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대학 생글이 통신

    9월 모의고사, 약점 찾아 보완할 기회로 삼길…

    지난 3일 수시 원서 접수 전 마지막 모의고사인 9월 모의고사가 시행되었습니다. 9월 모의고사는 수시에 응시하는 학생과 정시를 노리는 학생 모두에게 원서 접수 전략의 중요한 기준이 되는 시험입니다. 수능을 겨우 두 달여 남긴 시점이기에 수험생들이 커다란 긴장 속에서 치르는 시험이기도 합니다.수능을 출제하는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주관의 9월 모의고사는 수능 전 마지막으로 보는 평가원 모의고사입니다. 이전까지 진행한 모의고사와 달리 9월 모의고사는 출제 범위가 수능 범위와 동일합니다. 문제 유형과 출제 범위가 수능과 같기 때문에 취약점을 파악하고 보완할 수 있는 기회로 삼기 좋습니다.또한 고등학교 재학생만 응시할 수 있는 3월, 4월, 7월, 10월 모의고사와 달리 6월과 9월 모의고사는 재수생을 비롯한 N수생도 참가합니다. 따라서 수능에 실제 응시할 인원과 비슷한 인원이 참가하는 9월 모의고사 성적을 통해 자기의 수능 등급과 점수를 점쳐볼 수 있습니다. 9월 모의고사 결과는 10월 초에 통보됩니다. 따라서 수시에 지원하는 학생, 특히 수능 최저학력기준이 있는 대학에 지원하는 수험생은 가채점 결과를 바탕으로 원서 전략을 세워야 합니다.수험생 여러분에게 전하고 싶은 이야기는 모의고사 결과에 지나치게 들뜨지도, 낙담하지도 말라는 것입니다. 모의고사는 어디까지나 모의고사기 때문입니다. 2025학년도 6월 모의고사 영어는 1등급 비율이 1.47%에 불과할 정도로 어려웠습니다. 그러나 수능 영어는 한결 쉽게 출제되었습니다. 또 2025학년도 9월 모의고사에서 생활과 윤리는 1등급 커트라인이 47점으로 쉬운 편이었으나, 수능에서는 1등급 커트라인이 41점으로 내려갔습니다. 난이도

  • 사진으로 보는 세상

    수능전 마지막 모의고사…"수험생 여러분, 화이팅!"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9월 모의평가가 실시됐다. 지난 3일 서울 금천구 금천고등학교에서 고3 학생들이 시험 준비를 하고 있다.  뉴스1

  • 대학 생글이 통신

    남의 시선, 혼란스러운 정보보다 내 공부 집중할 때

    9월 교육과정평가원 모의고사가 오는 6일 시행됩니다. 많은 입시 커뮤니티에서 모의고사가 끝나면 흔히 ‘9잘수망’(9월 모의고사를 잘 보면 수능을 망친다), ‘9망수잘’(9월 모의고사를 망치면 수능을 잘 친다) 등 다양한 입시 관련 얘기가 나오는데요, 궁금한 수험생이 많을 테니 결론부터 말씀드리겠습니다. 9월 모의고사 성적이 어떻게 나오든 이런 말들에 휩쓸려 ‘당장 내가 해야 할 게 무엇인가’에 집중하지 못한다면 수능에서 좋은 결과를 얻기 힘들 것입니다.정시를 준비하는 학생은 더욱 자기 자신을 믿는 것이 중요합니다. 주위 사람들이나 커뮤니티에서 떠도는 말을 믿거나 확실치 않은 정보로 혼란스러워하는 일은 없어야 합니다. 가장 중요한 것은 9월 모의고사에서 오답을 골랐다면 왜 그랬는지 이유를 확인하고, 시간이 부족했다면 모의고사를 치면서 한 모든 행동을 돌아보며 원인을 찾는 것입니다. 이를 통해 어떤 점을 보완하면 수능에서 좀 더 완벽해질 수 있을지 꼭 복기하고 연습해야 합니다.수능이 한 달 앞으로 다가오면 하루 생활의 루틴, 수능장에서의 행동 규칙 등을 만들어 자신의 바이오리듬과 맞춰보는 것도 고려해보길 권합니다. 제 경우를 예로 들어보겠습니다. 저는 수능 한 달 전부터 아침 기상 시간을 5시 30분으로 고정했고, 식사 및 세안 시간까지 맞춰 6시 15분이면 집을 나와 15분 정도 산책하며 공부하기 전 이것저것 생각을 정리해보는 시간을 보냈습니다.만약 재수는 절대 하지 않을 생각이고 수시 최저는 무조건 맞춰야 하는 학생이 9월 모의고사를 본 뒤에도 여전히 성적대에 편차가 있는 편이라면, 버릴 과목은 과감히 버리고 성적을 끌어올릴 수 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