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커버스토리

    美·中 정면충돌에 자유무역 위축·금융시장 혼란

    세계 경제 패권을 차지하기 위한 미국과 중국의 힘겨루기에 글로벌 경제가 휘청이고 있다. 미국, 중국, 일본 등 주요국은 물론 신흥국들도 주가와 환율이 급등락하는 등 불안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주요 경제기관들은 올해 전 세계와 주요국의 성장률 전망치를 앞다퉈 낮추고 있다. 중국과 미국에 대한 의존도가 큰 한국은 특히 타격이 심하다. 지난달 코스피지수는 7.3% 하락했고 원·달러 환율은 2년 만에 달러당 1200원대를 넘보고 있다. 원화 가치가 크게 떨어졌다는 얘기다. 앞으로가 더 문제다. 미국과 중국이 서로에 대한 고율 관세 부과를 더 늘리면 향후 2년간 세계 경제 성장률이 0.5% 떨어질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무역분쟁 확전에 금융시장 요동미·중 무역분쟁은 올초만 해도 진정되는 듯한 조짐을 보였다. 양국은 물밑에서 갈등을 풀기 위한 협상을 진행했고 서로에 대한 추가적인 공격은 하지 않았다. 상황이 급변한 건 지난달 10일.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이 협상에 진정성을 보이지 않는다”며 2000억달러어치 중국산 수입품에 대한 징벌적 관세를 5~10%에서 최대 25%까지 올리겠다고 선언했다. 중국도 물러서지 않았다. 지난 1일부터 600억달러 규모 미국산 수입품에 25% 보복 관세를 매겼다.무역분쟁이 잦아들 것이라고 기대했던 금융시장은 혼란에 빠졌다. 미국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다우존스, 나스닥 등 3대 주식 지수가 지난달 일제히 하락했다. 3대 지수가 동시에 하락한 건 올해 들어 처음이다. 중국 상하이종합지수도 5월 한 달간 5.8% 떨어졌다.신흥국은 더 타격이 컸다. 시장이 불안해지면 투자자들이 제일 먼저 파는 투자 상품이 신흥국 주식이다. 2월 1051.0, 3월 1058.1

  • 커버스토리

    12월 5일은 무역의 날, 대한민국 수출이 흔들린다는데

    오는 5일은 무역의 날이다. 1964년 무역 강국이 되겠다는 의지를 담아 지정했다. 우리나라는 내수 시장이 작기 때문에 수출과 무역을 잘해야 성장할 수 있다는 점을 일찌감치 인식했던 것이다. 처음 정할 때 이름은 수출의 날이었다. 수출이 1964년 11월30일 1억달러를 넘은 것을 기념해 정했다. 이후 수출은 1997년 100억달러를 돌파했고 1995년 1000억달러까지 넘어섰다. 2011년 12월5일 수출과 수입을 합한 무역 규모가 1조달러를 넘자 이름을 무역의 날로 고치고 날짜도 바꿨다.무역 강국의 꿈은 현실이 됐다. 현재 우리나라 수출은 세계 6위다. 프랑스, 영국, 캐나다, 러시아 등 쟁쟁한 나라들도 우리 아래에 있다. 수출은 오늘날 한국 경제의 버팀목 역할을 하고 있다. 국내총생산(GDP)의 43%를 수출에 의존하고 있을 정도다. 올해 투자와 소비, 고용이 위축된 상황에서 경제성장률이 크게 떨어지지 않은 것도 수출의 공이 컸다. 수출은 올 3분기 경제성장률을 1.7%포인트 끌어올렸다. 올 3분기 성장률이 0.6%였으니 수출이 없었다면 마이너스 성장을 기록할 뻔했다.그런데 최근 들어 수출도 불안한 모습이다. 올 1분기 수출 증가율은 9.8%였지만 2분기 3.1%, 3분기 1.7%로 떨어졌다. 주력업종인 자동차, 조선, 디스플레이 등이 부진에 빠진 데다 반도체도 수출 증가 흐름이 약해지고 있다. 내수가 침체된 상태에서 수출마저 부진해지면 경제에 적지 않은 타격을 줄 것이란 우려가 나오고 있다. 최근 수출 동향과 수출 성장세 둔화를 극복하기 위한 방안은 무엇인지 4, 5면에서 자세히 알아보자.서민준 한국경제신문 경제부 기자 morandol@hankyung.com

  • 커버스토리

    한국경제 키운 수출…올해 첫 6000억 달러 돌파할듯

    지난해 한국 경제성장률은 3.1%였다. 2015년 2.8%, 2016년 2.8% 등에 그쳤다가 3년 만에 3%대로 복귀했다. 3%대 성장률의 일등 공신은 수출이었다. 수출은 작년 15.8%나 증가했다. 세계 10대 수출국 가운데 가장 높은 증가율이었다. 3.1% 성장률 중 수출이 기여한 비중은 64.5%에 이른다.일각에서는 한국의 수출 의존도가 지나치게 높다고 지적한다. 내수가 뒷받침돼야 안정적인 성장을 할 수 있다는 얘기다. 다만 국내 시장은 인구와 영토의 제약이 있어 수출이 경제의 대들보 역할을 하는 구조 자체를 바꿀 수는 없다는 의견이 우세하다.83위에서 50여 년 만에 세계 6위로한국은 1964년 수출 1억달러를 달성했다. 우리 정부는 이를 기려 ‘수출의 날’을 만들었다. 이후 수출의 날은 무역의 날(12월 5일)로 이름을 바꿨다. 하지만 수출 1억달러는 세계 무대에선 걸음마 수준이었다. 당시 한국의 세계 수출 순위는 83위로 아프리카 우간다, 중남미의 과테말라보다 뒤졌다.잠재력을 확인한 한국 수출은 파죽지세로 성장했다. 1971년 10억달러, 1977년 100억달러를 각각 돌파했고 1995년 1000억달러, 2011년엔 5000억달러도 넘겼다. 올해는 사상 처음으로 ‘수출 6000억달러’ 달성이 유력하다. 세계 수출 순위도 2010년 9위로 ‘톱10’에 처음 진입했다. 작년 순위는 6위였다.주력 수출 품목도 많이 변했다. 1961년 한국의 1등 수출품은 철광석이었다. 1980년엔 의류, 신발 등이 수출을 이끌었다. 2000년대 들어선 반도체, 자동차, 조선 등 정보통신(ICT)산업과 중화학공업이 주류가 됐다. 특히 반도체의 활약이 눈부시다. 반도체는 작년 57.4%라는 기록적인 성장률을 보였다. 최근엔 단일 품목으로 처음으로 연간 수출 1000억달러를 돌파했

  • 갈수록 험난해지는 한국 자동차 수출

    반도체와 더불어 자동차는 한국의 핵심 수출 품목이자 제조업의 중심 동력이다. 올 들어 생산·투자·고용 등 경기지표들이 줄줄이 악화하면서 ‘경기 하강’ 경고음이 커지는 가운데 자동차산업 또한 여건이 녹록지 않다.특히 미국이 최근 멕시코 캐나다와 새로운 북미 3개국 자유무역협정(USMCA)을 맺으면서 자동차 관세 부과를 기정사실화하고 환율 조작을 금지한다는 내용까지 담고 있어 한국 자동차산업에도 불리하게 작용할 것이라는 분석이 우세하다. 미국이 수입차에 최고 25% 관세를 부과하면 한국 자동차 생산은 2004년 수준으로 후퇴할 것이라는 우려까지 나온다. 한국 자동차 업체는 지난해 국내에서 411만4913대를 생산해 84만5319대(약 20%)를 미국으로 수출했다. 이런 한국 자동차 수출이 험난해지면 우리나라 경제 전체도 어려워질 수밖에 없다. 사진은 울산 현대자동차 수출 선적부두 모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