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뱅크
-
숫자로 읽는 세상
디지털 전환 대세…올 상반기 은행 점포 90곳 문닫아
올 상반기에만 국내 은행 점포 90곳이 문을 닫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간 폐쇄되는 점포 수가 50곳 안팎에 불과했던 2~3년 전에 비하면 점포 감소세가 가파르다. 4대 시중은행은 올 하반기에도 최소 130개 점포를 추가로 폐쇄할 예정이다. 코로나19 사태 이후 비대면 금융 서비스가 급격히 확산하면서 국내 은행의 ‘몸집 줄이기’는 돌이키기 어려운 흐름이 됐다는 분석이다.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전국의 은행 점포는 지난해 말 6405개에서 올 상반기 6326개로 6개월간 79곳 줄었다. 기업·농협은행 등 특수은행을 중심으로 11개 점포가 신설됐지만 통폐합된 점포가 90곳으로 훨씬 많았다. 이틀에 한 곳꼴로 은행 영업점이 사라진 셈이다. 금감원은 “모바일뱅킹 등 비대면거래 확대, 영업권이 겹치는 점포 간 효율화 등으로 점포 감소 추세가 지속되고 있다”고 분석했다.폐쇄된 점포의 77%(61곳)는 수도권과 광역시 등 대도시권에 몰려 있었다. 점포 축소는 인력 감축으로 이어졌다. 올 3월 기준 17개 은행의 직원 수는 11만5022명으로 1년 전보다 2423명(2.1%) 줄었다. 전년에는 오히려 소폭(279명) 증가했던 데서 급격하게 마이너스 전환했다.은행 점포 감소세는 코로나19 사태를 계기로 가팔라졌다. 지난해 304곳이 줄었다. 2018년 23곳, 2019년에 57곳이 없어진 것과 비교하면 급격한 변화다. 한 은행 관계자는 “비대면 금융 서비스 발달로 이전에도 내점 고객이 매년 7~8% 줄고 있었는데, 지난해 코로나 사태 이후 추세가 더 가팔라졌다”고 설명했다. 여기에는 카카오뱅크를 필두로 한 ‘무점포’ 인터넷전문은행의 약진에 맞서 점포 관리 비용을 줄여야 한다는 절박함도 있다.빈난새 한국경제신문
-
숫자로 읽는 세상
카카오뱅크 8월 상장…몸값 18조 산정
카카오뱅크가 오는 8월 유가증권시장에 입성한다. 희망 공모가를 적용한 시가총액은 15조7000억~18조5000억원이다. KB금융(23조7400억원) 신한지주(21조5700억원)의 뒤를 이어 금융지주사 시총 3위에 오를 전망이어서 금융업계의 판도 변화가 예상된다.카카오뱅크는 지난달 28일 증권신고서를 제출하고 유가증권시장 상장 일정을 공식화했다. 인터넷은행으로서는 국내 첫 기업공개(IPO) 사례다. 희망공모가는 3만3000~3만9000원이다. 이를 적용하면 시총은 최고 18조5000억원에 달할 전망이다. 희망가 기준 공모 규모는 2조1600억~2조5500억원이다. 이달 20~21일 국내외 기관투자가를 상대로 수요예측을 해 공모가격을 확정한 뒤 26~27일 일반청약을 받을 예정이다. 상장 예정일은 8월 5일이다. 카카오뱅크의 적정 시가총액은 23조원으로 산정됐다. 카카오뱅크가 보유한 자본 총계(2조8500억원)에 글로벌 인터넷은행의 평균 주가순자산비율(PBR) 7.3배를 적용한 뒤 이번 공모로 유입되는 자금 2조1600억원을 더해 계산한 것이다.증권사 관계자는 “기존 은행들의 기업 가치는 PBR 1배 미만인 데 비해 인터넷은행은 그보다 훨씬 높게 평가받는다”며 “지점이 없어 저비용 구조로 운영되고 플랫폼을 통해 대규모 젊은 고객이 유입돼 매출과 이익이 급격히 성장할 수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카카오그룹의 전자결제 플랫폼인 카카오페이도 이날 상장예비심사를 통과하고 7월 공모 절차에 들어간다. 카카오페이의 공모가는 6만3000~9만6000원, 상장 직후 시총은 최대 13조원으로 예상된다. 28일 기준 카카오 시총은 68조8000억원, 카카오게임즈는 4조1000억원대다. 카카오뱅크(19조원)와 카카오페이(13조원)를 합하면 카카오그룹의 시
-
경제 기타
텔러·애널리스트·보험계리사…금융 관련 직업 2373개
우리는 신문 방송 등에서 금융회사, 금융상품과 같은 단어들을 자주 접한다. 그러나 누군가 '금융의 정의'에 대해 물어본다면 선뜻 대답하기는 어렵다. '금융(金融)'이란 한자 그대로를 풀이해보면 '금전을 융통하는 것'을 의미한다. 쉽게 말해 돈을 필요로 하는 사람(금융수요자)과 돈에 여유가 있어 빌려줄 수 있는 사람(금융공급자) 간 돈의 흐름을 말한다. 다만 시장에 존재하는 수많은 금융수요자와 금융공급자가 서로 직접 만나거나 정보를 교환하기란 어렵다이 같은 불편함을 최소화하기 위해 금융회사가 등장했고, 금융이 잘 흐를 수 있도록 중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오늘은 금융회사의 종류와 기능에 대해 알아보고 금융직업에는 어떤 것이 있는지 살펴보자. 금융회사의 종류와 기능여러 금융회사 중 우리가 가장 자주 접하는 ‘은행’은 돈을 저축하는 예금업무(수신)와 돈을 빌리는 대출(여신) 이외에도 외국환업무(환전, 해외송금)와 보험, 펀드 같은 금융상품 판매업무까지 수행하고 있다. 또한 은행에서 세금, 전기요금 등 공과금 납부도 가능하며 중요한 물건을 보관해주는 대여금고 역할도 하고 있다.‘증권회사’는 투자금을 필요로 하는 회사가 발행하는 주식 및 채권을 개인 또는 기관이 사고팔 수 있도록 연결해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험회사’는 비슷한 위험에 노출된 사람들로부터 자금(보험료)을 모아 사고가 발생한 사람에게 약속한 금액(보험금)을 지급하는 역할을 한다. 마지막으로 ‘신용카드회사’는 물건을 구입하는 사람을 위해 물건값을 대신 지급해주고 일정기간이 지난 뒤(보통 한 달 뒤 카드 결제일) 물건 구입자로부터 물
-
커버스토리
"공인인증서 없이 송금·24시간 어디서나 거래"
카카오뱅크 K뱅크 등 인터넷전문은행의 최대 장점은 ‘편리성’이다. 24시간 언제 어디서나 거래가 가능하고 입출금도 자유롭다. 공인인증서 없이 송금할 수 있으며 일반은행에 비해 대출금리가 낮다. 오프라인 점포 운영 비용이 없어 대출금리를 높일 여력이 생긴 때문이다. 인터넷전문은행은 은행업계 전반의 영업 관행을 크게 바꿔놓을 것으로 보인다.NIE 포인트인터넷전문은행과 일반 시중은행은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구체적으로 토론해보자. 인터넷전문은행이 금융권에 어떤 변화를 몰고 올지도 생각해보자.오프라인 점포는 하나도 없어K뱅크는 지난 4월 문을 열었고, 카카오뱅크는 지난달 27일 오픈했다. 우리나라 1, 2호 인터넷전문은행이다. 일반은행은 오프라인과 온라인으로 동시에 거래한다. 인터넷이나 모바일이 서툰 중장년은 상대적으로 오프라인 거래 비중이 높고, 젊은 층은 주로 인터넷이나 모바일 거래를 선호한다. 금융거래에서 인터넷뱅킹이 차지하는 비율은 꾸준히 높아지고 있다. 모든 금융거래에서 인터넷 거래가 차지하는 비중은 40%를 넘는다. 특히 모바일이 일상화되면서 금융거래의 온라인 비중이 빠르게 높아지고 있다.K뱅크와 카카오뱅크는 오프라인 점포가 하나도 없는 100% 온라인 은행이다. 계좌 개설에서 입출금, 대출, 송금 등이 모두 인터넷을 통해 이뤄진다. 인터넷전문은행이 만든 앱(응용프로그램)을 내려받아 계좌를 개설하면 모든 금융거래가 가능하다. 인터넷전문은행이 발행한 체크카드로 시중은행의 현금자동입출금기(ATM)에서 현금을 출금하면 된다. 거래 계좌번호만 있을 뿐 종이 통장은 없다. 영업시간에도 제한이 없어 연중 언제 어디서나 휴대폰으로 거
-
커버스토리
K뱅크·카카오뱅크… 인터넷은행이 뭐지?
인터넷전문은행 ‘카카오뱅크’가 화제다. 지난달 27일 문을 연 카카오뱅크는 20여 일 만에 개설 계좌 수가 200만 개를 넘어섰다. 지난 4월 오픈한 1호 인터넷은행 K뱅크보다 가입자 증가 속도가 훨씬 빠르다. ‘국민 메신저’로 불리는 카카오톡과 연계해 이용자 편리성이 크게 높아졌다는 게 전문가들 평가다. 은행 계좌 없이도 카카오톡을 통해 빠르게 송금하는 것은 물론 간편한 가입 절차, 낮은 수수료 등으로 인기를 끌고 있다는 것이다.카카오뱅크는 오프라인 점포가 하나도 없다. 스마트폰에서 앱(응용프로그램)을 내려받아 계좌를 개설하면 입·출금은 물론 대출도 받을 수 있다. 영업시간에 제한이 있는 일반 은행과 달리 휴대폰으로 언제 어디서나 거래가 가능하다. 계좌 개설도 카카오톡과 연계해 절차가 훨씬 간편하다. 공인인증서 없이도 하루 최대 100만원까지 송금이 가능하다. 카카오뱅크가 발행한 체크카드로 현금자동입출금기(ATM)에서 현금을 찾을 수 있다.인터넷은행은 금융과 정보기술(IT)이 접목된 이른바 ‘핀테크’가 우리 실생활을 어떻게 바꾸는지를 그대로 보여준다. 이미 모든 금융거래에서 인터넷뱅킹이 차지하는 비율은 40%를 넘는다. 핀테크 바람이 거세지면서 은행권 전체의 영업방식에도 변화가 불가피해 보인다. 실제로 지난 5년 동안 주요 시중은행은 매년 100개가 넘는 지점의 문을 닫았다. 특히 이번에 출범한 카카오뱅크는 모바일뱅킹에 상대적으로 소극적인 40~50대의 관심을 끌 수 있다는 점에서 금융권 패러다임이 크게 바뀔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반면 ‘은산(銀産) 분리’ 같은 규제가 인터넷은행을 비롯한 핀테크 확산과 발전을 막는 걸림돌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