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20살'보다 '스무 살'로 쓰는 게 좋아요~

    우리가 흔히 쓰는 1, 2, 3 등 아라비아숫자가 일반 대중에게 널리 알려진 게 언제쯤일까? 아래 예문을 토대로 추정하면 대략 100년이 채 안 될 것 같다. 일제강점기하에서 조선일보와 동아일보가 펼친 문자보급운동이 계기가 됐다.① 다음 숫자를 차례차례 한 자씩 쓰고 읽는 법을 가르칠 것. 一 1, 二 2, 三 3 …. (조선일보사 <문자보급교재> 1936년)② 필산숫자: 1(一), 2(二), 3(三) …. 한문숫자: 일 一 (하나), 이 二 (둘), 삼 三 (셋) …. (동아일보사 <일용계수법> 1933년)100년 전 ‘1, 2, 3’을 ‘일, 이, 삼’으로 가르쳐우리가 주목해야 할 부분은 숫자를 읽는 방식이다. 아라비아숫자 1, 2, 3을 나열한 뒤 이를 읽고 쓰는 법을 한자 ‘일(一), 이(二), 삼(三)…’으로 가르쳤음을 알 수 있다. 우리말 수사에는 두 가지가 있다. 수량을 셀 때 쓰는 말을 ‘기수(基數)’라 하고, 사물의 순서를 나타낼 때 쓰는 것을 ‘서수(序數)’라고 한다. 일, 이, 삼(한자어 계열) 또는 하나, 둘, 셋(고유어 계열) 등이 기수다.(서수는 한자어로 제일, 제이, 제삼..., 고유어로 첫째, 둘째, 셋째 식으로 한다.)아라비아숫자는 수사가 아니라 수를 나타내는 여러 부호 중 하나일 뿐이다. 그것을 어떤 식으로 읽을지는 나라마다 다르다. 한국에선 일, 이, 삼(한자어) 또는 하나, 둘, 셋(고유어)으로 읽고 영어로는 원, 투, 스리다. 일어에서는 이치, 니, 산이며 중국에선 이, 얼, 싼이다. 한국인이 1, 2, 3을 보고 유독 일, 이, 삼, 즉 한자음으로 읽는 까닭은 100여 년 전 문자 보급 당시 그리 배웠기 때문일 것이다. 당시부터 ‘일~십’을 소리는 한자음으로 익히고 뜻은 고유어 ‘하나~열’로 새겼

  •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도모하다'보다 '꾀하다'가 더 감칠맛 나죠

    군에 다녀온 사람들은 ‘도수체조’란 말에 익숙하다. 기상 나팔소리와 함께 일어나 연병장에서 도수체조로 몸을 풀면서 하루 일과를 시작한다. 한자로는 ‘徒手’라고 적는다. 徒는 ‘무리 도’자 쓰임새가 활발하지만 ‘벌거벗다, 비어 있다’는 뜻도 있다. ‘도수’라고 할 때는 그 의미다. 순우리말로 하면 ‘맨손’이다. 적수공권(赤手空拳: 맨손과 맨주먹이라는 뜻으로, 아무것도 가진 것이 없음을 이르는 말)이라고 할 때의 ‘적수(赤手)’도 같은 뜻이다.무거운 한자어가 글을 어색하게 해국립국어원에서는 ‘도수체조’를 ‘맨손체조’로 다듬었다. 훨씬 알아보기 쉽고 뜻도 잘 들어온다. 언론에서 쓰는 말 중에는 자주 쓰는 말임에도 불구하고 글의 흐름상 어색하게 느껴지는 경우를 흔히 볼 수 있다.①부산 수송동에 ‘위치한’ 트렉스타 본사 공장. ②미 상무부는 오는 19~20일 공청회를 ‘개최할’ 예정이다. ③반도체 쏠림 현상이 갈수록 ‘심화되고’ 있다. ④김 부총리와 이 총재가 ‘회동한’ 것은 석 달 만이다. ⑤남은 기간에 제도 연착륙을 ‘도모할’ 수 있는 방안을 찾아야 한다. ⑥인근 이면도로에 식당과 카페가 속속 ‘형성되고’ 있다.모두 우리말을 비틀어 쓴, 어색한 표현이다. ①어디에 ‘있는’ 하면 될 것을 굳이 ‘위치한’이라 하고, ②무엇이 ‘열렸다’를 ‘개최됐다’ 식으로 쓰는 이유를 모르겠다. ③어떤 현상이 ‘심화됐다’는 표현도 어색하다. 현상은 그냥 ‘심해졌다’ 또는 ‘깊어졌다’고 하면 그만이다. ④⑤‘회동한’ &lsq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