 가속화될 것이며 그로 인해 우리는 보다 많은 시간적 여유와 삶의 혜택을 누리게 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2016학년도 9월 국어 모의평가 3~5번 지문 -수능이나 평가원 모의고사에 로봇 관련 지문이 심심찮게 등장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2022 수능 9월 모의평가 영어 37번 지문도 서비스용 로봇과 관련한 내용이 나왔죠. 로봇에 대한 보다 깊은 내용이 수능 지문으로 출제되더라도 이상할 게 전혀 없습니다. 수능에 로봇 지문이 나온다면 크게 로봇의 기술에 대한 설명이나 로봇을 둘러싼 일자리 논쟁 등을 다루게 될 것입니다.인간을 닮은 로봇, 휴머노이드가 세상에 등장한 건 2000년입니다. 일본 혼다가 발표한 ‘아시모’였죠. 한국도 이에 질세라 KAIST가 2004년 ‘휴보’를 시장에 내놓습니다. 로봇이 우리 삶을 바꿀 것이라는 기대가 부풀었지만 그 이후 18년이 지났습니다. 큰 변화는 없는 듯했죠. 하지만 최근 들어 다시 로봇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습니다. 무엇이 달라진 것일까요?우선 로봇이 어떻게 나뉘는지부터 알아야 합니다. 로봇은 크게 산업용 로봇과 서비스용 로봇으로 나뉩니다. 산업용 로봇은 다시 기존 산업용 로봇과 협동 로봇으로 나뉘어요. 기존 산업용 로봇은 분리된 위치에서 한정된 역할을 합니다. 과자를 상자에 담는 로봇을 떠올리면 됩니다. 협동 로봇은 인간과 함께 일하는 산업용 로봇입니다. 기존 산업용 로봇이 제조업 중심이라면 협동 로봇은 의료, 서비스 영역으로 사용 범위가 넓어지죠. 산업용 로봇 내

  • 기업이 한 해 수익을 주주들에게 나눠주는 돈이죠

    금융당국이 미국 등 선진국처럼 배당금 규모를 먼저 정하고 나중에 배당금을 받을 주주를 확정하는 방식으로 국내 배당 제도 개편을 추진한다.(중략)현재 상장사 대부분인 12월 결산법인은 연말에 주주명부를 폐쇄해 배당받을 주주를 정한 다음 이듬해 2~3월 이사회·주주총회에서 배당금을 확정해 약 한 달간의 시차를 두고 지급한다. 개인투자자는 실제 배당금이 얼마인지 모르는 ‘깜깜이’ 상태에서 연말에 주식을 사야 해 배당 투자의 예측 가능성이 떨어진다는 지적이 많았다.미국 독일 영국 프랑스 등 주요 선진국은 이사회·주총에서 배당금을 확정한 뒤 배당받을 주주를 결정한다. 세계 최대 지수 산출기관인 모건스탠리캐피털인터내셔널(MSCI)은 한국을 선진지수에 편입하지 않는 이유 중 하나로 불투명한 배당 제도를 꼽았다. - 2022년 11월 24일자 한국경제신문 기사 - 국내 상장사들이 배당 주는 방법을 바꾼다는 내용의 기사입니다. 배당은 기업이 한 해 동안 벌어들인 이익을 주주들에게 주식 수에 따라 나눠주는 걸 말합니다. 우리나라 상장사들은 연말에 배당받을 사람을 먼저 정합니다. 방식은 이렇습니다. 연말에 하루를 정해 이날에 주식을 가지고 있는 사람이 배당받을 수 있다고 명단을 정하는 겁니다. 이걸 주주명부 폐쇄라고 합니다.배당받을 사람을 정한 다음 배당 규모를 정합니다. 배당 규모는 이듬해 3월께 열리는 주총에서 정합니다. 이렇게 정한 배당금을 한 달 뒤쯤 주주들에게 나눠줍니다. 연말에 배당주에 투자해도 실제 배당을 받는 건 이듬해 4월께나 돼야 하는 겁니다.그러면 연말에 얼마큼 배당받을지 알고 배당주에 투자하는 거냐고요? 그건 알 수 없습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