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글생글
-
생글기자
태아 생명권과 여성의 자기 결정권, 절충할 타협점은?
미국 연방 대법원이 임신 28주까지 낙태 권리를 인정했던 ‘로 대 웨이드 판결’을 폐기해 이제 미국에서 낙태권에 관한 결정은 각 주 정부의 권한이 됐다. 연방 대법원의 판결 후 10여 개 주는 낙태금지법 시행에 들어갔다. 태아의 생명권과 여성의 자기 결정권 사이에서 팽팽한 공방이 오가는 것을 보며 닐 슈스터만의 SF 소설 《Unwind》가 떠올랐다. 이 소설은 낙태가 전면 금지된 사회에서 일어나는 일을 그리고 있다. 잉태...
-
김동욱 기자의 세계사 속 경제사
중국 상인은 관료제에 종속된 부속계층에 불과…세계 최대 경제력도 중세 이후 정체 늪에 빠져
전통시대 중국은 관료의 나라였다. 관료에 의한, 관료를 위한 국가가 바로 중국이었다. 존 킹 페어뱅크에 따르면 청나라 말 중국은 관료제의 천국이었고, 에티엔 발라스는 중국을 ‘영원한 관료제 사회’로 묘사했다. 그리고 이 같은 관료제의 최상부에 진입하기 위해 중국의 지식인들은 ‘시험지옥’(미야자키 이치사다)이라 불리는 과거에 통과하기 위해 쓸모없는 ‘시험용’ 팔고문에 몰두했다. 반...
-
윤명철의 한국 한국인 이야기
해양환경·전선·정보력 활용한 전략·전술 천재…다른 민족에게 자랑할 수 있는 역사와 신화 남겨
이순신은 군인으로서 남다른 삶의 방식과 특별한 용기를 가졌다. 칠천량 전투로 조선 수군은 거의 사라졌고, 임금조차 수군을 해체한 뒤 충청도로 와서 훗날을 도모하라고 특별히 전했다. 하지만 이순신 장군은 장계에 이렇게 올렸다. “신에게는 전선이 아직 12척 있습니다. 전선은 비록 부족하지만 미천한 신이 죽지 않았으니 감히 저를 업신여길 수 없습니다.” 기가 질린 부하들이 주저하자 홀로 적진에 뛰어들었고, 결국 명량 전투에서 ...
-
이근미 작가의 BOOK STORY
한국 사회의 미래를 지배할 존재, Z세대의 잠재력
요즘 Z세대에 대한 관심이 뜨겁다. 밀레니얼 세대와 Z세대를 묶은 MZ세대로 쏠리던 열기가 어느 틈엔가 Z세대를 감싸고 있다. 저자들마다 세대를 구분하는 기준이 조금씩 차이 나는데 《결국 Z세대가 세상을 지배한다》의 김용섭 저자는 밀레니얼 세대(1982~1996년 출생자), Z세대(1997~2012년)로 구분한다. 자신의 세대를 객관적으로 바라보는 건 쉽지 않은 일이다. 어린 시절을 지나온 뒤에야 그 시절이 보이듯 한 걸음 떨어져 있어야 비로...
-
임재관의 인문 논술 강의노트
대학별 논술특성 이해하고 미래지향적으로 지원해야
논술로 대학을 지원할 때 고려해야 할 마지막 시험 요소는 대학별 논술 특징입니다. 상위 13개 주요 대학 논술 특징을 간단히 정리해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많은 학생 및 학부모님과 상담하면서 수시에 지원할 때 무엇을 우선 고려해야 하는지에 대해 이야기하곤 합니다. 그리고 당장의 대학 합격이 큰 과제처럼 보이겠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4~5년 뒤 사회로 진출할 때 어떤 모습으로 나아갈지 생각하고, 적극적으로 미래를 탐색해보라는 조언을 합니다. 공부...
-
강홍민 기자의 직업의 세계
내 관심사, 귀신같이 찾아내는 이 직업
"데이터가 정보가 되고 돈이 되는 시대죠" 데이터 엔지니어 정형기 “최근 데이터가 그야말로 폭증하고 있어요. 데이터를 소비하는 소비자들은 더 다양하고 빠른 데이터를 원하고 있죠. 앞으로는 데이터를 활용하는 범위가 지금보다 더 넓어질 것이고 그렇게 되면 데이터 엔지니어가 더 중요해지지 않을까요.” 바야흐로 ‘데이터 시대’다. 우리의 행동 하나 하나가 모두 데이터가 되고, 그 데이터가...
-
성수기 가격, 바가지일까?
763호 생글생글은 성수기 물가를 커버스토리로 썼다. 한여름 해수욕장에 가면 모든 상품과 서비스 가격이 높아 짜증이 난다. 성수기에 치솟은 가격을 일컬어 ‘바가지’라고 한다. 하지만 우리는 산 정상에서 파는 아이스크림 가격은 동네보다 훨씬 비싼데도 바가지라고 부르지 않는다. 크리스마스카드 가격도 24일과 26일에 크게 다르다. 4면과 5면에서 가격의 다양한 얼굴을 만날 수 있다.
-
커버스토리
해수욕장 물가 바가지일까요?
해수욕장 성수기, 해외여행 성수기, 논술학원 성수기…. 이럴 때마다 등장하는 말이 있습니다. “부르는 게 값이다”는 거지요. 시장 용어로 ‘바가지’라고 합니다. 한여름 해수욕장에 가면 모든 것의 가격이 치솟습니다. 자릿값, 튜브값, 밥값, 펜션값, 렌터카값. 해외로 가는 비행기표 가격도 그렇습니다. 대학 논술 코칭비도 마찬가지고요. 사람들은 희한하게 비쌀 때를 잘 기억합니다. 시장에선 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