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이근미 작가의 BOOK STORY

    테러범 비슷한 아모르, 현실과 환각을 오간다

    2010년 12월, 스웨덴의 수도 스톡홀름 거리에서 자살 폭탄 테러 사건이 일어났다. 200년 넘게 어떠한 전쟁과 분쟁도 겪지 않은 스웨덴에서 폭탄 테러가 일어났으니 실로 엄청난 충격이었을 것이다.요나스 하센 케미리는 폭탄 테러를 모티브 삼아 <나는 형제들에게 전화를 거네>를 집필했다. 튀니지인 아버지와 스웨덴인 어머니 사이에 태어난 이민 2세 케미리는 폭탄 테러 용의자가 이민자라는 점을 소설의 출발로 삼았다.‘가장 노벨문학상에 가까운 스웨덴 작가’라는 수식어가 따라다니는 케미리는 자신의 정체성이 담긴 자전소설 <몬테코어>(2006)를 발표하며 주목받았다. 이 책은 스웨덴 이주자 문학의 대표작으로 평가받으며 20만 부 이상 팔리는 베스트셀러가 되었고, 미국·독일·프랑스 등 10개국에서 출간되기도 했다. 이후 2012년 <나는 형제들에게 전화를 거네>를 통해 주류 사회에서 환영받지 못하는 이민자, 소수자의 모습을 조명하며 작가로서의 정체성을 한층 더 탄탄하게 구축했다. “범인은 누구라도 될 수 있지”폭탄 테러를 모티브로 삼았으니 험하고 긴박할 것이라고 예상하기 쉽지만, <나는 형제들에게 전화를 거네>는 나른한 대화가 이어지다 의미 있는 문장들이 가끔 마음을 쿡 찌르는 소설이다. 소설은 5부로 구성되는데, 주인공 아모르가 다섯 사람과 통화한 내용과 그들과 얽힌 이야기가 담겨 있다.각 부 앞머리엔 “나는 내 형제들에게 전화를 걸어 이야기한다”라는 동일한 문장으로 시작하는 짧은 글이 실려 있다. “두 번의 폭발이 일어났어. 시내 한가운데서… 아무도 잡히지 않았어. 의심받는 사람은 없어. 아직은 아니야. 그런데

  • 경제·금융 상식 퀴즈

    9월 9일 (860)

    1. 사전적 의미는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것’으로, 중앙은행의 통화정책 방향 전환이라는 뜻으로 널리 쓰이는 용어는?① 딥페이크 ② 빅스텝③ 피벗 ④ 팻핑거2. 다른 업체가 설계한 반도체 제품을 위탁받아 생산해주는 업체를 가리키는 말은?① 벤처캐피털 ② 데카콘③ 파운드리 ④ 메가딜3. 빅테크가 아닌 미국 기업 중에서는 최초로 지난달 28일 ‘시가총액 1조달러’를 돌파한 회사의 이름은?① 버크셔 해서웨이 ② 보잉③ 월마트 ④ 뱅크오브아메리카4. 기업이 제품 생산 과정과 사용·폐기 단계, 협력 업체 유통망에서 나오는 온실가스 배출량을 산정해 공시하는 제도는?① 스코프3 ② 매그니피센트7③ PMI ④ ROA5. 이 기업 최고경영자(CEO)가 프랑스에서 체포돼 러시아와 외교 갈등 등으로 비화했다. 세계 4위 메신저 앱인 이것은?① 위챗 ② 텔레그램③ 디스코드 ④ 와츠앱6. 주요국 증권거래소나 금융가에서는 이 동물의 동상을 볼 수 있다. 증시에서 ‘상승장’을 상징하는 이 동물은?① 곰 ② 황소 ③ 비둘기 ④ 매7. SNS에서 입소문을 타면서 개인투자자의 매수세가 몰리는 주식을 말한다. 미국 게임스톱 등이 대표적인 이것은?① 신주 ② 배당주③ 자기주식 ④ 밈주식8. ‘은행들의 은행’이라는 별명을 갖고 있으며 화폐 발행 등의 독점적 권한을 갖고 있는 곳은?① 특수은행 ② 투자은행③ 중앙은행 ④ 상업은행▶정답 : 1 ③ 2 ③ 3 ① 4 ① 5 ② 6 ② 7 ④ 8 ③

  • 대입전략

    내신 1.5등급 최상위권, 자연계가 82% 압도적, 수시서 큰 변수…N수생 유입 등 파악 후 지원을

    2025학년도 서울대, 연세대, 고려대의 인문·자연계열 전체 선발 인원은 1만616명(정원 내 기준)이다. 이 중 인문계열은 4932명(46.5%)이고, 자연계열은 5684명(53.5%)이다. 내신 또는 수능에서 인문·자연계열 5000등(전국 단위) 이내 진입 여부가 중요한 기준이다.서울대·연세대·고려대는 전체 선발 인원의 60.7%를 수시로 선발하고 있다. 학교별로 보면 2025학년도 기준 서울대는 62.0%, 연세대 57.8%, 고려대 62.2%다. 수시에서 특히 인문계열은 서연고 전체 선발 인원 5000명 중 약 60%인 3000명 이내 학교 내신이 중요한 내신성적대다. 반면 자연계열에서는 의약학 계열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단순한 서연고 선발 인원만으로는 인문계와 다른 양상을 보인다. 2025학년도 의대 선발 인원 중 약 3000명을 수시전형으로 선발하고 있다. 서연고보다 학교 내신성적대가 높기 때문에 인문계와는 경쟁 구도가 다르다.2024학년도 전국 대학에서 학과별 학교 내신 합격 점수와 학과별 모집 정원을 종합해 추정해보면, 고교 전 과정에서 내신 모든 과목 평균 1.0등급 이내 학생은 81명이었다. 전원이 자연계 학생이었다. 1.1등급 이내는 전국에서 432명이었고, 이 중 419명(97.0%)이 자연계였다. 내신 1.3등급 이내는 전국에서 1929명이었고, 이 중 1808명(93.7%)이 자연계였다. 내신 1.3등급 이내 구간에서는 93.7% 이상이 모두 자연계 학생이 차지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내신 1.3등급 이내 인문계 학생은 전국에서 121명이다.내신 1.5등급 이내는 전국에서 3976명이었고, 이 중 자연계 학생은 3272명(82.3%)이었다. 2025학년도 전국 의대 수시 선발 인원이 대략 3000명인 점을 감안했을 때 학교 내신 1.5등급 이내 학생이라면 전국 평균적 의미에서 학

  • 대학 생글이 통신

    "흔들리는 '멘털' 잡기, 운동만 한 게 없어요"

    대학수학능력시험이 두 달 앞으로 다가왔습니다. 하루하루 시간이 지날수록 불안감이 커지는 시기입니다. 저도 고3 이맘때쯤 정신적으로 힘들었던 기억이 떠오릅니다. 특히 9월 모의평가나 각종 사설 모의고사에서 생각만큼 성적이 나오지 않으면 기분이 정말 좋지 않았습니다. 하루종일 책상 앞에 앉아 있다 보면 공부하기가 죽는 것만큼 싫어질 때도 있고요. 이 시기 저의 스트레스 해소 방법은 무엇이었는지 소개해보겠습니다.첫 번째는 운동입니다. 저는 공부가 너무 하기 싫을 때 밖으로 나가 달리기를 하거나 자전거를 탔습니다. 바람을 맞으며 몸을 움직이면 땀이 나면서 잡생각이 사라지고 기분이 좋아집니다. 자전거를 타고 빠른 속도로 달리다 보면 쾌감이 느껴지죠. 꼭 달리기나 자전거 타기가 아니더라도 운동은 스트레스를 해소하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운동을 하면 뇌에서 ‘행복 호르몬’인 엔도르핀이 분비돼 행복감을 높여준다고 합니다. 공부할 것도 많은데 운동할 시간이 아깝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하지만 집중이 잘되지 않을 땐 운동을 통해 기분을 전환하는 것이 훨씬 낫습니다. 스트레스를 해소하고 공부에 필요한 체력을 기르는 데는 운동이 효과적입니다.두 번째는 샤워입니다. 그냥 대충 씻는 것이 아니라 파우더 향이나 꽃 향기, 머스크 향 등 다양한 향이 나는 보디워시나 샴푸, 트리트먼트를 사용해 몸을 꼼꼼히 닦는 것입니다. 헤어팩이나 스크럽이 있다면 더욱 좋습니다.그렇게 샤워를 하고 나면 기분이 상쾌해지고 스트레스가 확 풀리는 느낌이 듭니다. 조길수 연세대 의류환경학과 교수 연구진이 실험한 결과 적절한 향기는 스트레스를 줄이고 근육을 풀어주는 효과

  • 숫자로 읽는 세상

    "반수해 의대 가자"…서울대 중퇴자, 17년새 최대

    지난해 서울대를 그만둔 학생이 436명으로 2007년 통계 공시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통합수능으로 문·이과 교차 지원이 가능해지면서 인문계열에 지원한 자연계 학생 등이 다른 대학 의대, 한의대 등으로 빠져나간 것으로 분석된다.1일 종로학원이 대학알리미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지난해 서울대·연세대·고려대의 중도 탈락자는 2126명이었다. 직전 해(2131명)와는 비슷한 수준이지만 5년 전인 2019년(1415명)과 비교하면 50.2% 늘어난 수치다. 중도 탈락에는 미등록, 미복학, 학사경고, 유급 등에 따른 제적 등이 포함되지만 대부분이 자퇴다.서울대 중도 탈락자는 최근 5년 연속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2019년 273명이던 중도 탈락자는 2020년 317명, 2021년 405명, 2022년 412명으로 늘어났다. 인문계열 중도 탈락자(112명)는 5년 전(61명)에 비해 83.6% 증가했다. 같은 기간 자연계열은 191명에서 316명으로 65.4% 늘어났다.연세대도 작년에만 830명이 중도 탈락하며 5년 새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연세대 중도 탈락자는 2019년 511명에서 2020년 561명, 2021년 700명, 2022년 822명으로 증가했다. 인문계열에서는 365명이 그만둬 5년 전(184명)에 비해 98.4% 확대됐다. 같은 기간 자연계열은 309명에서 448명으로 44.9% 늘었다.고려대는 860명으로, 2022년(897명)에 비해 4.1% 감소했다. 자연계열 중도 탈락자는 557명으로 2022년에 비해 9.7% 줄었지만, 인문계열에서는 286명이 그만둬 최근 5년 새 최고치를 나타냈다.2022학년도부터 문·이과 통합수능이 도입되면서 인문계열 자퇴생이 급증하고 있으며, 2025년 의대 증원을 앞두고 올해 중도 탈락자는 더 늘어날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임성호 종로학원 대표는 “문·이과 통합수

  • 시사·교양 기타

    재미있는 예금·적금의 세계

    주니어 생글생글 제128호 커버스토리 주제는 저축과 예금입니다. 은행에 돈을 저축할 때 보통예금, 정기적금, 정기예금 등 다양한 상품 중 한 가지를 선택하게 됩니다. 각각의 특징은 무엇이고 이자는 어떻게 계산되는지 등을 알아봤습니다. 예금, 적금, 금리, 이자 등 기본적인 용어도 설명했습니다. 꿈을 이룬 사람들에서는 38년간 세계 정상급 성악가로 활약하고 있는 소프라노 조수미의 인생과 성공 비결을 다뤘습니다.

  • 시사 이슈 찬반토론

    온라인 쇼핑에 밀린 대형마트, 주말 의무 휴업 계속해야 하나

    대형마트 의무 휴업을 도입한 지 12년이 지났다. 전통시장을 보호한다는 명분 아래 2012년부터 대형마트와 기업형슈퍼마켓(SSM)의 주말 휴업을 의무화했지만 그 효과가 미미하다는 지적이 많다. 오히려 대형마트 강제 휴무로 인해 전통시장 매출은 늘지 않고 소비 증발만 가져왔다는 비판이 거세다. 규제 사각지대인 식자재마트가 반사이익을 얻고 있는 점도 부작용으로 꼽힌다.반론도 만만치 않다. 골목상권을 살리는데 대형마트 주말 의무 휴업은 적잖은 효과가 있다는 주장이다. 특히 전통시장이 많은 지역에서 대형마트 규제론은 여전히 위세를 떨치고 있다. 대형마트 노동자가 휴일에 쉴 권리를 보장해야 한다는 점도 폐지 반대론의 주요 근거다. 대형마트 주말 의무 휴업을 완화해야 할까 아니면 그대로 둬야 할까.[찬성] 시장 상인 등 약자 배려 필요…마트 근로자 '쉴 권리'도 보장해야경제적 이익이라는 측면에서만 사회문제를 바라볼 수 없다. 사회가 상호의존적인 점을 감안하면 사회적 약자를 배려해야 그 사회가 지속가능하다. 후생경제학에서도 사회적 약자의 삶에 초점을 맞추는 시각이 있다. 바로 ‘정의론’으로 유명한 존 롤스의 ‘롤스 기준’이다. 공리주의적 입장에 선 칼도·힉스 기준과는 차이가 있다. 롤스 기준으로 보면 사회적 약자의 삶이 좋아지면 좋은 정책이다.대형마트 휴일 규제와 관련한 이해관계자 중 사회적 약자는 누구일까. 아마도 전통시장 상인들과 대형마트 노동자를 들 수 있다. 롤스 기준으로 보자면 이들에게 이익이 되면 바람직한 정책이다. 의도와 관계없이 민주당도 롤스 기준에 입각해 움직이고 있다. 송재봉 민주당 의원을 비롯한

  • 막오른 '피벗' 경제 구할까

    제862호 생글생글은 미국 중앙은행(Fed)의 통화정책 전환을 커버스토리에서 다뤘다. Fed가 이달부터 금리를 내릴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물가를 안정시키기 위해 고금리를 유지해 오던 통화정책의 방향을 전환하는 것이다. 이 같은 변화의 배경은 무엇이며, Fed의 금리 인하가 세계 경제에 어떤 영향을 끼칠지 짚어 봤다. 대입 전략에선 6월 모의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한 수능 대비 전략을 제시했다. 6월 모평에선 사회탐구 응시자가 늘고 과학탐구 응시자는 줄었다. 과목별 응시자 수 변화에 따른 대응책을 점검했다.