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글생글
-
경제·금융 상식 퀴즈
12월 25일 (827)
1. 소비자들이 넷플릭스 같은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OTT)를 선택하면서 케이블TV, IPTV 등 기존 유료 방송을 해지하는 현상은? ① 체리피킹 ② 빈지워칭 ③ 코드커팅 ④ 쇼트커버링 2. 다음 중 기업이 자금 조달 수단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이 아닌 것은? ① CP ② CB ③ ABS ④ IFRS 3. 과도한 고금리 대출로 폭리를 취하지 못하도록 법으로 정한 대출금리 상한선을 뜻하는 말은? ① 기준금리 ② 법정최고금리 ③ 콜금...
-
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博而不精 (박이부정)
▶한자풀이 博: 넓을 박 而: 말이을 이 不: 아닐 부 精: 정교할 정 널리 알지만 자세하지는 못하다 여러 방면으로 알지만 정통하지는 못함 - <후한서> 마융(馬融)은 후한(後漢) 때의 학자로 <시(詩)> <서(書)> <역(易)> <논어(論語)> <효경(孝經)> <노자(老子)> <회남자(淮南子)> 등의 경전을 쉽게 풀이한 글을 남겼다. <후...
-
생글기자
인공지능 만능주의를 경계할 때다
인공지능(AI) 기술이 급격히 발전하고 있다. 활용 범위도 공장의 생산 라인 관리부터 의료 분야의 복잡한 데이터 분석과 질병 진단까지 무궁무진하다. 하지만 이에 대한 환호가 인간의 모든 역할을 AI가 대신할 수 있다는 ‘인공지능 만능주의’로 흐를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AI 만능주의는 크게 세 가지 문제를 일으킨다. 첫째, 사람들이 AI의 한계를 인지하지 못하게 만든다. AI는 학습 데이터를 기초로 정형화된 패턴을 인...
-
생글기자
연구개발 강화해 과학기술인 '꿈' 키워줘야
경기과학고 등 전국 8개 영재학교 학생들이 최근 사회관계망서비스(SNS) 등을 통해 정부의 연구개발(R&D) 예산 삭감과 관련한 공동성명문을 발표했다. 학생들은 R&D 예산 감소가 연구개발 활력 저하, 이공계 기피 현상 등을 심화시킬 수 있다며 관련 예산안 수정과 정부의 소통 노력을 촉구했다. 지난 20일 여야가 정부 R&D 예산안을 6000억원 증액키로 합의했지만, 그래도 올해보다 15% 적은 금액이다. 학생들의 이공계...
-
역사 기타
합스부르크 유일한 여왕…'전쟁 천재'를 이기다
한국전쟁 때 머리 위로 굉음을 내면서 날아가는 ‘쌕쌕이’ 전투기를 보며 어른들은 한마디씩 했다. “아따, 그래도 사위 나라라고 신경 좀 썼구먼.” 민도(民度)가 다소 저조하다 보니 당시 전투기를 보낸 나라인 오스트레일리아와 영부인 프란체스카의 나라 오스트리아를 혼동해 벌어진 에피소드다. 지금도 오스트리아에 대한 우리의 이해는 여전히 낮다. 한때 유럽의 5대 강국이었다고 하면 놀라는 사람까지 있을 정도다...
-
과학과 놀자
한두 번 경험하면 뇌 손상…신경 조절기능 마비돼
마약이 연일 뉴스에 오르내린다. 유명 연예인이 상습적으로 마약을 투약했다는 소식부터 대량의 마약이 밀수입됐다거나 마약에 취한 운전자가 도로를 위험하게 달리다 검거됐다, 청소년이 마약 위험에 노출됐다는 소식까지. 마약이 연령, 지역을 가리지 않고 점점 광범위하게 퍼지고 있다. ‘마약’이라는 이름으로 한데 묶여 불리고 있지만 그 종류는 다양하다. 각각 중독성, 남용 피해, 작용 시간, 투여 방법 등이 다른데, 일단 법의 처벌...
-
크리스마스와 선물 이야기
제92호 주니어 생글생글 커버 스토리 주제는 크리스마스와 선물 이야기다. 약 3만5000년 전 선사시대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선물의 역사를 알아보고 크리스마스 선물과 산타클로스의 기원을 설명했다. 사람들이 선물을 받고 나서 종종 실망하는 이유는 무엇인지, 좋은 선물은 어떤 것인지 등을 경제학적 관점에서 살펴봤다. 내 꿈은 기업가에선 현대자동차그룹을 세계 3위 자동차 기업으로 이끈 정몽구 명예회장의 삶과 경영 철학을 소개했다.
-
중남미 우파 강세의 배경은?
829호 생글생글 커버 스토리 주제는 중남미 ‘핑크 타이드’ 퇴조 현상이다. 핑크 타이드란 중남미에서 좌파 정치세력이 연쇄 집권하는 현상을 가리킨다. 최근에는 좌파 정권이 물러나고 강경 우파 세력이 잇달아 집권하고 있다. 이 같은 흐름의 배경과 의미를 살펴봤다. 시사이슈 찬반토론 주제는 ‘외국인 근로자 업종별 심사 허가제’다. 무분별한 인력 유입에 따른 부작용을 막기 위해 심사 허가제가 필요하다는 주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