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교양 기타

    "사회를 통제하는 힘, 물리력·부(富)에서 지식으로 이동"

    “지식의 장악이야말로 인류의 모든 조직체에서 전개될 전 세계적 권력투쟁에서 핵심 문제다. 앞으로의 권력투쟁은 더욱더 지식의 배분과 접근기회를 둘러싼 투쟁으로 바뀌어갈 것이다.” 미래학자 앨빈 토플러(1928~2016)가 1990년 펴낸 《권력이동》은 《미래쇼크》(1970년), 《제3의 물결》(1980년)에 이은 미래학 3부작의 완결편이다. 10년 주기로 출간한 세 책에서 ‘변화’를 공통 주제로 삼으면...

  • 대학 생글이 통신

    대학마다 학생 보는 관점의 차이 커…평가기준에 잘 맞추세요

    안녕하세요. 대전과학고를 졸업해 고려대학교 산업경영공학부로 진학한 최정찬 생글기자입니다. 고등학교 3학년이 되고 원서를 준비할 기간이 되면서 어떻게 준비해야 할지 몰라 막막한 느낌을 많이 받았습니다. 그래서 대입과 대입 전략에 대해 많이 생각했고 고3을 비롯한 고등학생들에게 도움이 될 것 같아 이 글을 쓰게 되었습니다. 적성과 흥미 고려한 대입전략 세워야 어느 문제에서나 그렇듯이, 대입에서도 가장 중심이 되는 전략은 “지피지기면 ...

  • 대학 생글이 통신

    학생부종합, 내신 걱정보다 어떻게 해야 합격할지 고민하세요

    “면접 준비해야 하는데 학원 다녀야 할까요? 내신이 좋지 않은데 OO대학교에 지원해도 될까요?” 치열하게 입시 전쟁을 치르고 있는 후배들에게 가장 많이 듣는 물음 중 하나입니다. 저도 고등학생 때 똑같은 궁금증을 가지고 있었기에 이것이 정말 고민되는 걱정거리임을 알고 있습니다. 언뜻 보면 어려운 문제이긴 하지만, 사실 모든 질문에 대한 답은 학생들의 마음가짐 속에 정해져 있다고 생각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저 스스로 가졌던...

  • 진학 길잡이 기타

    의약학계열 가고 싶은데…내신 불리하면 논술전형도 있다

    수시 논술전형은 내신의 영향력이 미미해 내신 성적이 안 좋은 학생에게도 기회가 될 수 있다. 특히 의약학계열 학과의 논술전형은 매해 최고 경쟁률이 수백 대 1을 기록할 정도로 관심이 뜨겁다. 지난해 인하대 의예과 논술전형은 경쟁률이 무려 487.8 대 1(10명 모집에 4878명 지원)까지 치솟았다. 2022학년도 의약학계열 논술전형에 관해 알아보고 대비 전략을 소개한다. 의약학계열 논술전형으로 259명 선발…전체 선발 규모의 4...

  • 진학 길잡이 기타

    논제의 확장과 추론의 일반화

    수리논술 문제는 대개 몇 개의 소문항이 모여 제시문 한 세트를 구성하게 되는데 처음 제시되는 1~2개의 소문항은 비교적 쉽고 자명하게 이해되는 내용으로 출제된다. 예를 들어 숫자 1, 2, 3, 4, 5, 3, 3, 3이 주어졌을 때 전체 숫자의 평균이 3임은 자명하다. 왜냐하면 1, 2, 3, 4, 5의 평균이 3이고 여기에 3을 계속 나열한 것이기 때문이다. 그런데 이 쉽고 자명한 처음 소문항의 아이디어가 후반부 고난도 문항을 해결하는 결정...

  •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몽룡과 춘향은 몇 살에 만났나?

    절기상으로는 어느새 봄비가 내린다는 우수도 지나고 경칩(3월 5일)을 앞두고 있다. 하지만 우리네 풍습으로는 여전히 새해다. 불과 열흘 전에 음력으로 정월 초하루인 설을 쇠었고, 며칠 뒤면 열닷새 즉 ‘보름날’이다. 새해 첫 보름달은 연중 가장 크고 밝게 뜬다고 해서 예부터 특히 ‘대보름’이라고 했다. 지금은 ‘대보름(날)’이라고 하면 ‘음력 정월 보름날을 명절로 이르는...

  • 학습 길잡이 기타

    소의 해…cow·bull·ox·calf가 모이면 cattle이 됩니다

    The hens perched themselves on the window-sills, the pigeons fluttered up to the rafters, the sheep and cows lay down behind the pigs and began to chew the cud. The two cart-horses, Boxer and Clover, came in together, walking very slowly and setting...

  • 커버스토리

    어느 양봉업자의 '꿀벌 사용료' 청구 사건

    “공장 폐수가 인근 바다로 흘러들면서 가두리 양식장들이 큰 피해를 봤습니다. 남해안에 나가 있는 OOO 기자를 불러보겠습니다.” “벌을 키워서 꿀을 따는 양봉 사업자들이 주변 과수원에 큰 도움을 주고 있다. 벌들이 과수원 수분을 돕기 때문이다.” 여러분은 방송 및 신문에서 이런 보도나 기사를 가끔 접했을 것입니다. 언뜻 보면 단순 고발성 혹은 화제성 보도처럼 보이지만, 경제학적 관점에서 보면 매우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