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스도쿠 여행

    스도쿠 여행 (631)

  • 대학 생글이 통신

    고교 3년 치열한 공부경험이 삶의 자산 될 거예요

    누군가 삶에서 가장 노력했던 순간이 언제냐고 묻는다면 떠오르는 순간이 있나요? 아직은 한창 경험을 쌓고 있을 나이기에 크게 와닿지 않는 질문이라는 거 압니다. 하지만 나이를 먹다 보면 자신이 지나온 시간과 그 길을 돌이켜보는 빈도가 늘어나는 것이라 생각합니다. 삶 전체에서 고등학교 생활 3년은 짧습니다. 고등학교를 우수한 성적으로 졸업하고 좋은 대학에 들어갔다고 해서 반드시 성공하는 것은 아닙니다. 하지만 한 가지 확실한 건 이 시간을 어떻게...

  • 생글기자

    가짜뉴스에 속지 않으려면…

    사실이 아닌 것을 사실인 것처럼 꾸미는 가짜뉴스가 많은 문제를 일으키고 있다. 과거에도 허위 보도나 거짓 정보, 유언비어 등이 없었던 것은 아니지만 미디어가 다양해지고 확산 속도가 빨라지면서 가짜뉴스의 폐해가 커지고 있다. 가짜뉴스는 잘못된 정보를 퍼뜨려 사람들에게 피해를 입히고 거짓 선동으로 혐오와 폭력을 조장한다. 몇 년 전 일본인 소녀를 강간한 한국인이 무죄 판결을 받았다는 기사가 SNS에 올라와 일본인들의 혐한 감정을 자극했다. 하지만...

  • 경제·금융 상식 퀴즈

    4월 25일 (751)

    1. 한국은행이 지난 14일 기준금리를 인상했다. 현재 우리나라 기준금리는 얼마일까? ① 연 0.5% ② 연 1.0% ③ 연 1.5% ④ 연 2.0% 2. 짧은 글을 주로 올리는 소셜미디어 서비스다. 이달 들어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가 인수 시도에 나선 이 회사는? ① 페이스북 ② 인스타그램 ③ 트위터 ④ 틱톡 3. 대통령이 장관 등 고위공직에 지명한 사람이 적합한 업무능력과 자질을 갖췄는지를 국회에서 검증하기 위해 ...

  • 생글기자

    시대가 변해도 여전한 책의 가치

    나무는 사람에게 정말 많은 것을 준다. 꽃, 땔감, 열매, 시원한 그늘, 단풍과 설경까지. 나무가 사람에게 주는 선물로 책을 빼놓을 수 없다. 사람은 나무로 책을 만들고 책은 사람을 사람답게 만든다. 지난 4월 23일은 유네스코가 정한 세계 책의 날이었다. 유네스코는 1995년 독서 문화를 장려하고 지식재산권 보호와 출판 진흥을 위해 책의 날을 제정했다. 4월 23일은 기독교의 성 조르디 축일이기도 하다. 성 조르디 축일과 관련해서는 용의 제...

  • 커버스토리

    4월 25일은 법의 날…법은 안녕하십니까?

    4월 25일은 제59회 법의 날입니다. 법의 날은 1964년 5월 1일 처음 생겼습니다. 한 해 전인 1963년 7월 그리스 아테네에서 열린 ‘법의 지배를 통한 세계평화대회(World Peace Through Law Conference)’가 세계 각국에 ‘법의 날’ 제정을 권고한 데 따른 것이었습니다. “권력의 횡포와 폭력의 지배를 배제하고, 기본인권을 옹호하며, 법의 지배가 확립된 사회를 ...

  • 숫자로 읽는 세상

    배달비만 5700억…'폭풍 성장' 배민의 고민

    배달의민족 운영사인 우아한형제들의 매출이 지난해 처음으로 2조원을 넘어섰다. 7년 사이 70배가 넘는 초고속 성장세다. 하지만 이 배달 앱 1위 회사의 미래에 대한 시선은 엇갈린다. 회사가 커지면서 적자 규모도 눈덩이처럼 불어나고 있기 때문이다. 막대한 배달비용이 문제다. 후발 주자들과의 배달 속도 경쟁이 가속화하면서 배달비용이 지난해 전체 매출의 4분의 1을 넘어섰다. 7년 만에 매출 70배 급증 … 작년 매출 94%↑...

  • 최준원의 수리 논술 강의노트

    수리논술 답안 작성 때 반드시 '근거'를 밝혀야

    수리논술은 문제와 함께 제시문을 활용해 출제하는 유형의 시험이므로 여러 가지 판단 근거가 존재할 수 있다. 이 경우 출제자의 의도와 다소 벗어난 방향으로 답안을 작성할 수도 있는데, 다만 이때도 답안 작성의 근거가 명확하고 그 전제하에서 올바른 풀이를 기술했다면 충분한 부분 점수를 받을 수 있다. 수리논술은 수능에 비해 좀 더 자유로운 접근이 가능한 유형의 시험이므로 좋은 점수를 받으려면 이런 특성을 잘 활용해 답안 작성 시 자신의 문제 풀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