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대학 생글이 통신

    겨울방학을 수학 예습, 기출문제 분석 기회로

    곧 겨울방학이 시작됩니다. 다음 학년으로 올라가기 위한 구체적인 준비를 어떻게 해야 할지 막막한 학생이 많을 것입니다. 오늘은 겨울방학 동안의 공부 방향과 주요 과목 학습법에 대해 제 경험을 바탕으로 얘기하고자 합니다. 가장 강조하고 싶은 것은 ‘수학 과목의 중요성’입니다. 수학은 학교에서 배우는 내용 외에 추가적인 응용문제, 심화문제도 풀 수 있어야 고득점을 받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겨울방학 동안 다음 학년에 배울 수...

  • 경제·금융 상식 퀴즈

    12월 18일 (826)

    1. 이 나라 중앙은행은 오랜 불황을 타개하기 위해 2016년부터 마이너스금리 정책을 유지해왔다. 엔화를 쓰는 이 나라는? ① 중국 ② 러시아 ③ 일본 ④ 인도 2. 자유무역 확대를 목적으로 하는 국제기구다. 한국은 1995년 출범 때부터 가입하고 있는 이 단체는? ① G20 ② FTA ③ IMF ④ WTO 3. 단순 재활용을 넘어 버려지는 제품에 친환경 디자인과 기술 등을 더해 새로운 제품으로 탄생시키는 활동은? ① 리오프닝 ② 리쇼...

  • 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必作於細 (필작어세)

    ▶한자풀이 必: 반드시 필 作: 지을 작 於: 어조사 어 細: 가늘 세 모든 일은 반드시 작은 것에서 시작된다 작은 것을 놓치지 않아야 큰일이 안 생긴다 - <도덕경> 천 리 길도 한 걸음부터이고, 대해(大海)도 시작은 물 한 방울이다. 등고자비(登高自卑), 높은 곳에 닿으려면 낮은 곳부터 올라야 한다. 도가(道家)의 이치를 담은 <도덕경>에는 노자의 정언약반(正言若反)식 문구가 많다. ‘빛나도 ...

  •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배울 땐 '케인즈', 쓸 땐 '케인스'의 모순

    “영국의 경제학자ㆍ철학자(1723~1790). 고전파 경제학의 창시자로, 중상주의적 보호정책을 비판하고 자유경쟁이 사회 진보의 요건임을 주장하면서 산업혁명의 이론적 기초를 다졌다.” <국부론>의 저자이자 경제학의 아버지로 불리는 ‘아담 스미스’를 국어사전은 이렇게 설명한다. 그는 올해 작은 정부와 자유를 강조하는 시장론자들에게 특히 자주 소환됐다. 올해가 그의 탄생 300주년 되는 해였기 때...

  • 생글기자

    장점 많은 트램, 되는 사업으로 만들어보자

    도로 위 레일을 따라 달리는 노면전차 트램이 새로운 교통수단으로 주목받고 있다. 위례선, 오륙도선, 대전2호선, 동탄트램 등의 트램 사업을 추진하는 지역만 전국 27개에 달한다. 이미 유럽, 호주, 중국 등지에서 대중교통 수단으로 정착돼 더욱 관심이 높다. 트램은 지역 교통난 해소에 기여하는 것은 물론, 친환경적이란 점에서 인기다. 주로 전기, 수소 등 친환경 에너지를 이용하는 트램은 배기가스 같은 공해가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노면에서...

  • 생글기자

    베이비 박스 아이들, 사회가 외면해선 안돼

    베이비 박스란 자신이 키울 수 없는 아이를 두고 가는 장소다. 최근 베이비 박스에 아기를 놓고 간 30대 여성이 유기죄로 기소되며 과연 이를 범죄로 봐야 하는지 논란이 일었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려면 어떤 노력을 기울여야 할까. 먼저, 미혼모 지원 금액을 늘려야 할 것이다. 지금은 소득인정액이 중위소득의 52% 미만인 한부모가족의 경우 자녀 1인당 월 20만원을 지원한다. 하지만 아이를 홀로 키우는 데 월 20만원은 너무나 적은 돈이다. 물가...

  • 경제 기타

    총수요와 총공급 함수 통해 도출하죠

    이번 주부터는 본격적으로 국가 경제의 작동과 관련된 거시경제에 대해 설명할 것이다. 거시경제 이론의 핵심은 한 나라의 균형총생산이 결정되는 과정이다. 한 나라의 균형총생산이 결정되어야 그 나라의 경제가 잘 성장하는지, 경기변동이 어느 정도 발생하는지에 대해 평가를 한다. 그에 따라 성장률을 높이거나 경기변동을 줄이는 경제정책을 마련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균형총생산에는 단기균형총생산과 장기균형총생산이 있다. 단기와 장기의 균형총생산이 결정되는 과...

  • 경제 기타

    대리인이 자기 이익을 추구할 때 문제가 생기죠

    금융상품을 소비자에게 제대로 설명하지 않고 판매하는 ‘불완전판매’는 잊을 만하면 뉴스에 나오는 소재입니다. 금융상품을 판매하는 사람이 단기 실적을 위해 금융상품의 위험성을 고객에게 제대로 설명하지 않아 생기는 문제죠. 이런 문제를 설명하는 경제 이론이 있습니다. 바로 ‘주인-대리인 문제’입니다. 수능에서는 비문학 지문이나 토론형 문제 등으로 다양하게 출시될 수 있는 소재입니다. 주인-대리인 문제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