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커버스토리

    찬란한 문화의 나라 - 경제·국방 '빵점'…조선의 '두 얼굴'

    이순신(1545~1598) 장군이 살던 조선(1392~1910)은 어떤 나라였을까? 이 질문에 답하는 것은 간단치 않다. 천지에 낮과 밤이 있듯이 조선에도 명암이 존재한다. 삼봉 정도전과 태조 이성계가 건국했던 조선. 충무공 이순신이 죽음을 각오할 수밖에 없었고, 율곡 이이와 서애 류성룡이 동분서주하며 재건하려 했던 조선. 전반전의 조선과 후반전의 조선은 달라도 너무도 달랐다. 율곡과 서애가 진단한 조선을 들여다보자.이이 “조선은 진실로 나라가 아니다”이이(1536~1584)는 임진왜란·정유재란(1592~1598)이 잇따라 발발하기 8년 전에 별세했다. 그는 생전에 죽음을 각오하고 선조 임금(1552~1608)에게 상소문을 연이어 올렸다.그는 상소문 ‘만언봉사’에서 조선을 이렇게 비유했다. “조선은 기둥을 바꾸면 서까래가 내려앉고, 지붕을 고치면 벽이 무너지는, 어느 대목도 손을 댈 수 없는 집입니다.” 간이 배 밖으로 나왔는지 율곡은 ‘육조계’에서 한번 더 썼다. “지금 국가의 저축은 1년을 지탱하지 못합니다. 이야말로 진실로 나라가 나라가 아닙니다.”조선이 얼마나 참담한 상태였기에, 신하가 감히 임금에게 이렇게 도발했을까. 율곡이 죽은 뒤 조선의 수도 한양은 20여일 만에, 전 국토는 60여일 만에 왜군에 유린당했다.서애 “하늘이 도와서, 하늘이 도와서…”서애 류성룡은 임진왜란이 발발하기 14개월 전 이순신을 발탁했다. 이 대목을 ‘류성룡, 나라를 다시 만들 때가 되었나이다’의 저자 송복 선생님은 조선 최고의 만남, 천운의 만남이라고 규정했다. 변방을 전전하던 44세의 이순신을 알아본 류성룡은 그를 말단직 정읍현감에서 정3품 당상관 전라좌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