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무역
-
테샛 공부합시다
국가간 필요한 것 교환하면 서로 이득이죠
대형마트에 가 보면 지구촌 곳곳에서 들어온 상품이 진열된 모습을 볼 수 있죠. 다양한 상품을 선택할 수 있는 것은 바로 다른 나라와 필요한 것을 ‘교환’한다는 국제무역의 기본 원리가 지켜지기 때문이지요. 그렇다면 의문점이 생길 수 있습니다. 무역은 어떻게 발생하는 것일까?스미스와 리카도가 주장한 것은?이를 처음 설명한 사람은 ‘경제학의 아버지’라고 불리는 영국의 애덤 스미스입니다. 그는 절대적으로 생산비가 낮은 재화를 만들어 교환하면 이익이 된다는 ‘절대우위론’을 주장했지요. 하지만 애덤 스미스의 절대우위론은 치명적 약점이 있었습니다. 두 나라를 가정할 때, 한 나라가 모든 제품을 싸게 생산할 수 있다면 교역이 이루어질 수 있는가에 대한 질문에는 명쾌한 답을 제시하지 못했죠.그래서 영국의 경제학자 데이비드 리카도는 한 국가가 다른 국가보다 상품 생산에 절대 열위에 있더라도 ‘기회비용’이 상대적으로 낮은 재화를 생산해 교환하면 두 국가 모두 이익을 본다는 ‘비교우위론’을 주장했습니다. 비교우위론에는 △노동이 유일한 생산요소 △모든 노동의 질은 동일 △국가 간 생산요소의 이동 불가 △재화 1단위를 생산하는 데 필요한 노동량은 재화의 생산량과 상관없이 일정하다는 가정이 있습니다.헤크셰르-올린 정리와 관련한 이론들하지만 비교우위론은 제품 생산에 대한 노동생산성 차이로 상대가격(기회비용) 차이가 발생하지만, 왜 국가별로 노동생산성 차이가 나는지의 근본적 질문에는 답을 하지 못했지요. 노동만이 유일한 생산요소라고 가정한 것도 현실과 맞지 않았죠.스웨덴의 경제학자 헤크셰르와 올린은 ‘헤
-
국가공인 경제이해력 검증시험 맛보기
부정적 징후
[문제] 국가 신인도가 하락하는 부정적 징후를 <보기>에서 모두 고른다면?< 보 기 >ㄱ. 외국환평형기금채권의 가산금리가 상승했다.ㄴ. 신용부도스와프(CDS) 프리미엄이 상승했다.ㄷ. 국제신용평가사가 평가한 국가신용등급이 상승했다.① ㄱ ② ㄱ, ㄴ ③ ㄱ,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해설] 외국환평형기금채권(외평채)은 국내 통화의 대외 가치 안정을 위해 정부가 조성한 외국환평형기금의 재원을 조달하려고 정부가 지급 보증 형식으로 발행하는 채권이다. 외평채를 국제금융시장에서 발행할 때 기준금리에 발행 국가의 신용도를 고려해 가산금리가 붙는다. 가산금리는 한국의 대외 신용도가 좋다고 평가되면 내려가고, 반대의 경우에는 올라간다. 신용부도스와프(CDS)란 채권을 발행한 국가나 기업이 부도날 때 원금을 돌려받을 수 있는 금융 파생상품이다. 이때 부도 위험을 회피(헤지)하는 데 들어가는 보험료 성격의 수수료를 CDS 프리미엄이라고 한다. 채권을 발행한 국가의 신용위험도가 높을수록 CDS 프리미엄은 상승한다. 국가신용등급은 특정 국가에 대해 채무 불이행 가능성 등 국제금융시장에서 투자 위험도를 알려주는 지표다. 국가신용등급의 상승은 국가 신인도에 긍정적인 신호이다. 정답 ②[문제] 국제무역을 증가시키는 요인이 아닌 것은?① 유가의 하락 안정 ② 국제 가치사슬 강화③ 핀테크 기술의 발달 ④ 관세와 수입쿼터 철폐⑤ 무역 상대국 인플레이션의 높은 변동성[해설] 유가가 지속해서 하락한다면 재화를 수송하는 비용이 낮아지므로 국제무역이 증가하는 요인이 된다. 국제 가치사슬이 강화되면 생산을 위한 원자재 조달부터 소비에 이르기까지 국제적인 의존도가 높아
-
테샛 공부합시다
테샛 경제학 보호무역은 경기침체 유발…국제사회 협력해야
17세기 영국과 네덜란드가 해외 무역을 통해 성장하면서 프랑스는 위기를 느꼈습니다. 이에 대응하기 위해 루이 14세 시절 재상이었던 콜베르는 프랑스 제품을 많이 팔기 위해 수출을 장려하고, 외국 제품의 수입을 억제했죠. 이는 금·은의 유입을 늘려 정부 곳간을 부유하게 하고, 군대를 육성해 해외 식민지 개척을 가능하게 했습니다. 이런 정책을 ‘중상주의’라고 부릅니다. 그대로 해석하면 상업을 중시한다는 의미입니다. 궁극적인 목적은 국가의 부(富)를 늘리는 것이죠. 하지만 이는 주변 국가의 반발을 불러와 서로 수입을 억제하고, 수출을 늘리려는 제로섬 게임이 되었죠. 경제가 어려우면 이런 갈등은 빈번했습니다. 경제가 나빠지면 고개 드는 보호무역미국은 1929년 발생한 대공황으로 불황에 빠지게 되죠. 이때 미국은 스무트-홀리 관세법으로 외국 상품의 수입을 막습니다. 2만여 개의 수입상품에 높은 관세를 부과했죠. 미국이 이 같은 정책을 펼치자 세계 주요국도 마찬가지로 자국 이익을 지키기 위해 관세를 부과하는 이전투구식 무역 다툼이 발생합니다. 과도한 보호무역에 따른 무역 분쟁은 결국 두 번의 세계대전이 일어나게 된 하나의 요인이 되죠.세계대전 이후 세계 무역은 유례없는 호황을 누립니다. 하지만 1970년대 미국은 달러가치 하락과 경상수지 적자 누적으로 모든 수입품에 대해 10% 관세를 부과하는 등 다시 보호무역을 강화하는 모습을 보입니다. 게다가 오일쇼크가 더해져 세계 경제는 침체에 빠졌죠. 이쯤에서 공통점이 하나 있습니다. 국가 경제가 불황에 빠지면 자국 이익을 지키기 위해 보호무역을 강화한다는 점이죠. 하지만 결과는 전쟁이나 더 깊은 침
-
생글기자
세계화로 더 중요해지는 국제무역
‘우리나라 무역수지 흑자’ ‘수출 최대’ 등의 소식을 듣곤 한다. 뭔가 물건이 외국으로 이동하면서 얻어진 외화로 흑자가 생겼다는 얘기인 것 같은데 이 상황에서 가장 중심이 되는 단어이자 개념인 ‘무역’, 특히 국제무역은 정확히 무엇일까?우리나라가 북한에 비상식량과 쌀을 보내줬다고 가정해보자. 우리나라 물건이 북한으로 건너갔으니 거래가 발생하게 된다. 그러나 우리나라와 북한은 한 나라다. 한 나라 안에서 거래가 일어났으므로 ‘국내거래’가 발생한 것이다. 그런데 우리나라가 미국에 물건을 수출했다면? 또는 중국에서 상품을 사고 거래대금을 지급했다면 무슨 거래를 한 것일까. 국가 간 물품이 이동했으니 이를 ‘국제거래’라고 한다. 다른 말로 ‘무역’이라고도 한다. 좁은 의미의 무역은 상품, 제품 같은 눈에 보이는 유형재가 국가 간에서 거래되는 것이다. 넓은 의미로는 유형재뿐만 아니라 영화, 게임, 전자서적 등 눈에 보이지 않는 무체물까지 거래되는 것을 의미한다.무역을 통해 해외에서 원자재를 수입해오면 기업의 생산 원가는 절감된다. 싼 가격으로 물건의 원재료를 수입해왔으니 그만큼 생산하는 원래의 가격은 싸지게 된다. 그렇게 되면 소비자는 조금 더 좋은 품질의 상품 구매가 가능하고 저렴한 가격으로 물건을 구매할 수 있게 된다. 또 해외에 시장을 개척해 우리나라 물건을 외국에 판매할 수도 있으며 결국 이는 국가 경제가 활성화되는 데 도움을 준다.환율이 급격히 하락하게 돼 한국의 화폐가치가 상승하면 수출 상품의 경쟁력은 떨어진다. 그러면 수출이 감소하게 되고 반대로 수입상품의 가격은 하락해 수입이 증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