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숫자로 읽는 세상

    가계 빚 1862조 '사상 최대'…1인당 3593만원 빚진 셈

    지난해 말 가계부채가 1860조원을 넘어서며 사상 최대를 기록했다. ‘집값 폭등’에 따라 가계의 차입금 조달 유인이 이어진 결과다. 올 들어 시장금리가 치솟고 있는 만큼 가계의 이자비용 부담이 민간 소비를 옥죄고, 대출 부실로 이어질 우려도 커졌다는 지적이다.한국은행이 22일 발표한 ‘2021년 4분기 가계신용(잠정치)’을 보면 작년 12월 말 가계신용은 1862조653억원으로 집계됐다. 가계신용은 금융회사의 가계대출에 신용카드 할부액 등 판매신용을 합한 것으로, 대표적 가계부채 지표로 통한다.가계신용은 작년 연간 기준으로 134조1493억원(증가율 7.76%) 불었다. 담보인정비율(LTV)을 비롯한 대출 규제를 푼 2016년(139조4276억원)에 이어 역대 두 번째로 증가폭이 컸다. 작년 4분기만 놓고 보면 19조1000억원 늘었다. 같은 해 2분기(43조5000억원), 3분기(34조9000억원) 증가폭과 비교하면 절반 수준으로 급감했다.작년 가계신용 잔액은 2020년 GDP(명목·1933조1524억원)의 96.3%에 달하는 규모다. 지난해 인구 추정치가 5182만여 명이란 점을 고려하면 국민 한 사람당 3593만원의 빚을 지고 있다는 의미다. 작년 가계 빚이 급증한 것은 주식·부동산을 사들이기 위해 전방위에서 차입금을 조달한 영향이다. 가계신용 가운데 판매신용을 제외한 가계대출은 지난해 말 1755조7818억원으로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연간으로 123조7597억원 늘었다. 가계대출 가운데 주택담보대출은 982조3970억원, 신용대출을 포함한 기타대출은 773조4000억원으로 각각 71조7676억원, 52조77억원 늘었다. 모두 2016년 후 증가폭이 가장 컸다. 이자비용이 불어나는 데다 부동산 등 자산가치 하락이 겹칠 경우 가계는 물론 실물경제에도

  • 숫자로 읽는 세상

    국내 물가 뛰는데 수입 물가마저 오르면 큰일

    한국은 무역을 잘하는 나라입니다. 무역은 수출과 수입으로 구성돼 있어요. 수출이 수입보다 조금 많지만, 수입 규모 자체가 매우 큽니다.우리는 해외에서 들어오는 원자재와 중간재를 이용해 수출품을 만들어 팝니다. 기사는 수입품목의 가격이 크게 뛰어 우리 경제에 부담을 준다는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수입품목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건 에너지입니다. 원유(原油)가 대표적입니다. 국제 원유 가격이 치솟았습니다. 서부텍사스원유(WTI)와 두바이유 가격이 크게 올랐습니다. 국제 유가는 모든 것의 가격에 영향을 줍니다. 연쇄 작용이죠. 기름값이 오르면 운송비가 오르고, 운송비가 오르면 제품 가격이 오르는 식이에요.환율도 수입물가를 좌우하는 변수입니다. 우리나라 돈의 가치가 떨어지면(환율 상승) 수입할 때 돈을 더 줘야 합니다. 2000원이면 사올 수 있던 재료를 2500원 주고 사와야 한다면 물가가 500원만큼 뛰게 됩니다. 이런 일이 많은 수입품에 적용된다면 지속적으로 물가가 상승하는 인플레이션이 발생하는 것이죠. 이런 수입물가 상승은 시차를 두고 국내 전체 물가를 흔들게 됩니다. 이미 국내 소비자물가가 많이 오른 상태에서 수입물가 상승까지 겹치면 물가 상승폭은 더 커질 수 있습니다.고기완 한경경제교육연구소 연구위원 NIE 포인트1. 소비자 물가와 인플레이션의 정의를 찾아보자.2. 수입물가를 자극하는 핵심 변수 두 가지를 본문에서 찾아보자.3. 환율변동이 수입과 수출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자.

  • 숫자로 읽는 세상

    국제유가 고공행진에 1200원 안팎 환율까지, 수입 물가 30% 뜀박질…커지는 인플레 우려

    국제 유가가 고공 행진하면서 지난달 수입제품 물가가 30%가량 뜀박질했다. 수입품 물가는 시차를 두고 소비자물가에 반영되는 만큼 인플레이션(지속적인 물가 상승) 우려도 그만큼 커지고 있다.한국은행은 올 1월 수입물가지수(2015년 100 기준)가 132.27로 작년 1월과 비교해 30.1% 올랐다고 15일 발표했다. 수입물가 상승률은 전달(29.6%)보다 소폭 오른 것은 물론 11개월 연속 상승 행진을 이어갔다. 수입물가는 전달 대비로는 4.1% 올랐다. 전월 대비 기준 수입물가 상승률은 작년 11월(-1.0%)과 12월(-2.0%)에 내림세를 보였지만 지난달에는 반등했다.치솟는 국제 유가가 수입물가를 밀어 올렸다. 두바이유는 지난달 평균 배럴당 83.47달러로 작년 1월보다 52.3% 뛰었다. 전달(73.21달러)과 비교하면 14.0% 올랐다.품목별로는 중간재 가운데 석탄·석유제품(54.1%), 1차 금속제품(37.3%), 화학제품(29.9%) 등이 1년 전과 비교해 크게 뛰었다. 제트유(88.8%), 나프타(58.9%), 알루미늄정련품(47.4%), 옥수수(32.1%) 등도 눈에 띄게 상승했다. 수출 물가도 크게 뛰었다. 지난달 수출물가지수는 116.01을 기록해 작년 1월 대비 22.3% 오르는 등 12개월 연속 상승 행진을 이어갔다. 전달과 비교해 1.4% 올라 석 달 만에 상승세로 전환했다.최근 우크라이나 사태로 국제 유가가 오름세를 이어가는 만큼 수입물가 뜀박질이 지속될 것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14일(현지시간) 3월물 서부텍사스원유(WTI) 가격은 전날보다 2.5% 오른 배럴당 95.46달러로 2014년 9월 3일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원·달러 환율이 1200원 안팎을 맴도는 것도 수입물가 상승 압력으로 작용하고 있다. 해외에서 들여오는 원자재의 원화 환산 가격이 상승하기 때문이다. 덩달아 국내 소비자

  • 숫자로 읽는 세상

    30년 만에 가장 비싼 밥상물가…장마 뒤엔 무·양파값 더 오른다

    올 들어 농·축·수산물 가격이 10% 넘게 오르며 30년 만에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한 가운데 하반기 가격 동향을 두고 정부와 시장의 전망이 엇갈리고 있다.정부는 하반기 가격 안정을 예상하지만 시장에선 “농·축·수산물 가격 상승세가 쉽게 꺾일 것 같지 않다”는 전망이 나온다. 과일은 과수화상병 등 각종 질병으로 수확량에 직격탄을 맞은 데다 이상 기후로 인한 작황 부진까지 겹쳐 농산물가격의 상승세를 부채질하고 있다.국내 유일한 농산물 가격 예측 지수인 팜에어·한경 KAPI는 6일 119.99를 기록했다. 전날보다 13.82% 상승했다. KAPI는 오는 9월 말 149에 이를 것으로 전망됐다. 22개 농산물의 2013~2019년 적정 평균가격(100)보다 가격이 약 50% 뛸 것이란 예측이다.대형마트 구매 담당자들도 가격 상승을 예상하는 분위기다. 한 마트 바이어는 “작물별로 상황이 다르기는 하지만 최근 매주 비가 오면서 작황이 전체적으로 좋지 않고, 코로나19로 인한 인력 부족으로 산지 인건비도 상승하는 추세”라며 “전반적으로 상승 압력이 있다”고 설명했다.가격 상승 압력을 받는 품목은 과일(포도), 양념채소(양파), 축산물(달걀) 등 다양하다. 팜에어·한경에 따르면 지난달 ㎏당 6717원(경매 낙찰가 기준)이던 포도값은 내년 6월 1만507원까지 오를 것으로 예측된다. 무는 373원에서 573원으로, 파프리카 가격은 2417원에서 2729원으로 상승할 전망이다.양파 또한 수확 시기인 지난달 비가 많이 오면서 6월 559원이던 가격이 내년 같은 달엔 814원까지 오를 것으로 예측됐다. 한 대형마트 구매담당자는 “우천으로 인한 양파 저장량 감소가 내년 초 가격 상승으로 이어질 것 같다

  • 숫자로 읽는 세상

    美 사로잡은 K주얼리의 눈부신 세공실력…지난해 수출 3억5375만달러…73% 늘어

    서울 성수동의 주얼리 제조업체 코아쥬얼리는 지난해 매출이 두 배 이상 뛰었다. 코로나 팬데믹으로 억눌렸던 글로벌 시장이 빠르게 회복되면서 수출 실적이 늘어난 덕이다. 지금도 3개월치 주문량이 밀려 있어 직원 20여 명이 납기를 맞추기 위해 구슬땀을 흘리며 세공 작업에 열중하고 있다. 귀금속과 패션 액세서리 등을 아우르는 주얼리 시장이 수출 회복세에 힘입어 활기를 띠고 있다. 코로나 사태로 억눌렸던 미국에서 ‘보복 소비’로 인한 수요가 늘어나고 있는 것이 주된 요인으로 분석된다.관세청에 따르면 지난해 주얼리 수출액은 3억5375만달러(약 4235억원)로 집계됐다. 2020년(2억388만달러) 대비 73.5% 급증했다. 주얼리 수출액은 2017년 2억4219만달러에서 이듬해 1억6862만달러로 감소했지만 이후 3년째 증가하고 있다. 지난해는 주요 수출국인 미국 주얼리 시장이 코로나 팬데믹 이후 회복세에 접어들면서 역대급 수출 호조로 이어졌다. 지난해 대미(對美) 주얼리 수출액은 1억1150만달러로 전체 수출액의 32.5%를 차지했다. 전년 대비 약 110%(6022만달러) 증가한 수준이다.백경학 코아쥬얼리 대표는 “작년 8월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2년 만에 열린 주얼리 박람회에서 우리 업체 앞에 바이어들이 긴 줄을 섰을 정도로 열기가 뜨거웠다”며 “세계적인 귀금속 디자인 역량을 보유한 게 팬데믹 이후 급성장한 시장에 안착한 비결”이라고 밝혔다.주얼리 제조업은 귀금속을 다룬다는 특성상 대량생산이 어려운 중소기업형 노동집약 산업으로 분류된다. 세공 기술을 보유한 근로자 10~20명 규모의 중소업체가 대부분이다. 국내 주얼리 제조업체는 1600여 개로 추산되는데, 이 중 코아쥬얼리 등 약

  • 숫자로 읽는 세상

    블리자드 687억달러에 품는 MS…게임업계 사상 최대 규모 인수합병

    마이크로소프트(MS)가 미국 게임업체인 액티비전블리자드를 687억달러(약 81조9247억원)에 인수한다. 게임기업 사상 최대 규모의 인수합병(M&A)이다. MS는 18일(현지시간) 블리자드를 인수하기로 했다고 발표했다. 주당 인수 가격은 95달러다. 이는 지난 14일 액티비전 종가에 45%의 프리미엄이 붙은 가격이다.이번 인수 규모는 MS의 M&A 역사상 최대 규모다. MS가 2016년 사들인 인맥관리 소셜미디어인 링크트인(260억달러, 약 31조50억원)보다 두 배 이상 크다.블리자드는 스타크래프트, 디아블로, 워크래프트, 콜오브듀티 등 세계 유명 게임 제작회사다. 전 세계에 약 1만 명이 넘는 직원과 스튜디오를 갖추고 있다. 거래가 완료되면 MS는 매출 기준으로 텐센트와 소니에 이어 세계에서 세 번째로 큰 게임회사가 된다.MS는 메타버스 사업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시장 주도권을 쥐기 위해 블리자드를 인수한 것이란 분석이다. 사티아 나델라 MS 회장은 “블리자드는 최근 가장 역동적이고 흥미로운 분야인 메타버스 플랫폼 개발에 핵심적인 역할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MS는 엑스박스 게임 사업을 운영하고 있다. 엑스박스의 구독 서비스인 ‘엑스박스 패스’ 가입자는 2500만 명이다. MS가 블리자드를 인수하면 메타(옛 페이스북)의 오큘러스와 경쟁하고 있는 엑스박스의 가상현실(VR) 서비스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을 것이란 전망이다.MS의 인수 소식이 알려지자 이날 블리자드 주가는 장 초반 30% 이상 급등했다. 블리자드는 최근 직장 내 성범죄와 성차별 논란으로 당국의 조사를 받으며 주가가 30% 가까이 하락했다. 지난 17일에는 직원 30여 명을 해고하고 40여 명을 징계해 논란이 되기도 했다.박주연 한국경제신

  • 숫자로 읽는 세상

    국내 M&A 지난해 58조 사상 최대…소·부·장 인기 폭발…러브콜 쏟아져

    국내 인수합병(M&A) 시장이 지난해 사상 최대 호황을 누린 가운데 산업별로는 전기차 배터리·반도체 분야 ‘소부장(소재·부품·장비)’ 관련 거래가 가장 활발히 이뤄진 것으로 나타났다. LG SK 삼성 등 국내 주요 기업이 글로벌 전기차 배터리 시장을 주도하면서 핵심 소재·제조장비 업체에 ‘러브콜’이 쏠린 것으로 해석된다.지난 18일 한국M&A거래소(KMX)가 전자공시시스템을 통해 공시된 지난해 상장·비상장사 거래를 전수조사한 결과 국내 기업들은 지난해 총 939건의 M&A를 단행한 것으로 집계됐다. 상장사 대상 거래는 총 356건, 비상장사는 583건이었다. 총 718건을 기록한 2020년과 비교하면 30% 늘었다. 지난해 전체 거래금액은 총 58조937억원으로 같은 기간 16% 증가했다. 최근 5년 내 M&A가 가장 주춤했던 2017년과 비교해 금액은 75%, 건수는 50%가량 증가했다.업종별로는 부품·소재·화학 업종 등 이른바 소부장 기업의 거래가 총 118건으로 가장 많았다. 전체 M&A 거래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12.6%로 가장 컸다. 2018년 5.2%에 불과했던 소부장 기업 대상 거래 비중은 2019년 10.7%, 2020년 11.7% 등으로 매년 증가하는 추세다. LG화학, SK이노베이션, 삼성SDI 등 국내 전기차 배터리 대형 3사가 설비 확장 경쟁을 펴는 등 시장이 커지자 이 분야 핵심 소재 업체를 선점하려는 경쟁이 치열했던 것으로 풀이된다.2019년 일본의 수출규제 여파로 촉발된 ‘소재 국산화’ 기조도 이 분야 M&A를 촉진했다. DL케미칼이 16억달러(약 1조8800억원)를 투입해 글로벌 화학사인 크레이튼을 인수하는 등 해외 진출을 위한 ‘빅딜’도 활발했다.금액별로는 500억~1000억원, 1000억~5

  • 숫자로 읽는 세상

    중국, 반도체 굴기에 23억弗 쏟아부었지만 보조금 먹튀·파산 등…자급률 10%대 그쳐

    중국이 삼성전자와 대만 TSMC를 따라잡을 반도체 기업을 육성하기 위해 거액을 쏟아붓고 있지만 아직 성공 사례를 찾아보기 어려운 상황이라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9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중국 정부는 2025년까지 자국에서 소비하는 반도체의 자국 생산 비율(자급률)을 70%까지 끌어올린다는 목표를 세웠지만 실제 자급률은 여전히 20%에도 못 미치고 있다.WSJ는 기업 발표와 중국 관영매체 보도, 지방정부 문건 등을 분석한 결과 중국에서 지난 3년간 최소 6개의 대규모 반도체 제조 프로젝트가 실패한 것으로 드러났다고 지적했다. 이들 프로젝트에 투입된 자금은 최소 23억달러(약 2조7600억원)로 대부분 정부에서 지원했다. 하지만 대부분 기업이 단 한 개의 반도체조차 만들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중국의 ‘반도체 굴기’ 실패를 상징하는 대표적인 사례는 파운드리(반도체 수탁생산) 업체인 우한훙신반도체(HSMC)와 취안신집적회로(QXIC)다. 두 회사는 삼성전자와 TSMC가 세계 시장을 장악하고 있는 14나노미터(㎚·1㎚는 10억분의 1m) 이하 초미세 공정을 적용한 반도체를 제조하겠다며 출범했다.2017년 우한에 세워진 HSMC는 총투자액 목표로 1280억위안(약 22조원)을 제시했고 중앙정부와 우한시 등으로부터 153억위안을 받아냈다. TSMC의 미세공정 개발을 주도했던 장상이를 최고경영자(CEO)로 영입해 반도체업계의 주목을 끌기도 했다. QXIC도 막대한 연봉을 내걸고 대만 엔지니어들을 스카우트했다.두 회사는 막대한 투자금을 날리고 지금까지 단 한 개의 칩도 상업용으로 생산하지 못했다. HSMC는 지난해 6월 폐업했고 QXIC는 영업을 중단한 상태다. 이 밖에 청두거신 화이안더화이(HIDM) 난징더커마 등에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