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글생글
-
시사 이슈 찬반토론
과잉처벌은 민간 활력 위축시켜…정부는 '심판의 오류' 경계해야
[사설] 징벌적 과세·과태료·규제…국민 겁주는 정부인가 정부와 여당이 다주택자와 고가주택 보유자의 종합부동산세를 대폭 올리고 1~2년 안에 주택을 사고파는 매매자에게 징벌적 양도소득세를 물리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 당정 내부에선 1년 미만 보유 주택을 파는 사람에게는 양도세율을 최고 80%까지 끌어올리자는 주장도 나온다. 집을 사고, 거주하고, 팔 때 모두 징벌적 세금을 물리겠다는 것이나 다름없다. 문...
-
생글기자
따뜻한 기술, 적정기술(Appropriate Technology, AT)
중간 기술, 착한 기술이라고도 불리는 적정 기술(appropriate technology)은 기술과 디자인의 혜택으로부터 소외된 제3세계 90%의 사람을 돕기 위해 그들이 사는 환경에 적합한 제품을 디자인과 공학을 통해 만드는 ‘착한 기술’이다. 생활 환경, 문화, 인종은 달라도 지구를 하나의 공동체로 느껴 어려움을 겪는 이들의 삶의 질을 높이고 빈곤을 퇴치하려는 따뜻한 관심이 참신한 디자인의 바탕이 된다. 여기에 공학의 ...
-
생글기자
왜 젊은 세대들은 MBTI 성격유형에 열광할까
MBTI성격 유형 검사란 네 가지 선호지표(에너지 방향(외향 E-내향 I), 인식 기능(감각 S-직관 N), 판단 기능(사고 T-감정 F), 생활 양식(판단 J-인식 P))을 토대로 16가지의 성격 유형을 구분하는 검사다. 이 검사는 시행이 쉽고 간편해 예전부터 학교, 직장 등에서 쓰여 왔다. 하지만 최근 들어 단순 검사용도가 아니라 하나의 유행이자 콘텐츠로 쓰여 각종 SNS에 MBTI별 특징, 관계, 캐릭터 등을 서술한 게시물이 부쩍 늘기 시...
-
숫자로 읽는 세상
"코로나 장기화 대비 자금 마련"…빚 늘어나는 美·日 기업
올 들어 글로벌 기업 1400곳의 신용등급이 떨어진 것으로 집계됐다. 코로나19로 인해 경제가 급랭하면서 현금 흐름이 악화된 탓이다. 기업들은 생존을 위해 회사채 발행에 앞다퉈 나섰다. 미국과 일본 기업을 중심으로 부채가 급증하고 있다. 지난 6일 니혼게이자이신문에 따르면 올 상반기 미국의 국내총생산(GDP) 대비 기업 채무 비율은 49%로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지난 3월 말 미국의 기업 채무(금융회사 제외) 규모가 처음 10조달러(약 1...
-
테샛 공부합시다
오버슈팅·달러인덱스·시뇨리지…경제용어 익혀보세요
기말고사와 여름방학이 다가오는 시기다. 학생들은 부족한 분야의 공부를 보충할 시기이기도 하다. 테샛(TESAT) 또한 8월 22일(토) 60회 시험이 예정돼 있다. 테샛을 준비하는 학생들에게 여름방학은 시사경제 영역을 집중적으로 공부할 수 있는 천금 같은 시간이기도 하다. 시사영역은 범위가 넓은 데다 학생들이 학교 공부를 하면서 신문 등을 꼼꼼히 읽어볼 시간이 현실적으로 부족하기 때문이다. 고교생들은 여름방학 기간 생글생글 테샛면에 주기적으로 ...
-
테샛 공부합시다
투자자본
[문제] 해외 단기 투자자본의 폐해를 막기 위해 단기성 외환 거래에 물리는 세금을 뜻하는 용어는? ① 버핏세 ② 누진세 ③ 토빈세 ④ 스텔스세 ⑤ 직접세 [해설] 토빈세는 모든 국가 간 자본 유출입 거래에 단일세율을 적용하는 외환 거래세의 일종이다. 1978년 미국 경제학자이자 노벨경제학상 수상자인 제임스 토빈 예일대 교수가 제안한 것으로 외환·채권·파생 상품·재정 거래 등으로 막대한 수익을 올리는...
-
생글기자
소아암 아이들에게 더 많은 관심과 손길을…
소아암이란 소아에게 생기는 악성종양이다. 소아암은 1년에 1만~2만 명 중 1명의 비율로 발생한다. 특히 4~5세 이하의 발생 빈도가 높고, 드물게는 출생 때부터 암 발생을 볼 수 있다. 증세는 종류에 따라 다르고 망막아세호종은 유전될 가능성이 있다. 치료는 성인과 마찬가지로 수술이나 방사선 조사 제암제에 의한 화학요법 등을 병행한다. 소아 암은 진행이 빠르기 때문에 발견되면 가급적 빨리 수술해야 한다. 수술이 불가능한 것은 방사선 조사 화학요...
-
숫자로 읽는 세상
숙련도 낮고, 인건비 부담…'계륵'된 외국인 근로자
최저임금이 가파르게 오르면서 덩달아 임금 수준이 뛰었지만 오히려 짐을 싸는 외국인 근로자가 늘고 있다. 3D 업종(더럽고 어렵고 위험한 분야 산업)에서 궂은일을 도맡으며 ‘산업 역군’ 역할을 했으나 인건비 부담이 불어나면서 업계의 외국인력 선호도가 뚝 떨어졌기 때문이다. 최근 고용노동부에 따르면 올해 3분기 중소기업의 외국인 근로자 신청률은 83.6%로 집계됐다. 고용부는 외국인력 7552명을 배정했으나 신청 인원은 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